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캐스트로 승화된 네이버 펌질 시스템


오픈캐스트

메인을 언론사에 개방한 는 연이어 '오픈캐스트'라는 서비스를 통해 메인을 일반인에게 공개했다. 오픈캐스트는 뉴스캐스터처럼 오픈캐스터가 기사가 될만한 글을 모으고 이렇게 모은 글을 하루 1700만명이 방문한다는 초기 화면에 발행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언론사를 휘청이게 하는 메인에 자신 모은 글이 오를 수 있다는 것 하나 만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목차

오픈캐스트

'얼마 전 네이버 메인의 뉴스를 네이버가 아닌 각 언론사로 접속하도록 바꾸었다. 시스템이 이렇게 바뀌자 각 언론사의 많은 광고 때문에 사용자는 불평불만이 많았다. 아울러 각 언론사는 가 넘겨주는 '트래픽 폭탄'에 행복한 웃음을 지었다. 그러나 대신에 이어지는 '스팸 댓글의 폭격'으로 또 다른 고민을 떠 안았다. 아주 간단한 사실이지만 이 부분은 우리나라 IT 업계에서 가 가진 위상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다.

메인을 언론사에 개방한 는 연이어 오픈캐스트라는 서비스를 통해 메인을 일반인에게 공개했다. 오픈캐스트는 뉴스캐스터처럼 오픈캐스터가 기사가 될만한 글을 모으고 이렇게 모은 글을 하루 1700만명이 방문한다는 초기 화면에 발행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언론사를 휘청이게 하는 메인에 자신 모은 글이 오를 수 있다는 것 하나 만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따라서 상당히 많은 블로거들이 이미 오픈캐스터에 참여하고 있다. 또 '오픈캐스트'를 통해 트래픽 폭탄을 맞은 사람도 있다. 얼핏 보면 일반 블로거에게 개방된 다음 블로거뉴스와도 비슷하다. 오픈에디터라는 이름이나 오픈캐스터라는 이름도 개념상 유사한 부분이 많다.

나는 를 사용하지 않는다. 아울러 에 관심도 없다. 내가 를 방문하는 것은 내 글을 펌로거가 퍼갔을 때, 그리고 그 글을 삭제하기 위해 게시 중단을 요청할 때 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며칠 전 웹초보님의 링크 건다고 죽일 놈??이라는 다소 자극적인 제목의 글을 보고 '오픈캐스트'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기본적으로 나는 링크는 웹의 정신 깔끔한 오픈캐스트

UI부터 답게 화려하고 깔끔하다. 또 공간을 여백의 미를 적절하게 화려한 듯 보는 사람의 부담이 별로 없다.

오픈캐스트를 보다 보니 UI는 확실히 답다는 생각이 든다. 깔끔하고 군더더기가 없다. 초보자의 눈길을 사로 잡을 수 있도록 화려하며 직관적이다. 간결함을 좋아하는 나 같은 사람들에게는 번잡해 보이지만. 또 원하는 캐스트를 찾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나 '검색 보다는 클릭'을 '알아 내기' 보다는 '가르쳐 주기'를 원하는 초보자에게는 딱 맞는 UI라는 생각이 든다.

여기에 각각의 캐스트를 구독하는 기능까지 있다. 여기까지는 "잘 개방했다"는 생각도 든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바로 구독이다. 보통 구독이라고 하면 RSS 구독을 생각한다. 그래서 전체 공개와 부분 공개가 블로그의 영원한 떡밥인 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구독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고 싶어서 구독 단추를 클릭했다. 그리고 나타나는 로그인 창.

다른 사람의 글 - 물론 자신의 글도 포함된다 - 을 모으고 이렇게 모은 글을 편하게 구독하려고 하는데 '왜 로그인창이 필요할까?' 재미있지만 '다른 블로거의 힘으로 만들어진 오픈캐스트는 사용자만 구독할 수 있다'. 즉, 에 가입하지 않으면 구독 그 자체가 불가능한 서비스가 바로 오픈캐스트라는 이야기이다.

구독은 사용자만

구독 단추를 누르면 로그인 창이 나타나며 로그인한 뒤 구독 단추를 누르면 그림과 같은 창이 나타난다. 오픈캐스트라고 이름을 달고 있지만 웹 2.0이 지향하는 개방과는 다른 의미의 개방인 듯하다.

는 펌로거를 이용해서 인터넷에 널린 수 없이 많은 컨텐츠를 자사의 DB로 퍼와 성공한 업체다. 그래서 '에는 봇이 필요없다'는 이야기까지 있다. 그런데 '오픈캐스트' 역시 이런 범주에 벗어나지 않는다. 펌질을 문제가 되지 않을 링크로 바꾸었다. 그리고 ' 펌로거'로는 좋은 링크를 발굴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 메인이라는 떡밥'을 이용해서 좋은 링크를 모을 사람(오픈캐스터)을 모았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모은 링크를 사용자에게만 제공한다.

'오픈캐스트'를 보면 이전 '의 펌질 시스템을 한단계 판올림한 시스템'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만 있는 것이 아니다. '오픈캐스트' 목록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저작권자가 표시되지 않는다. 물론 '오픈캐스터가 설정'할 수는 있으며, 링크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난다고 한다.

웹초보님의 오픈캐스트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마우스를 올려 두면 저작자 정보가 표시된다. 그러나 목록에는 저작자 정보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글과 다른 사람의 글을 섞어서 올리면 헛갈릴 수 있다.

가 시스템적으로 강제하면 모든 오픈캐스터가 다 저작권 정보를 표시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이 부분을 '오픈캐스터의 재량'에 맡긴다. 그러면 지금처럼 저작권자 표시가 사라진다. 물론 이 부분에 대한 비난이나 책임은 가 지지 않는다.

절묘하다.

일부러 이런 시스템을 만든 것인지 아니면 내가 를 곡해하고 있는 것인지 헛갈린다. 다만 '펌질 시스템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것 같다는 느낌이 떠나지 않는다. 그런데 나만 그런 것일까?

관련 글타래

  1. 링크는 원리이지 정신이 아니라는 쓸데없고 소모적인 댓글은 사양한다. 
  2. 이 부분은 다음이 보다 '현명했다'고 생각한다. 어찌되었 건 이런 논란의 소지를 미리 잘랐기 때문이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