내 첫 디지탈 카메라

BenQ DC3410

어머님께서 이를 찍어서 비디오로 보여달라고 하셔서 캠코더를 사려고 했던 것이지만 캠코더 보다는 디지탈 카메라가 더 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디카에 대해서 아는 것도 없고 해서 일단 가격은 싸고 200만 화소급에서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품을 골랐다. 이렇게 해서 산 제품이 BenQ의 'DC3410'이었다.

꽤 오래 전의 일이다. 이 동영상을 찍기 위해 캠코더를 사기로 했다. 일단 인터넷에서 적당한 제품을 찾고 최저가 검색을 한 뒤 용산을 방문했다. 보통 이렇게 해도 용파리들의 꺽기 신공에 당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청계천 시절부터 물건을 사왔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었다.

일단 우엉맘과 함께 매장을 모두 뒤져봤다. 역시 가장 싸게 나온집과 가장 비싸게 나온집의 가격차는 무려 80만원이나 됐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찾은 최저가 보다도 30만원이나 쌌다. 당연히 이 집에서 물건에 대한 흥정을 했다. 문제는 처음 모든 부품을 포함해서 120만원(일종의 꺽기이다)이라고 얘기했으면서 막상 계산할 때는 각종 부품을 따로 계산, 최종 금액이 150만으로 올라갔다. 원래 예상이 150 정도 였기 때문에 살 수도 있었지만 이런식으로 파는 상술이 마음에 들지않아 구매를 포기했다.

어머님께서 이를 찍어서 비디오로 보여달라고 하셔서 캠코더를 사려고 했던 것이지만 캠코더 보다는 디지탈 카메라가 더 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디카에 대해서 아는 것도 없고 해서 일단 가격은 싸고 200만 화소급에서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품을 골랐다. 이렇게 해서 산 제품이 BenQ의 'DC3410'이었다.

디카외에 128M의 플래시 메모리도 약 10만원 정도 주고 함께 구입했다. 동영상의 품질이 아주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한 40분정도 동영상 촬영이 되었기 때문에 두번째 디카를 구입할 때까지 잘 사용한 제품이다. 이 제품을 사용해서 아이들을 찍다보니 몇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번째는 줌기능이 없다는 점. 아이들 사진은 줌으로 당겨, 연사로 찍어야 마음에 드는 사진을 구할 수 있는 때가 종종 있는데 이 제품은 줌 기능이 없었다. 두번째로 별도 배터리가 없다는 점이었다. 건전지로 가능하면 가장 좋고 따로 배터리라도 제공하면 좋을 텐데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에 문제가 생기면 AS를 보내야 했다.

2005년 7월 코닥 'DX-7590'을 구입했다. DX-7590을 구입한 뒤 이 카메라는 우엉맘에게 주었다. 그리고 얼마 전부터는 배터리가 너무 빨리 단다고 한다. 결국 애엄마가 사용하기도 힘든 것 같아 이제는 이 첫 카메라로 선물했다.

남은 이야기

아나로그와 디지탈의 차이

아나로그는 시간이 오래되면 가격이 올라가지만 디지탈은 시간이 지나면 가격이 급락한다. 우리 집에는 두개의 필름 카메라가 있다. 하나는 아사히 펜탁스에서 나온 Pentax ME(반자동 카메라)이고 또 하나는 케녹스이다.

케녹스는 구입한 뒤 무척 후회한 제품이다. 수동 카메라를 우엉맘이 사용할 줄 몰라 줌기능이 있는 제품을 샀는데 눈에 뭐가 쒸었는지 제품을 구매했다. 그런데 떨어지는 성능, 적목 현상 등 정말 후회한 카메라다. 손떨림 방지 기능을 손이 떨리면 셧터가 눌러지지 않도록 구현했다. 따라서 우엉맘은 아예 이 카메라로 사진을 찍지 못했다. 디카를 사용한 뒤 관심을 두지 않아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카메라이다.

케녹스 m140

집 정리하다 우연히 찾은 케녹스. 제품 사고 후회 안 한 적이 별로 없다. 이 제품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손떨림 방지 기능은 거의 끔찍한 수준이다.

아사히 펜탁스는 지금부터 약 20년전에 아버님께서 중동에 다녀오시면서 구입한 제품이다. 카메라를 사용할 줄 알게된 고등학교 시절부터 줄곧 사용한 카메라이다. 그동안 단 한번의 고장도 없었다. 그러다 큰 조카 애가 태어나면서 조카 애 사진을 찍어 준다고 하며 매형이 빌려갔었다. 그런데 매형이 사용하는 중 고장이 났다고 한다. 결국 사진관에서 수리를 했는데 수리하던 양반이 카메라를 팔라고 졸랐다고 한다.

한때 동원에서 펜탁스를 수입해서 팔았고 따라서 가지고 있는 모델 역시 '동원 펜탁스'라는 이름으로도 팔린 것 같다. 모델 이름은 집에 가야 확인할 있지만 생긴 모양을 보면 PENTAX-MV1과 비슷한 것 같다.

아버님께서 남기신 하나뿐인 유품이라 팔생각도 없지만 판다면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해졌다. 아울러 20년전의 아나로그 카메라는 지금도 팔리는데 2년전에 구입한 디카는 팔 때가 없다.

관련 글타래

글쓴이
author image
운영체제의 모든 것을 운영하고 있는 IT 블로거. IT 블로거라는 이름은 현재 시국때문에 시사 블로거로 바뀐 상태다. 그러나 나는 아직도 시사와 사회에 관심이 많은 IT 블로거일 뿐이다. 컴퓨터, 운영체제, 시사, 가족, 여행, 맛집, 리뷰등과 살면서 느끼는 소소한 일상이 블로그의 주제이다. 왼쪽의 아이콘은 둘째 딸 다예가 그린 내 모습이다.
2007/07/26 14:00 2007/07/26 14:00
오늘의 글
인기있는 글
조회수 많은 글 | 베오베
댓글 많은 글 | 베오베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