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지스트리건은 저의 지나친 오해였군요. 하지만 스토킹을 당하고 있는것은 사실입니다. 예전에 쓰던 공유기가 있는데 그걸로 쓰기도 좀 애매하군요. (왜냐하면 MAC 주소를 바꾸기 위해서 공유기를 새로샀었거든요.)
그냥 기존 방식으로 쓰는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로그인을 해야 글을 쓸 수 있는 인터넷 환경에서 도아님의 블로그는 사막의 오아시스같으며, 오랜 노가다 후에 마시는 청량음료와 같고, 슈바이처와 같은 정신을 엿볼수 있어 감회가 남다릅니다.
제 상황이 해결은 안되겠지만 신경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P.S. 도아님은 보안에 관심이 많으시니까 이 문제에도 흥미가 있으실 겁니다. 저희 아파트는 르네트(LENET)라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설치되어있는데 검색해 보시면 아실겁니다. 집 마다 아이피가 할당되는데 192.168.~~이런식으로 나가고요 게이트웨이도 255~ 뭐 이런식으로 공유기와 유사합니다. 원래 외부에서 핸드폰이나 인터넷으로 집안의 난방같은것을 제어하기 위함인데 제 생각에 여기에 PC와 연동하여 심각한 보안 문제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거 증거만 확실히 확보하면 뉴스제보 해야하는데 말이지요... 이사 한 번 잘못해서 스트레스가 생겼습니다. 진정한 웰빙이 과연 뭔지 생각해 봅니다. 이런 디지털 기술이 이런식으로 사람을 괴롭힐 줄이야...
오늘 새벽에 윈도우를 재설치하고 wan선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컴퓨터와 공유기만 연결했는데 좀 황당한 일이 있었습니다.
삼성컴퓨터인데 복구하면 기본적으로 Mcafee 1년간 무료 버전이 설치됩니다.
그 Mcafee security center에서 레지스트리 변경을 감지하더군요.
그러니까 wan은 연결되지 않은 공유기 연결하는 순간에 보안 경고창이 떴는데요 내용이...
"winsock2 LSP 레지스트리 변경 감지"이런거 였습니다. 대상 파일은 svchost.exe고요 레지스트리 경로는 복잡해서 모르겠는데 parameters... controlset... 뭐, 이랬습니다. 제가 '차단'을 한 뒤로 윈도우가 맛이 갔습니다. '서비스에 windows event log를 참고하라'는 처음보는 윈도우 경고창이 뜨던데 이벤트 뷰어를 실행하면 오류나고요. 신기하지만 열받아서 뻗어버렸습니다.
이거 정상적인 겁니까??
공유기에 이미 무슨 악성코드가 있는것일까요? (결국 질문이 되어버리는군요-_-;)
그리고 아무래도 아파트에 패킷분석하는 놈이 있는것 같습니다. 여기에는 공유기가 소용없나 보지요.
문제는 몰래 보면 당하는 사람도 모르는데 보면 봤다고 어떤 식으로든 표현을 하니까 문제지요. 예전에 한게임하는데 어떤 놈이 채팅창에 "까불면 맞는다 ㅋㅋㅋ"이랬는데 제 이메일 암호가 '까불면 맞는다'였습니다. 그게 어언 3년 전이니 계속 당하고 있었던 셈이지요. 저 뿐만이 아니라 아파트 입주민 전체가 그 대상이라고 생각하면 이거 보통일이 아닌데 사실 범죄에 해당하는 짓만 하지 않으면 이 놈을 잡을 방법이 없으니 골치가 아프네요.
인터넷 서비스업체에서도 패킷분석을 한다던데 이제 더 이상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는 '자신의 것'만은 아닌것일까요.
도아님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야 안전할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저같은 사람들이 대부분의 사용자 아니겠습니까.
가장 의심가는게 윗집에 누군가인데... 고삐리가 한 마리 있던데 그 놈은 아닌것 같고... 들락날락하는 다른놈이 한 마리 있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확실한 증거는 없고...
이거 꼭 '살인의 추억'의 송강호가 된 기분입니다.
기분 정말 더럽군요.
네트워크나 보안 쪽에 전혀 지식이 없으니 예전에는 제가 알던 사람들을 무작정 의심하고 실제로 트러블이 생겼었는데 너무나 허탈합니다. 돌이키기 힘들지요... 저한테 추궁당한 지인들은 저를 완전 또라이로 보고 그랬습니다.......-_-
오늘 너무 짜증나서 아파트 관리사무소 MDF실에도 다녀왔는데 거기는 무슨 선만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더군요. 관히사무소 직원도 이상한 눈으로 쳐다보는데 제가 뭐라고 말해야 할지 난감했지요. 말해도 믿을지...
