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프로그램 12. 종합선물세트
[desc]추억의 프로그램|어제 "추억의 프로그램 10. 추억 연상 릴레이"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릴레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야기 5,3
이야기는 프로그램도 프로그램이지만 조금 독특한 면이 많았습니다. 프로그램을 풀그림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그렇고 판번호를 5.3처럼 쓰는 것이 아니라 5,3처럼 표시했습니다. 다섯번째 마당, 세번째 고개라고 읽었던 것 같다.
천리안, 케텔, 코텔, KOL, 하이텔, 컴퓨서브 모두 PC 통신 업체입니다. 천리안은 데이콤에서 제공한 PC 통신이며, 케텔은 한국경제신문에서 제공한 PC 통신입니다. 케텔이 한국통신에 인수되며, 코텔, KOL등의 이름을 사용하다 마지막으로 하이텔로 바뀌었습니다. KOL은 'Korea OnLine'의 줄임말로 컴퓨서브를 인수한 AOL(American Online)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컴퓨서브는 사설 BBS처럼 알고 있는 사람도 많지만 미국 최대의 PC 통신 업체였습니다. 그러나 후일 AOL에 인수됩니다. 호롱불은 사설 BBS를 운영할 수 있는 호스트 프로그램입니다. 저 역시 학교에서 이 프로그램으로 사설 BBS를 잠시 운영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공대에서 전화요금 조사에 착수하면서 그만 둔적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샵은 SysOp(System Operater)의 줄임말입니다. 보통 PC 통신에서 동호회 운영자, 사설 BBS의 운영자를 말합니다. 참고로 나우누리가 빠진 것은 제 실수입니다. 나우누리 탈퇴시 좋지 않은 일이 있기는 했지만 PC 통신 업체 중 가장 좋아했던 업체가 나우누리 입니다.
PC 통신이 인기를 끌자 한국통신에서는 이런 단말기를 무료로 대여해 주었습니다. 내가 아는 한 주부는 이 단말기로 하루 종일 채팅을 했습니다. 전화비만 40만원. 그러나 역시 추억의 장치입니다. [출처: 아래아 한글 1.51
'아래아 한글' 1.51은 상당히 가볍습니다. 5.25인치 디스켓 한장에 모두 들어갑니다. 또 디스켓을 나누면 XT에서도 돌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 '아래아 한글'이었습니다.
노턴 커맨더는 모르는 분이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최고의 프로그램에서 초보자에게 인기가 좋은 MDIR
'DOS Navigator'에 비해 기능은 훨씬 떨어지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 국산 파일관리자이다. 사용자 설정 기능이 좋기 때문에 노턴 커맨더에 적응하지 못한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했다.
CP/M은 디지탈 리서치에서 만든 운영체제입니다. PC DOS는 CP/M 호환 도스를 소스로 Microsoft에서 만든 운영체제입니다. 당시 IBM은 하드웨어의 구조를 공개하는 '오픈 아키텍처 정책'을 사용했습니다. 이덕에 컴팩과 같은 많은 IBM 클론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클론은 있지만 이 클론에서 동작하는 운영체제가 없었습니다.
Microsoft는 자사의 운영체제를 팔고 싶었지만 당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 끼워주는 물건이라는 인식이 강했습니다. 이에따라 IBM에서 운영체제 판매를 제한하자 Microsoft는 IBM을 제소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재판에서 Microsoft가 이깁니다. 즉, 이때부터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 따로 판매할 수 있는 제품으로 인정받게됩니다. 따라서 이 재판에 승리함으로서 Microsoft는 오늘 날의 거대제국을 이루는 초석을 다지게됩니다.
이후 IBM PC에 번들된 운영체제는 PC DOS, Microsoft가 판매한 운영체제에는 MS DOS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 뒤 디지탈 리서치에서는 MS DOS와 호환이되며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를 발표하는데 이 운영체제의 이름이 디지탈 리서치의 이름을 딴 DR DOS 비운의 운영체제, OS/2
탁월한 성능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지만 킬러 어플리케이션 부재로 사라진 비운의 운영체제입니다. 1996년 등장한 OS/2 Warp 4.0은 2000 정도의 안정성과 2000 서버 정도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출처: OSNews]
모노크롬과 허큘리스는 모두 단색을 지원하는 모니터(또는 카드)들 말합니다. 똑 같이 단색을 지원하지만 허큘리스는 명암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모노크롬에 비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아울러 모노크롬은 검은색 배경에 녹색 글씨를 사용하며 허큘리스는 검은색 배경에 흰색 글씨를 사용합니다.
