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터 플러그인: StripBRTags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난 글을 올릴 때 <PRE>를 자주 사용하는 편이다. <PRE>를 사용하는 이유는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탭을 이용해서 간단히 정렬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E> 태그 내 모든 공백 문자(공백, 탭, 개행등)는 있는 그대로 처리된다. 즉, HTML 내에서는 공백을 아무리 많이 삽입해도 공백 하나로 표시되지만 <PRE> 태그 내에서 공백을 여러 개 삽입하면 삽입한 만큼 추가된다.

물론 탭과 개행 문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자동으로 HTML로 변환하는 경우 <PRE> 태그 내 문자열에 대해서는 <BR> 태그를 붙이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태터툴즈 0.9x부터 현재 배포되고 있는 1.0.4까지 모든 버전이 <PRE> 태그 내 개행 문자에 <BR> 태그를 붙이고 있다.

QAOS.com 팁을 블로그에 올리면 <PRE> 태그의 개행 문자에 자동으로 <BR> 태그가 붙어서 줄 사이의 간격이 배가 넓어진다. 따라서 QAOS.com 팁을 블로그로 올리면 수작업으로 개행 문자를 <BR> 태그로 바꿔서 올리곤 했다. 이렇게 QAOS.com 팁을 블로그로 올리다 보니 수작업으로 변환하는 것이 귀찮아 지금은 모두 링크로 처리하고 있다.

아무튼, 사설이 조금 길어졌다. '목마른 놈이 우물 판다'고 이 플러그인 역시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해 작성한 플러그인이다. 블로그에 글을 올리면서 <PRE>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점을 생각하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이 플러그인을 사용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혼자 편해지려고 시작한 일이 의외로 많은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이렇게 공개하게 되었다.

이 플러그인은 태터툴즈가 <PRE> 태그의 개행 문자에 자동으로 붙이는 <BR> 태그를 제거하는 플러그인이다. 코드는 상당히 간단하지만 preg_replace 함수의 e 변경자가 perle 변경자와는 조금 다르게 동작하는 바람에 상당히 애를 먹었다.

설치하는 방법은 역시 간단하다. 내려받은 파일을 압축해제하고 좋아하는 FTP 프로그램으로 폴더째 태터툴즈 플러그인 폴더(plugins)에 복사한 후 '관리도구/환경 설정/플러그인 관리'에서 'StripBRTags'를 '미사용'에서 '사용중'으로 변경하면 된다.

다음 그림은 이 플러그인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 결과이다.

사용전사용후

관련 글타래

글쓴이
author image
운영체제의 모든 것을 운영하고 있는 IT 블로거. IT 블로거라는 이름은 현재 시국때문에 시사 블로거로 바뀐 상태다. 그러나 나는 아직도 시사와 사회에 관심이 많은 IT 블로거일 뿐이다. 컴퓨터, 운영체제, 시사, 가족, 여행, 맛집, 리뷰등과 살면서 느끼는 소소한 일상이 블로그의 주제이다. 왼쪽의 아이콘은 둘째 딸 다예가 그린 내 모습이다.
2006/04/29 17:02 2006/04/29 17:02
오늘의 글
인기있는 글
조회수 많은 글 | 베오베
댓글 많은 글 | 베오베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