혹시라도 여기 오시는 다른 분들도 제 글 보고 있다면 해킹관련한 과도한 장난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하는 입장에서는 "뭐 이런것 쯤이야..."하겠지만 당하는 사람이 눈치챘을 때는 스트레스가 상상을 초월합니다.
안그래도 백수라서 신경쓰이는게 많은데 이런일에 맨날 시간을 뺏기니...
도아님 재밌게 보시라는 뜻에서 적었습니다...
며칠간 글을 너무 자주 남겼군요. 앞으로는 눈팅만 하겠습니다.
행여나 제 사연에 뭔가 저만의 오해의 소지가 될만한 것이 있다면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컴퓨터 학원을 다녀야 할라나...-_-
일단 svchost.exe가 Winsock2 LSP 레지스트리를 변경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무엇때문에 잡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확언은 힘듭니다. 다만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에서 상당히 중요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차단하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두번째로 같은 클래스내에서 패킷 분석으로 잡아내는 것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암호와 같은 것의 유출이 우려된다면 https를 통해 로그인을 제공하는 사이트만 로그인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즉, https를 통해 로그인하는 사이트의 암호와 일반 허접한 사이트의 암호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저는 컴퓨터 로그인 암호, 허접한 웹 사이트 암호, 꽤 큰 규모의 웹 사이트 암호, 인터넷 금융권 암호가 모두 다릅니다. 그리고 아파트 전체가 LAN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면 패킷 분석으로 아파트 전체를 감시할 수는 없습니다. 감시는 같은 크래스내에서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상대가 패킷을 잡아내는 것 같으면 공유기의 MAC 주소를 다른 것으로 바꾸시기 바랍니다. MAC 주소를 바꾸면 IP가 바뀌며, 이 경우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다른 크래스의 IP가 할당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168.192.3.4가 기존의 IP였다면 168.192.5.8처럼 세번째 주소까지 바뀌도록 MAC 주소를 바꾸면 됩니다.
헙!! 생신축하드려요~
감사합니다....
오늘이 생일이시군요.
생일 축하드립니다.
사무실에 계속 일이 좀 바쁜 편이라 블로그 관리를 잘 못하는데, 그럴수록 도아님 블로그의 글을 더 읽게 됩니다.
계속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요즘 바쁘신 것 같더군요. 사무실에서는 offree가 막혔다니 얼마나 자주 접속하셨기에...
감사의 글은 남겨야 겠습니다.
레지스트리건은 저의 지나친 오해였군요. 하지만 스토킹을 당하고 있는것은 사실입니다. 예전에 쓰던 공유기가 있는데 그걸로 쓰기도 좀 애매하군요. (왜냐하면 MAC 주소를 바꾸기 위해서 공유기를 새로샀었거든요.)
그냥 기존 방식으로 쓰는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로그인을 해야 글을 쓸 수 있는 인터넷 환경에서 도아님의 블로그는 사막의 오아시스같으며, 오랜 노가다 후에 마시는 청량음료와 같고, 슈바이처와 같은 정신을 엿볼수 있어 감회가 남다릅니다.
제 상황이 해결은 안되겠지만 신경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P.S. 도아님은 보안에 관심이 많으시니까 이 문제에도 흥미가 있으실 겁니다. 저희 아파트는 르네트(LENET)라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설치되어있는데 검색해 보시면 아실겁니다. 집 마다 아이피가 할당되는데 192.168.~~이런식으로 나가고요 게이트웨이도 255~ 뭐 이런식으로 공유기와 유사합니다. 원래 외부에서 핸드폰이나 인터넷으로 집안의 난방같은것을 제어하기 위함인데 제 생각에 여기에 PC와 연동하여 심각한 보안 문제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거 증거만 확실히 확보하면 뉴스제보 해야하는데 말이지요... 이사 한 번 잘못해서 스트레스가 생겼습니다. 진정한 웰빙이 과연 뭔지 생각해 봅니다. 이런 디지털 기술이 이런식으로 사람을 괴롭힐 줄이야...
외부의 문제가 아니라 홈 네터워크 시스템의 문제일 가능성이 많아 보이는군요.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간단한 침입이나 감시가 가능합니다. 다만 홈 네트워크가 PC에 연결되지 않는다면 이런 방법의 침입이나 감시는 힘듭니다.
도아님 안녕하세요.
질문은 아니고요, 그래서 여기 씁니다.
오늘 새벽에 윈도우를 재설치하고 wan선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컴퓨터와 공유기만 연결했는데 좀 황당한 일이 있었습니다.
삼성컴퓨터인데 복구하면 기본적으로 Mcafee 1년간 무료 버전이 설치됩니다.
그 Mcafee security center에서 레지스트리 변경을 감지하더군요.