CGA는 4색 컬러를 지원하는 컬러 모니터를 말합니다. 해상도는 허큘리스의 절반 정도이기 때문에 폭넓게 사용되지는 못했습니다. EGA는 16색을 지원하는 모니터를 말합니다. 해상도는 허큘리스와 비슷합니다. VGA는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아날로그 디스플레이의 표준이며 IBM에서 1987년에 출시한 방식으로 640x480 해상도를 지원합니다.
SimCGA는 말 그대로 CGA를 흉내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당시에는 허큘리스 모니터가 일반적이었습니다. 반면에 게임은 그 특성상 컬러가 많았습니다. CGA에서 동작하는 게임을 허큘리스에서 할 수 있도록 CGA의 4색 컬러를 허큘리스의 명암으로 바꿔 시뮬레이션(흉내)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페르시아의 왕자
당시 게임으로는 상상할 수도 없는 부드러운 움직임, 빵빵한 사운드 때문에 인기를 끈 게임입니다. 다시 해봐도 움직임은 정말 부드럽습니다.
모두 CPU에 대한 별칭입니다. XT는 8086, AT는 80286, SX, DX는 80386 프로세서를 말합니다. SX와 DX의 차이는 외부 버스의 차이 때문에 붙인 이름입니다. 80386은 1985년에 발표되지만 가격이 비싸 보급되지 못했습니다. 이에따라 1988년 16비트 외부 버스(Single-word eXternal)를 사용하는 80386SX를 발표하게됩니다. DX는 종래의 80386과 SX를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으로 32비트 외부 버스(Double-word eXternal)를 사용합니다.
80586이 나오면서 사라지지만 80486까지는 CPU와 '수치 연산 전용 프로세서'가 따로 있습니다. 80387, 80487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 수치 연산 전용 프로세서를 모두 코프로세서(보조 프로세서)라고 불렀습니다.
마지막으로 MMX는 MultiMedia eXtension의 약어로서 펜티엄(80586)에 멀티미디어 명령 집합을 포함한 프로세서를 말합니다. 80586 프로세서가 등장한 뒤 이어 등장한 프로세서입니다. 저 역시 현주컴퓨터의 80586MMX를 무려 250만원에 구입한 기억이 있습니다.
모니터, 본체, 키보드의 구성을 같지만 시스템은 완전히 다릅니다. 초기 컴퓨터는 사진처럼 받침형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또 지금은 찾아 보기도 힘든 5.25인치 디스켓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출처: 지금은 구하기도 힘든 모뎀
요즘은 광랜이 일반적이지만 당시에는 이런 모뎀을 사용했습니다. 2400bps 모뎀이 고속 모뎀으로 평가받던 시절입니다. [출처: 지금도 그리운 FTP Search
Sonique와 더불어 Lycos에서 말아 먹은 대표적인 서비스입니다. Lycos에서 인수하기 전까지 최고의 와레즈 검색 엔진으로 각광 받은 서비스였습니다. [출처: 최고의 셀, 4DOS
JPSoft에서 개발한 최고의 도스용 셀입니다. 도스가 사라진 지금도 비스타의 명령행 대신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LASTDRIVE=Z DOS=HIGH,UMB SHELL=C:\DOS\4DOS.com STACK=9,256 DEVICEHIGH=C:\DOS\HIME.SYS /TESTMEM:OFF BREAK=on
'LASTDRIVE'는 사용할 수 있는 마지막 드라이브를 지정하는 명령입니다. 'DOS=HIGH,UMB'는 상위 메모리를 사용하겠다는 명령, 'SHELL'은 MS DOS의 기본 셀인 command.com 대신에 다른 셀을 사용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STACK'은 말 그대로 버퍼 메모리를 지정하는 명령어이며 DEVICEHIGH는 장치(드라이버)를 상위 메모리로 올릴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상위 메모리로 올리는 명령이 많은 이유는 DOS는 빌게이츠의 말처럼 640KB 이상의 메모리를 바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ECHO OFF LH C:\DOS\SMARTDRV.EXE 2048 1024 /n /q PROMPT $p$g PATH C:\;C:\DOS;C:\Gain SET TEMP=C:\Windows\Temp
배치 파일은 요즘도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ECHO OFF'는 명령을 실행하면서 실행하는 명령을 표시하지않도록 하는 명령입니다. 'LH'는 프로그램을 상위 메모리에서 실행하는 명령, 'PROMPT'는 프롬프트를 바꾸는 명령으로 '$p$g'는 현재 경로와 꺽쇠를 표시를 의미합니다. 즉 이명령을 사용하면 프롬프트는 C:\>로 표시됩니다. PATH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찾을 경로의 순서를 지정하는 명령 볼랜드의 Quattro
볼랜드에서 개발한 Quattro입니다. 도스 시절 로터스123가 인기를 끌었지만 나중에는 Quattro가 더 인기를 끌게됩니다. 아울러 Quattro는 Windows 시절, 엑셀과도 경쟁합니다. [출처: 너무 편했던 터보C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지만 C에서 가장 유명한 Hello, World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ims, *.iss, *.rol, *.stm 모두 미디와 관련된 확장자 이며, implay는 미디 파일 플레이어입니다. 가사도 나오기 때문에 노래방 프로그램으로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다른 확장자는 눈에 익어도 *.stm은 눈에 익지 않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stm 확장자는 사운드 카드가 아닌 PC 스피커로 사운드 카드 못지 않은 소리를 재생했던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확장자 이기 때문입니다.
