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만사 새옹지마
충주 이야기 XVIII - 주말 농장을 쓰면서 얘기했지만 주말 농장에서 밭을 분배받을 때 우엉맘은 꼴지를 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남은 이랑에 우리 가족이 농작물을 심었다. 그런데 꼴지를 한 덕에 오른쪽 밭에서 가장 긴 이랑을 우리 가족이 다시 차지했다.
속된 말로 화가 바뀌어 복이 된 셈이다. 화가 바뀌어 복이 된 것을 한자로는 전화위복(轉禍爲福)이라고 한다. 그러면 이 전화위복은 새옹지마(塞翁之馬)와 관련이 있다. 한자를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새옹지마의 뜻은 변방(塞)의 늙은이(翁)의(之) 말(馬)이라는 뜻이다.
변방 한 늙은이의 말과 인간만사가 어떤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인간만사 새옹지마[1]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일까? 이 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옹지마에 얽힌 고사를 알아야 한다.
변방의 한 늙은이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이 늙은이의 암말이 국경을 넘어 도망치고 말았다. 집의 유일한 재산인 암말이 국경을 넘어 도망치자 찾으러 갈 수도 없었고 시름의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런데 이 말이 아주 튼실한 종마를 꼬셔 데려왔다. 화가 복으로 바뀐 것(전화위복)이다.
이 늙은이에게는 장성한 아들이 있었다. 이 아들이 종마를 보고 반해서 종마를 타려고 하다가 낙마해서 이번에는 다리가 부러졌다. 좋은 일에는 마가 낀다는 호사다마(好事多魔)이다. 그런데 이때 이웃한 국가와 전쟁이 터졌다. 마을의 장정들은 모두 전쟁에 동원됐고 많은 사람이 죽었지만 이 늙은이의 아들은 때 마침 다리를 다쳐서 이 전쟁을 피할 수 있었다. 화가 복이된 것(전화위복)이다.
세상 일이란 이처럼 앞날을 예측하기 힘들다. 따라서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점치기 어렵다. 복이 화가 될 수 있고 화가 복이 될 수도 있다. 이것이 세상사이다. 그래서 인간만사 새옹지마이다.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인간만사)은 길흉을 점치기 어려운 일(새옹지마)인 것이다. 따라서 발생한 일에 웃고 불고하기 보다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현재 충실할 것을 권하는 고사 성어인 셈이다.
관련 글타래- 영어 몰입 교육을 보며, 대화법의 공학적 접근 통신을 전공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겠지만 오늘 ... 새창
- 도아와 함께하는 우리말 지키미 컴퓨터에 관련된 용어는 중 상당수가 한글로 사용된적이 있습니다... 새창
- 새로운 이모티콘, '똥싸고 자빠졌네!' 나는 새로운 것을 좋아한다. 돈은 새것일 수록 좋고 사람... 새창
- 스크린 대신에 그리메를 사용합시다!!! 출사 코리아의 산그리메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라는 글... 새창
- 과학적인 속담 -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온다. 요즘은 공기가 좋지않아서 동네에서 제비를 보기 힘... 새창
- 인간만사는 인생만사, 인간지사등 다른 말이 붙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