그러니까 wan은 연결되지 않은 공유기 연결하는 순간에 보안 경고창이 떴는데요 내용이...
"winsock2 LSP 레지스트리 변경 감지"이런거 였습니다. 대상 파일은 svchost.exe고요 레지스트리 경로는 복잡해서 모르겠는데 parameters... controlset... 뭐, 이랬습니다. 제가 '차단'을 한 뒤로 윈도우가 맛이 갔습니다. '서비스에 windows event log를 참고하라'는 처음보는 윈도우 경고창이 뜨던데 이벤트 뷰어를 실행하면 오류나고요. 신기하지만 열받아서 뻗어버렸습니다.
이거 정상적인 겁니까??
공유기에 이미 무슨 악성코드가 있는것일까요? (결국 질문이 되어버리는군요-_-;)
그리고 아무래도 아파트에 패킷분석하는 놈이 있는것 같습니다. 여기에는 공유기가 소용없나 보지요.
문제는 몰래 보면 당하는 사람도 모르는데 보면 봤다고 어떤 식으로든 표현을 하니까 문제지요. 예전에 한게임하는데 어떤 놈이 채팅창에 "까불면 맞는다 ㅋㅋㅋ"이랬는데 제 이메일 암호가 '까불면 맞는다'였습니다. 그게 어언 3년 전이니 계속 당하고 있었던 셈이지요. 저 뿐만이 아니라 아파트 입주민 전체가 그 대상이라고 생각하면 이거 보통일이 아닌데 사실 범죄에 해당하는 짓만 하지 않으면 이 놈을 잡을 방법이 없으니 골치가 아프네요.
인터넷 서비스업체에서도 패킷분석을 한다던데 이제 더 이상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는 '자신의 것'만은 아닌것일까요.
도아님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야 안전할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저같은 사람들이 대부분의 사용자 아니겠습니까.
가장 의심가는게 윗집에 누군가인데... 고삐리가 한 마리 있던데 그 놈은 아닌것 같고... 들락날락하는 다른놈이 한 마리 있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확실한 증거는 없고...
이거 꼭 '살인의 추억'의 송강호가 된 기분입니다.
기분 정말 더럽군요.
네트워크나 보안 쪽에 전혀 지식이 없으니 예전에는 제가 알던 사람들을 무작정 의심하고 실제로 트러블이 생겼었는데 너무나 허탈합니다. 돌이키기 힘들지요... 저한테 추궁당한 지인들은 저를 완전 또라이로 보고 그랬습니다.......-_-
오늘 너무 짜증나서 아파트 관리사무소 MDF실에도 다녀왔는데 거기는 무슨 선만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더군요. 관히사무소 직원도 이상한 눈으로 쳐다보는데 제가 뭐라고 말해야 할지 난감했지요. 말해도 믿을지...
혹시라도 여기 오시는 다른 분들도 제 글 보고 있다면 해킹관련한 과도한 장난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하는 입장에서는 "뭐 이런것 쯤이야..."하겠지만 당하는 사람이 눈치챘을 때는 스트레스가 상상을 초월합니다.
안그래도 백수라서 신경쓰이는게 많은데 이런일에 맨날 시간을 뺏기니...
도아님 재밌게 보시라는 뜻에서 적었습니다...
며칠간 글을 너무 자주 남겼군요. 앞으로는 눈팅만 하겠습니다.
행여나 제 사연에 뭔가 저만의 오해의 소지가 될만한 것이 있다면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컴퓨터 학원을 다녀야 할라나...-_-
...
소주가 마시고 싶군요.
일단 svchost.exe가 Winsock2 LSP 레지스트리를 변경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무엇때문에 잡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확언은 힘듭니다. 다만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에서 상당히 중요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차단하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두번째로 같은 클래스내에서 패킷 분석으로 잡아내는 것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암호와 같은 것의 유출이 우려된다면 https를 통해 로그인을 제공하는 사이트만 로그인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즉, https를 통해 로그인하는 사이트의 암호와 일반 허접한 사이트의 암호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저는 컴퓨터 로그인 암호, 허접한 웹 사이트 암호, 꽤 큰 규모의 웹 사이트 암호, 인터넷 금융권 암호가 모두 다릅니다. 그리고 아파트 전체가 LAN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면 패킷 분석으로 아파트 전체를 감시할 수는 없습니다. 감시는 같은 크래스내에서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상대가 패킷을 잡아내는 것 같으면 공유기의 MAC 주소를 다른 것으로 바꾸시기 바랍니다. MAC 주소를 바꾸면 IP가 바뀌며, 이 경우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다른 크래스의 IP가 할당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168.192.3.4가 기존의 IP였다면 168.192.5.8처럼 세번째 주소까지 바뀌도록 MAC 주소를 바꾸면 됩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방명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