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프로그램 6. 한메 타자교사
명작 게임, 베네치아
보고서를 작성할 때도 아래아 한글 자판 배열을 인쇄한 종이를 보면서 세벌식으로 연습했다. 이렇게 한 20일 정도 연습하자 타자속도는 두벌식을 쓰던 때와 비슷해졌다. 타자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자 시작한 게임이 바로 타자게임의 명작 베네치아였다. 베네치아는 하늘에서 내리는 산성비(단어, 나중에 산성비가 바이러스로 바뀜)를 타자를 쳐서 없애는 게임이었다. 단순하지만 꽤 중독성있는 게임이었다. 아울러 베네치아는 타자 연습을 위해 한메 타자교사에 내장된 게임이었다.
한메 타자교사
나는 세벌식 사용자다. 컴퓨터를 처음 배울 때는 두벌식을 사용했었다. 대학원에서 장시간 워드 작업을 할 때였다. 이유없이 짜증이 밀려오고 심리불안이 엄습해 왔다 아래아 한글의 자판배열
이 화면을 잡아 인쇄한 뒤 코팅해서 가지고 다녔다. 이 자판배열 뒤에는 아래아 한글 단축키를 빼곡히 인쇄해 두었다. 워드 작업을 해보면 알 수 있지만 단축키는 워드 작업을 하는데 정말 효과적이다.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물의 도시 베네치아가 그 배경이다. 하늘에서는 산성비(단어) 베네치아 게임 스토리
당신은 베네치아를 아십니까?
아름다운 물의 도시 베니스가 있는
이탈리아 북부의 베네치아.
시인들에게는 깊은 사색을 그리고
연인들에게는 달콤한 사랑을 낳게 한 곳…
서기 2020년.
오랜 세월 바닷물에 의한 침식과 부식으로
다른 건물들은 자취를 감추고, 화려했던
추억과 마지막 희망을 안은 채 하나의
탑만이 물위에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이 베네치아의 하늘에
‘바이러스 군단’이 나타납니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이 바이러스들은
물속에 떨어지거나 탑에 떨어지는 순간,
탑을 지탱하고 있는 벽돌이
하나씩 하나씩 깨뜨려집니다.
탑을 지탱하고 있는 벽돌이 모두 깨어지면
우리의 사랑과 희망을 지닌 마지막 탑마저
물속으로 사라지고 말 것입니다.
‘베네치아를 사수하라!’
이제 베네치아를 지킬 마지막 소망이 바로
당신의 손에 쥐어 졌습니다.
바이러스를 막아 부디 베네치아를 무사히
지켜주십시오. 행운을 빕니다!
1.0에는 이 스토리가 없었던 것 같다. 매뉴얼에만 있었는데 판올림하면서 스토리가 추가된 것이 아닌가 싶다.
자리가 어느 정도 익숙해진 상태에서는 거의 매일 타자연습 보다는 베네치아 게임을 했다. 베네치아 게임을 하면 평균타수, 오타, 점수 등 서로 비교할 수 있는 데이타가 많이 제공되기 때문에 실력을 측정하는데에도 상당히 유용했다.
처음 세벌식만 지원하던 한메 타자교사는 나중에 두벌씩까지 지원한다. 국내에서는 드믄 "제대로된 타자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과 베네치아라는 인기 있는 게임 덕에 무명에 가까운 소프트웨어 회사 시작화면
1.0에서는 흑백이었는데 어느새 컬러로 바뀌었다. HJC와 HTT-는 등록자와 시리얼 번호다. 또 세벌식 빨래줄 글꼴과 유사한 한메소프트 로고가 아래쪽에 보인다.
당시 외국에서 나온 타자교사 프로그램은 손가락 움직임까지 보여 주었다. 그러나 한메 타자교사는 삼각형으로 어떤 손가락인지만 알려 준다.
기본자리를 익혔으면 실제 단어를 입력함으로서 자리를 연습한다. 이때는 타수와 정확도 최고 속도가 함께 출력된다.
이 화면을 잡은 이유는 왼쪽 아래의 '사이띄개를 누르세요!'라는 문구 때문이다. 스페이스가 익숙한 요즘이지만 당시에는 이렇게 명작 베네치아 게임
단순하지만 재미있는 베네치아 게임이다. 위에서 떨어지는 단어를 입력한 뒤 사이띄개를 누르면 단어가 사라진다. 색깔이 다른 아이템도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은 추억의 게임 3. 브릭스를 참조하기 바란다.
