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은 먹통, 네이버 직원이 사는 법 by 도아
이해는 먼산
"최소한 위의 링크에서 말하는 의견에는 전혀 공감할 수 없다. 링크 그 자체가 불펌이라니?"
이 네이버 직원의 '논리의 기반'은 '내가 아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추가하자면 '이해는 먼산'이다. 글에 있지만 "링크 자체를 불펌이라고 단정한 적이 없다". '링크는 웹의 정신이기 때문에 언제나 링크는 허용하는 것이 낫다'고 썼다. 다만 불펌에 열을 올리던 네이버가 불펌 대신에 문제가 없는 링크를 모으고 이렇게 모은 링크는 네이버 사용자에게만 제공하기 때문에 "오픈캐스트는 네이버 불펌을 시스템으로 승화시킨 느낌이 든다"고 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 말을 "링크 자체가 불펌"으로 이해한다.
아는 것 없는 네이버 직원
이전에 내가 쓴 글 중에 이명박과 네이버의 공통점이라는 글이 있다. 글을 읽어 보면 알 수 있지만 네이버와 이명박의 공통점은 많다. 그 중 아마 가장 큰 공통점은 모두 소통을 먹통으로 안다는 점. 어제 올린 오픈캐스트로 승화된 네이버 펌질 시스템라는 글에 오픈캐스트가 펌질?라는 글이 걸렸다. 내용의 첫 부분부터 어이 없다.
"가입안하고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었어?"
한RSS도, 구글 리더도 내가 사용하는 RSS 서비스는 다 가입을 해야 구독이 가능하던데 말이지. 오픈캐스트도 기술적으로는 RSS 모음 정도로만 보고 말이지.
일단 글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이 네이버 직원의 '논리 근거'는 언제나 내가 아는[1]이다. 과거 mepay님과 논란이 벌어졌을 때에도 똑 같았다.
먼저 한RSS와 구글 리더를 보자. 한RSS와 구글 리더는 RSS를 구독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쉽게 이야기해서 GreatNews와 같은 오프라인 리더는 컴퓨터를 끄면 피드를 수집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온라인 리더다[2]. 반면에 오픈캐스트는 RSS 리더가 아니다. 수집한 글을 모아 보여 주는 서비스이다. 다음에도 비슷한 서비스가 있다. 바로 블로거뉴스다.
일단 블로거뉴스의 시사/인기글을 보자. 오픈캐스트와 마찬가지로 구독하기 단추가 있다. 그리고 이 구독하기 단추를 클릭하면 그림처럼 RSS, 다음 블로그, 한RSS가 나타난다. 여기서 RSS를 클릭하면 구독 주소가 출력되며, 이 주소를 자신이 원하는 리더에 등록해서 구독하면 된다. 이 것이 RSS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의 기본이다.
즉, '네이버' 바로 옆의 '다음'도 가입하지 않고 구독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소통을 먹통'으로 아는 '네이버 직원'은 바로 옆의 다음도 찾아가지 않는 모양이다. 그러면 구글 리더나 한RSS처럼 RSS 리더 서비스 중에는 가입하지 않고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가 없을까? 네이버 직원의 유일한 논리는 '내가 아는'이다. 그런데 '문제는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3]. 일단 Netvibes.com에 접속해 보자. 그리고 '콘텐츠 추가/피드 추가'를 클릭하고 '피드 주소를 추가'하면 그림처럼 얼마든지 구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입하지 않고 글을 구독할 수 있고 글 제목을 클릭하면 본문의 내용이 그대로 나온다. 이처럼 가입하지 않고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는 많다. 가입은 선택이지 필수가 아니다.
이런 사이트가 외국에만 있을까? 국내에도 있다. 바로 위자드닷컴이다. 윗자드닷컴도 가입하지 않고 얼마든지 한RSS나 구글 리더처럼 구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왜 이 네이버 직원이 유사성이 별로 없는 서비스까지 들고 나오면서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뭘까? '애사심'?[4]
이해는 먼산
최소한 위의 링크에서 말하는 의견에는 전혀 공감할 수 없다. 링크 그 자체가 불펌이라니?
이 네이버 직원의 '논리의 기반'은 '내가 아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추가하자면 '이해는 먼산'이다.
글에 있지만 링크 자체를 불펌이라고 단정한 적이 없다. '링크는 웹의 정신이기 때문에 언제나 링크는 허용하는 것이 낫다'고 썼다. 다만 불펌에 열을 올리던 네이버가 불펌 대신에 문제가 없는 링크를 모으고 이렇게 모은 링크는 네이버 사용자에게만 제공하기 때문에 "오픈캐스트는 불펌을 시스템으로 승화시킨 느낌이 든다"고 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 말을 "링크 자체가 불펌"으로 이해한다.
네이버 사용자 중에는 글을 읽지 않고 제목만 보고 댓글을 다는 사람이 많다. 신문 기사에서 도발적인 제목을 사용하는 이유도 바로 초보자의 이런 맹점을 노린 것이다. 웹초보님이 링크한 블로거가 링크에 대해 화가난 이유는 바로 '글을 읽지 않고 달리는 악플'때문이었다. 그런데 이 네이버 직원도 똑 같다. '네이버'를 사용하면 다 "이렇게 되나?" 의구심이 든다.
설령, 누군가 발행한 오픈캐스트에 있는 모든 “링크”가 한 사람의 글로 착각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게 어째서 문제가 되는지…? 제목만 보면 컨텐트를 읽지 않아도 되기 때문인가? 제목을 내 것으로 오해하면 컨텐트도 내 것으로 오해하기 때문인가…? 단지, “출처를 명시하지 않은 링크”만으로도 내가 당신의 지적 재산을 훔쳤기 때문인가?
이 대목에 오면 조금 어이가 없다. 그러나 스스로 내용을 읽지 않고 글을 쓰기 때문에 "제목만 보면 컨텐트를 읽지 않아도 되기 때문인가?"라고 묻는 것 같다. 내용을 읽었다면 "링크는 불펌"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없다. 내 글 어디에도 링크를 불펌으로 규정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자라나는 새싹들을 위해 한마디만 더 하겠다.
읽고 이해하고 글 쓰세요!!!
남은 이야기
네이버 직원은 오픈캐스트로 승화된 네이버 펌질 시스템라는 글을 "'링크 자체가 불펌'"이라는 글로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색안경만 벗으면 숲속얘기님의 댓글처럼 "네이버에 대한 칭찬"으로 들릴 수도 있다. '소통을 먹통'으로 알기 때문에 언제나 다른 사람의 글을 다르게 이해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