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로 아이폰이 들어올 수 없는 이유

2009/06/09 12:23

아이폰 출시

요 며칠 사이 트위터에서는 WWDC 2009에서 출시될 아이폰(iPhone)과 국내 아이폰 출시에 대한 소문가 끝없이 돌았다. 작년부터 지금까지 내가 한 말은 "국내 통신사를 생각하면 아이폰의 국내 출시는 사실 상 힘들다"였다. 사람들은 아이폰 출시를 가로막는 것을 '위피'로 봤지만 나는 위피가 아니라 '국내 통신사의 문제', '국내의 이동통신 환경'을 꼽았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나중에 하겠지만 아무튼 'WWDC 2009' 아이폰 출시국가 목록에 우리나라는 없었다. 나중에 출시될 6개 국가는 "한국 빼고다"라는 농담까지 있다.

목차

아이폰 출시

요 며칠 사이 트위터에서는 WWDC 2009에서 출시될 아이폰(iPhone)과 국내 아이폰 출시에 대한 소문가 끝없이 돌았다. 작년부터 지금까지 내가 한 말은 국내 통신사를 생각하면 아이폰의 국내 출시는 사실 상 힘들다였다. 사람들은 아이폰 출시를 가로막는 것을 위피로 봤지만 나는 위피가 아니라 '국내 통신사의 문제', '국내의 이동통신 환경'[1]을 꼽았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나중에 하겠지만 아무튼 'WWDC 2009'의 아이폰 출시국가 목록에 우리나라는 없었다. 나중에 출시될 6개 국가는 "한국 빼고다"라는 농담까지 있다.

7월 23일 출시되며 Wi-Fi 대신에 와이브로가 들어간 4G 아이폰이 나올 것이라는 소문까지 돌았다. 'Wi-Fi' 대신 와이브로를 넣는다면 딱 KT의 입맛에 맞는 결과다. 현재 이통사에서 주장하는 무제한 무선 정액제를 내놓을 수 없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를 꼽는다. 하나는 무제한으로 풀리게 되면 사용량의 증가로 '회선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과 'CP를 버릴 수 없다'는 점이다. 둘다 타당성이 없는 이야기는 아니다. 그러나 이 두 가지가 무제한 정액제를 할 수 없는 이유가 되지는 못한다.

지난 주 방송통신이용자보호원에서 주관한 모바일 인터넷 활성화 방안에 참석했다. 여기서 들은 방통위, SKT, KT의 이야기의 이야기는 사용자의 생각과는 너무 달랐다. 마케팅 인사이트의 조사에서 무선 인터넷 활성화를 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 1. 비싼 무선 데이타 요금, 2. 비싼 정보 이용료, 3. 필요 없음을 꼽았다. 요금이 비싸고 WAP을 기반으로 한 현재의 무선 인터넷이 어떤 매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비싼 이용요금이 53.9%, 필요 없음이 30.2%로 전체 84.1%에 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요성은 못느끼는 이유는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의 복잡성과 유선과는 다른 UI에 기인한다.

이 부분은 사업자의 마케팅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업체측에서 내놓은 무제한 요금제는 모두 WAP과 자사의 CP를 이용하는 경우에 국한되어 있었다. 즉 비싼 요금과 불편한 UI를 고수한 요금정책외에 실제 무선 인터넷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요금제는 없었다.

"SKT는 직원수 4000명에 12조의 매출을 올렸다"[2]고 한다. SKT 직원이 각자 분발해서 이런 매출을 올리는 것이라면 쌍수를 들어 환영할 일이라고 본다. 그러나 각종 부가서비스와 알게 모르게 나가는 요금, 여기에 한때는 1000만원까지 나온 무선 데이타 요금도 이런 매출에 분명히 일조했다. 아무튼 모바일 인터넷 활성화 방안에 참석하며 느낀점은 사용과와 업체의 간극이 커도 너무 크다는 점이다.

또 떡밥

어차피 아이폰은 국내에 나오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다. 따라서 WWDC의 결과가 나에게는 당연한 것이었다. 그러나 잔뜩 기대한 많은 사람들은 이런 결과에 상당한 충격을 먹은 듯했다. 작년부터 지금까지 가장 큰 떡밥은 아이폰이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아이폰은 출시하지 못한다. 작년부터 이야기한 것처럼 아이폰 출시 불발은 "위피의 문제가 아니라 이통사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이폰이 들어오려면 이통사가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통사는 바뀔 생각이 없다".

앉아서 수조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큰 떡밥을 두고 스스로 고생할 이유는 없다. '아이폰을 국내에 들여오고 싶다'면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다. 모두 SKT, KT를 버리고 무선 인터넷 요금이 가장 싼 LGT로 가는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내가 LGT를 홍보하는 것 같지만 아니다. 소비자가 무서운 줄 알아야 통신사가 정신을 차린다.

얼마 전 범민련 초대의장을 지낸 강희남 목사님이 자살하셨다. 고인의 죽음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나는 고인의 죽음보다 더 안타까운 것이 있다. '나이 여든아홉의 노목사도 아는 것'을 소비자는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강희남 목사님은 유서에 "민중이 아니면 나라를 바로 잡을 주체가 없다"고 쓰고 있다.


[출처: 범민련 전 의장 강희남 목사 자살]

그렇다. SKT나 KT를 제재하는 가장 강력한 힘은 바로 불매운동이다. 그러나 아이폰을 들여 오기는 원해도 오늘 당장 SKT나 KT에서 LGT로 갈사람은 별로 없다.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바로 이런 이중성이 이명박을 대통령으로 만들고, 삼성과 같은 부도덕한 기업을 일류로 만드는 것이다.

들에서 알 수 있지만 나는 통신3사 중 LGT를 가장 싫어했다. 를 사용하며 이런 감정이 어느 정도 희석되기는 했지만 역시 LGT를 가장 신뢰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LGT 고객(우엉맘)이다. 또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이 고장나면 나 역시 LGT로 번호이동을 할 생각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현명한 소비가 좋은 기업을 만들기 때문이다.

아이폰 떡밥에 속는 사람들을 위한 기사

아이폰 왜 한국에는 안나왔나?

그럼 이젠 아이폰을 국내에서 볼수 있을까. 이와 관련 KT와 SK텔레콤 등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도 결정된 사항은 없다"는 입장이다. 그나마 국내 이동통사들이 아이폰 도입과 관련, 소극적에서 전향적으로 바뀐 것이 예전과는 달라진 상황. 특히 이통사 고위 관계자는 " 아이폰을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빨라야 올 연말경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도입을 검토중인 제품은 이번에 발표된 신제품이 아닌 이미 시장에 출시된 구형 제품"이라고 귀띔하기도 했다.

관련 글타래


  1.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따로 글을 올릴 생각이다. 
  2. KT는 직원수 4만에 16조의 매출이라고 하니 KT 보다는 SKT의 일인당 매출이 높다. 그러나 이 부분은 KT의 비효율성에 기인한다고 본다. 

Tags

iPhone, iPod Touch, Twitter, WWDC, 아이팟 터치, 아이폰, 와이브로, 위피, 이동통신, 통신사, 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