말랑말랑 산성비
한컴에서 만든 웹판 베네치아. 스토리는 좀 다르지만 산성비라는 초기 스토리 그대로 복원했다. 게임하는 방법도 거의 똑 같다. 다만 세벌식 390은 지원하지 않는다. 처음 접속하면 두벌식으로 표시되며 단계 조정하기에서 2벌식, 3벌식 최종, 쿼티로 바꿀 수 있다.
말랑말랑 산성비로 이동
남은 이야기
한메 타자교사 1.2판 표준글자판 세벌식으로 정착 움직임
- 추억의 프로그램 3. 아래아 한글 여전히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실행한 명령이 `del .`이었... 새창
- 추억의 프로그램 2. 새롬 데이타맨 요즘은 크랙도 하지 않고 해킹도 하지 않지만 한때 나우누리 ... 새창
- 추억의 프로그램 1. 이야기 이야기는 하늘소라는 경북대 전자과 동아리에서 만든 프로그램이다... 새창
- 추억의 프로그램 5. Windows 3.1 Norton Commander의 클론인 PIE Commander로 출발해서 NC... 새창
- 추억의 프로그램 4. CorelDraw 회로가 완전히 바뀌었다면 그래도 괜찮은데 오탈자 때문에 ... 새창
- 당연한 이야기지만 자판을 보고 치는 단계나 종이를 보고 치는 단계에서는 이런 현상이 없다. ↩
- 나중에 KOL, KOTEL, HITEL 등 이름으로 바뀌었고 현재는 서비스가 중지된 상태다. ↩
- '가나'를 친다고 할 때 '간ㅏ'를 치면 받침 'ㄴ'이 순간적으로 옆으로 이동해서 '간ㅏ'가 '가나'가 되는 현상을 말한다. ↩
- 그래서 장시간 사용한 프로그램은 정말 많지 않다. ↩
- 요즘 한글문화원은 공병우 박사님이 계실 당시의 한국문화원과 차이가 있는 것 같다. ↩
- 이때 한 백장 정도 얻어와서 대학원 내내 홍보한 덕에 백장을 거의 다 소모했다. 이중 약 30% 정도가 세벌식으로 전환했기 때문에 약 30명 정도의 동지를 만든 셈이다. ↩
- 한겨레 신문이 맞다. 글을 쓰고 10년 정도 지난 뒤 우연히 한겨레 신문 1990년 3월 1일자 기사라는 걸 알았다. 더 자세한 내용은 남은 이야기를 참조하기 바란다. ↩
- 학부 3학년 때 무능교수 퇴진운동으로 쫓아낸 교수다. 물론 나는 학회임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이 퇴진운동을 한 사람 중 하나다. 당시 "학부교육은 절대 시키지 않겠다"는 학교의 확답을 듣고 퇴진운동을 끝낸 기억이 있다. ↩
- 이 교수님은 두벌식 사용자였다. 나처럼 세벌식을 배우기 위해 한메 타자교사를 구입했는지 아니면 세벌식만 지원하는 걸 모르고 구입했는지 아직도 의문이다. 침고로 이 교수님은 세벌식으로 전환하지 못했다. ↩
- 학부생들에게 PC일반을 가르치는 교수지만 아는 도스 명령어는 dir, cd가 전부였다. 수업이 어땠을지 짐작이 간다. ↩
- 아래아 한글과 한메 타자교사 개발진 중 상당수가 우리나라 벤처산업을 이끈 주역이 되었다. ↩
- 아래아 한글에 이어 한메 타자교사를 쓰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
- 무엇이든 두번 하는 것을 싫어한다. ↩
- 두벌식을 사용할 때는 정식으로 타자를 배운 것이 아니다. 자판을 보고 치는 독수리 타법이었기 때문에 빨라야 200타정도가 나왔다. 참고로 독수리 타법으로 500타 가까이 나오는 후배가 있었다. ↩
- 내 기억으로는 산성비였던 것 같은데 한메 타자교사 3.0에는 바이러스 군단으로 나온다. ↩
- 한메 타자교사를 출시할 때는 무명이지만 얼마 뒤 윈도용 한메 한글을 출시함으로서 국내 한글 소프트웨어 이인자로 등극한다. Microsoft의 '확장 완성형' 체제가 굳어지지 않았다면 한메소프트도 한글과 컴퓨터 만큼 성장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
- 내가 타자 연습에 사용했던 한메 타자교사가 1.2판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