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의 된장찌개
대만에서 한국으로 시집온 이 새댁은 시집에 오자 마자 문화적인 충격을 받아야 했다.
"시어머니가 어디서 역한 냄새가 풍기는 똥을 퍼오셨다. 그리고 그 똥을 물에 섞고 야채를 넣고 떠 먹어 보신다. 그뒤 그 똥물을 먹으라고 하신다. 시어머니가 차려주신 음식이라 한 수저 떠서 먹었지만 이내 모두 토하고 말았다."
이 새댁에게 몇년 뒤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물어봤다. 된장국이라고 한다.
외국인의 된장찌개
친구 중 86년도에 배낭여행을 한 녀석이 있다. 요즘이야 배낭여행이 한 시류가 됐지만 당시 배낭여행은 정말 드문 경우였다. 이렇게 배낭여행을 나선 녀석은 이탈리아에서 대만 아가씨를 만났다. 배낭여행을 가지 않았다면 절대로 만날 수 없는 인연이지만 배낭여행덕에 녀석은 대만 아가씨와 혼인을 했다. 당시에는 배낭여행도 흔치않은 일이고 또 국제결혼도 흔치않은 일이었다. 대만에서 한국으로 시집온 이 새댁은 시집에 오자 마자 문화적인 충격을 받아야 했다.
시어머니가 어디서 역한 냄새가 풍기는 똥을 퍼오셨다. 그리고 그 똥을 물에 섞고 야채를 넣고 떠 먹어 보신다. 그뒤 그 똥물을 먹으라고 하신다. 시어머니가 차려주신 음식이라 한 수저 떠서 먹었지만 이내 모두 토하고 말았다.
이 새댁에게 몇년 뒤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물어봤다. 된장국이라고 한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게되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같지 않으리라
유홍준씨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 나오는 구절이다. 이 문장은 임어당의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모이나니', 그때에 모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를 유홍준씨가 잘못 기억해서 적은 문장이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임어당의 문장 보다는 잘못 기억한 유홍준씨의 문장을 더 좋아한다.
정말 사랑하면 알게된다. 한국 문화를 사랑했기 때문에 그게 '똥이 아니라 된장'이라는 것을 알게된다. 그리고 알게되면 보인다. '된장이라는 음식은 똥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 발효음식이라는 것'을. 그리고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다. 이 된장에는 한국민 고유의 발효과학이 숨어 있는 것을. 그래서 이 새댁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된장국이 된 것이다. 문화를 바라 볼 때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봐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알아야 보이기 때문이다.
된장과 홍어
된장국을 못먹는 한국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홍어를 먹지 못하는 한국사람들은 참 많다. 홍어 역시 발효된 음식이기 때문이다. 냄새로 치면 된장은 저리가라고 할 정도로 지독하다. 여기에 먹을 때 코를 비틀어 버리는 톡 쏘는 맛은 회를 먹을 때 먹는 고추냉이 보다 더 심하다. 따라서 음식을 가리지 않고 먹는 다는 사람도 이 홍어에는 쉽게 손을 대지 못한다.
[사진출처: 홍어 삼합]
잘 익은 김치, 돼지고기 수육, 홍어회를 합처서 삼합이라고 한다. 또 삼합과 궁합이 맞는 음식으로 막걸리가 있기 때문에 여기에 막걸리까지 곁들이면 홍탁이라고 한다. 또 전라도에서는 홍어가 나오지 않으면 잔치로 치지 않는다. 따라서 혼인을 비롯한 거의 모든 행사에 홍어가 나온다.
꽤 오래 전의 일이다. 아는 형의 아버님이 돌아가셨다. 이 형이 전라도 출신이라서 장례는 전라도 광주에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전라도에서 잔치에는 홍어가 꼭 나오기 때문에 이 장례에도 홍어가 나왔다. 전라도 사람들은 홍어를 아주 잘 먹는다. 역한 냄새를 맡으면 오히려 군침이 돈다.
그러나 형의 직장이 서울에 있고 오는 분 중 상당수는 서울에서 오기 때문에 홍어를 준비하면서 나름대로 고민을 한 듯했다. 보통 홍어는 7일 정도 삭혀야 제맛이 난다. 냄새도 아주 독하고 먹으면 눈물이 핑돌고 코가 삐뚤어 진다. 그러나 이런 홍어는 서울 사람들이 먹기 힘들다. 그래서 이틀 정도 삭힌 홍어를 내왔다.
결과는?
아무도 먹지 않았다. 어차피 홍어를 먹지 못하는 사람들은 하루를 삭혀도 먹지 못한다. 냄새 때문에 손을 대지 못한다. 그러나 홍어를 좋아하는 사람은 푹 삭혀야 먹는다. 그래야 제맛이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삭다만 홍어에는 손이 가지 않았던 것이다. 나름대로 홍어를 좋아하면서 한접시만 먹고만 이유도 홍어가 제맛이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돼지고기 수육에 잘익은 김치를 얹고 다시 푹삭은 홍어를 얹는다. 이것을 삼합이라고 한다. 이맛은 먹어보지 않은 사람은 느낄 수 없는 그런 맛이다. 눈물이 핑 돌고, 누가 코를 쥐어 뜯는 것과 같은 충격이 오지만 이맛에 익숙해 지면 절대 잊을 수 없는 맛이 바로 홍어의 맛이다.
홍어는 바로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니다[1]. 처음 먹을 때는 역한 냄새 때문에 토할 것처럼 억지로 먹는다. 씹지도 못하고 그냥 삼킨다. 두번째 먹을 때는 역한 냄새는 조금 줄어 들지만 눈이 핑돌고, 코를 쥐어패는 듯한 충격만 기억에 남는다. 세번째 먹을 때 비로서 홍어의 참맛이 느껴진다. 그리고 이때부터는 홍어 냄새만 맡아도 군침이 돈다.
뜬금없이 맛본 홍어
어제의 일이다. 어제는 앙성의 충주 참한우를 방문해서 사진을 찍고 충주 이야기에 올릴려고 했었다. 원래 점심때 쯤 오기로 되어 있던 우엉맘이 오후 두시가 다되서 사무실로 왔다. 그러면서 하는 말이 "오빠 홍어 먹을 수 있어"라는 것이었다. 나는 못먹는 음식이 두가지 있다. '없어서 못먹는 음식'과 '안줘서 못먹는 음식'. 참한우로 가면서 계속 홍어 생각이 났다. 그리고 결국 아는 형님댁에서 홍어를 먹었다.
목포에서 택배로 온 것이라고 하는데 의외로 냄새가 심하지 않았다. 한 사흘정도 됐다고 하는데 역시 홍어의 푹 삭은 맛은 나지 않았다. 앞에서 이야기했지만 홍어는 한 7일정도 푹 삭혀서 거의 썩는 듯 해야 제맛이 난다. 그러나 오랜만에 먹어 본 홍어라서 그런지 역시 맛은 있었다. 또 이미 삭힌 음식이기 때문에 홍어는 아무리 먹어도 탈이 생기지 않는 음식이다.
홍어를 먹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꾹 참고 세번만 먹어 볼 것을 권한다. 세번을 먹고도 홍어가 땡기지 않는다면 아마 평생 먹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세번을 먹고 군침이 돈다면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 중 하나를 먹을 수 있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