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볶음탕 vs 닭도리탕 vs 닭매운찜

이전 글에서 알 수 있듯이 닭도리탕은 닭이라는 우리 말에 말 도리가 붙어서 만들어진 말(서정범 교수 의견)이다. 아울러 도리는 다시 우리 말 다리(닭에 주격조사 이가 붙은)가 으로 건너간 말이다. 따라서 닭도리탕의 도리는 말이지만 또 우리말이기도 하다.

문제는 닭도리탕의 순화어로 만든 닭볶음탕. 일반적으로 볶음과 탕은 조리 방법이 다르다. 그런데 이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어색하다'는 주장이 있다. 오히려 닭도리탕의 '도리'가 일본말 도리(새)에서 온 것이 아니라 우리말 '도리'에서 온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의견이 있다.

윗도리, 아랫도리 등에서 알 수 있듯이 도리는 토막, 부분, 베어내다의 뜻이 있으므로 닭을 토막내서 만든 탕으로 닭도리탕을 쓰자는 의견이다. 결국 닭도리탕의 도리이냐 아니면 우리말이냐가 관건인 셈이다.

그러나 먹어본 사람을 알 수 있지만 닭도리탕탕과 찜의 중간 형태이다. 찜보다는 국물이 많고, 탕보다는 국물이 적다. 따라서 닭도리탕나 닭볶음탕 보다는 닭매운찜이 순화어로서 더 적당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은 이야기

닭도리탕의 도리말 도리(새)에서 왔다는 주장은 경희대 서정범 교수의 의견이었다. 그러나 닭도리탕의 '도리'가 도리질하다, 도리다에서 온 말로 우리 말이기 때문에 '바꿀 필요가 없다'는 보다 적극적인 의견이 올라왔다.

'닭도리탕' 일본식 용어 아니다

참고로 국립 국어원을 검색해 보면 도리의 어원을 조리(됴리)로 보는 사람도 있다. 또 과거 문헌을 찾아 도리탕이 평양, 송도 등지에서 과거 부터 즐겨왔던 조리법이라는 글도 있다.

관련 글타래

글쓴이
author image
운영체제의 모든 것을 운영하고 있는 IT 블로거. IT 블로거라는 이름은 현재 시국때문에 시사 블로거로 바뀐 상태다. 그러나 나는 아직도 시사와 사회에 관심이 많은 IT 블로거일 뿐이다. 컴퓨터, 운영체제, 시사, 가족, 여행, 맛집, 리뷰등과 살면서 느끼는 소소한 일상이 블로그의 주제이다. 왼쪽의 아이콘은 둘째 딸 다예가 그린 내 모습이다.
2007/08/02 16:31 2007/08/02 16:31
오늘의 글
인기있는 글
조회수 많은 글 | 베오베
댓글 많은 글 | 베오베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