lha, lzh 모두 일본에서 개발된 압축 형식입니다. 먼저 lha가 나왔고 나중에 lzh가 등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일본에서는 다른 형식 보다는 아직도 lzh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arc도 압축 형식이지만 압축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스 초기에만 잠시 사용된 형식입니다.
zip은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는 형식입니다. 일본에서 개발된 LHA
처음에는 lha라는 확장자를 사용했지만 나중에 lzh로 바뀝니다. 이 프로그램도 일본인의 자긍심을 높여 주는 듯 일본인이 만든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으로 압축한 것이 많습니다.

마우스도 없던 시절 키보드로 작업했습니다. 물론 마우스를 가지고도 그림을 잘 못그리기 때문에 주로 도형을 그릴 때 사용했었습니다.
사진은 블랙도아 2006의 사진입니다.블랙도아 2006에서 2007년 메인보드와 CPU를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여기에 모니터까지 24인치로 바꾼 상태입니다. 다만 컴퓨터를 너무 오래동안 켜두었기 때문인 듯 현재는 파워 LED가 들어오지 않습니다.
재미로 시작한 글인데 답을 알려 달라는 분이 계서서 답을 달다 보니 의외로 작업 시간이 상당히 길어 졌습니다. 원래 경품을 제공하지 않을 생각이었지만 글을 작성하신 분들의 성의를 생각해서 벨소리를 두곡씩 선물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에 트랙백을 보내신 분은 비밀 댓글로 다음 사항을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
글의 제목: "도아님의 글에 대한 제 답안.."
휴대폰번호: "011-3214-5698"
벨소리세곡: "추억의 노래방", "악몽같은 PC통신", "번개에서 만난 그녀"
트랙백 모음
벨소리를 세곡을 적는 것은 벨소리가 없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벨소리는 댓글을 확인하는대로 바로 바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아울러 이 글 이후에 들어오는 트랙백에는 벨소리가 없습니다. 다음은 트랙백 모음입니다.
- 도아님의 글에 대한 제 답안..
- 추억의 프로그램 릴레이
- [응모] 도아님의 추억의 프로그램을 보며 생각나는 대로.
- 추억 연상 릴레이
- 도아님의 글을 읽고 추억에 빠져서...
- 추억의 프로그램 연상 릴레이
- 저도 한번 적어봅니다..
- 컴퓨터 인터넷 1세대 사용자를 찾습니다.
- 심심해서 해본 추억 연상 릴레이.
- 추억 연상 릴레이 동참
- 컴퓨터 0세대 사용자라
- 20세기 향수를 느끼게 하는 추억의 연상 릴레이....
- 노턴 유틸리티, PC Tools 지금은 인터넷이 발달해서 프로그램을 구하기 쉽다. 그러나 당시... 새창
- 추억의 프로그램 10. 추억 연상 릴레이 요즘 연재하고 있는 글 중 하나가 추억의 프로그램입니다. ... 새창
- 추억의 프로그램 9. 도깨비 한글 요즘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한글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은 별로... 새창
- 추억의 프로그램 8. PCX(페인트브러시) 추억의 프로그램에는 가급적 한글 프로그램만 다룰 예정이... 새창
- 한메한글 for Window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만든 운영체제의 특징 중 하나는 생... 새창
- 파일 복사와 같은 기본 기능 이외 기능을 말합니다. ↩
- 원래 MS DOS는 하드웨어와 함께 공급되었고 DR DOS는 판매용으로 만들어진 도스입니다. ↩
- 통신에서 사용되는 변복조는 이 보다 넓은 뜻을 가집니다. ↩
- 디지탈 통신 방식의 일종. PSK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위상 변조 기법의 일종입니다. ↩
- MNP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
- 톤 방식도 있고 펄스 방식도 있습니다. 구형 전화기는 펄스 방식을 사용합니다. ↩
- 유사한 명령으로 APPEND라는 명령도 있습니다. ↩
- 이전 글에도 있듯이 닥터 할로가 아니라 드로윙 할로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