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 보신탕
보신탕에 개고기 대신 소고기를 넣어 끓인 걸 보통 '육개장'이라고 한다. 개장국(보신탕)을 개가 아닌 육(肉)으로 끓이기 때문에 육개장이다. 그런데 육개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신탕과는 다른 길(맛)을 걸었다. 따라서 요즘 육개장은 보신탕과 맛이 확연히 다르다. 이 때문에 다시 시도된 음식이 소고기 보신탕으로 보인다. <사진 출처: ‘소고기 보신탕’ 잡숴는 봤나?>
초복, 중복, 말복.
이런 복날에 우리선조들은 우리가 알고 있듯이 보신탕이나 삼계탕을 즐겨다고 한다. "개고기가 임금님 수랑상까지 올랐다"는 얘기가 있는 걸보면 개고기는 우리 민중에게 상당 보편화된 음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서구 유럽은 주로 목축을 했던 유목민족이었다. 이러한 유목 민족에게 개는 그들의 동료이자 가족이었다. 우리민족은 전통적으로 농경민족이었으며, 이러한 농경민족에게 개는 돼지나 소와 조금도 다름 없는 가축이었다.
개고기를 먹는 우리 민족을 서구인들은 야만인이라고 평한다.
자기들 보기에 좋지 않다고 귀를 짜르고 꼬리를 자르고 심지어는 종을 말살하는 행위(거세)를 "너희들을 위해서 한다"는 식으로 서슴없이 자행하고 그것으로 모자라 남의 먹거리 문화를 야만으로 치부하는 자들을 과연 지성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지성이란 단순히 그 나라의 문명정도, 그사람의 지식수준, 연령 수준을 표현하는 말이 아니다. 지성이란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지는 못해도 최소한 다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개고기를 먹는 우리가 야만인이라면 개의 본질을 무시하고 종을 말살하고 남의 먹거리 문화를 야만이라 평하는 그들은 과연 무어라 불러야 할까?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지성의 부족으로 치부해 버릴 수 있다. 그러나 자기 나라의 문화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무엇이라 불러야 할까?
외국인들에게 잘보이려고 자기 나라의 먹거리 문화를 말살하고,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둘째치고라도 자신의 문화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자기 나라의 먹거리 문화를 야만이라 평하는 사람들은 무어라 불러야 할까?
우리 문화, 우리 먹거리를 살립시다.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