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d Touch 강좌 51. 사전 만들기 1. 소개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은 표제어의 수가 50만개가 넘는다. 우리나라 위키백과의 표제어가 10만을 조금 넘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정말 방대한 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사전과 백과사전이라는 차이점은 존재한다. 그런다고 쳐도 표제어가 방대한 것은 사실이다. 물론 표준국어대사전에 대한 비판도 많다. 이런 비판은 글의 끝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사전 만들기
- iPod Touch 강좌 52. 사전 만들기 2. 클리핑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 2002년판은 동아출... 새창
- iPod Touch 강좌 55. 사전 만들기 3. 컴파일 이번에는 사전 만들기의 세번째 강좌로 클리핑된 ... 새창
- iPod Touch 강좌 56. 사전 만들기 4. 설치 아이팟 터치(iPod Touch)를 사용하면서 사전 어플... 새창
- iPod Touch 강좌 57. 사전 만들기 5. 옛... 이번 글은 사전 만들기의 마지막 강좌이다. 사전... 새창
소개
어린 학생들 중 아이팟 터치(iPod Touch)를 구매하는 사람이 꽤 된다. 그 이유는 아이팟 터치만 있으면 다른 전자사전을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막상 '아이팟 터치'를 사도 전자사전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아이팟 터치'에는 사전이 기본 어플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가 보기에 '아이팟 터치'의 기본 위글에
'오다'라는 단어의 뜻 풀이는 동사에 8가지, 보조동사에 한 가지가 나온다. 또 5개의 관용구와 6개의 속담, 한개의 사투리가 나온다. 뜻풀이의 정확성은 장담할 수 없지만 풍부한 사용예가 실려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옛글
표준국어대사전은 옛글을 지원한다. 예전에 무료 글꼴을 소개할 때 소개한
위의 그림에서 사용한 글꼴은 한컴 바탕체이다. 옛글을 지원하는 글꼴 중 아이팟 터치의 메인 글꼴로 사용할 수 있는 글꼴을 찾아 봤지만 마음에 드는 글꼴은 없었다. 결국 사전에 옛글이 나올 때만 옛글자를 참조하도록 바꾼 뒤 사용하고 있다. 또 옛글을 지원하는 글꼴 중 공개된 두개의 글꼴(
위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지만 가늠자는 사진이 두개가 포함되어 있다. 포에서 사용되는 가늠자와 소총에서 사용되는 가늠자이다. 백과사전이 아닌데 이런 자세한 사진까지 삽입되어 있다.
수식
국어사전이지만 특이하게 수식도 상당히 많이 나온다. '단조감소수열'이나 '동류근식'은 중고등학교 수학시간에 나오는 것이라 특이할 것은 없다. 그러나 공학에서 사용되는 '라플라스 변환'이나 '로바쳅스키 기하학', 이름도 생소한 '렐니스케이트'까지 나온다. 수학사전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이 정도라면 중고등학교 수학에 나오는 수식은 대부분 포함한 것이 아닌가 싶다.
표제어
표제어는 약 51만개 정도가 된다. 표제어만 놓고 보면 국어사전이 아니라 백과사전에 가깝다. 가갸시절이라는 북한말, '행성광행차'와 같은 천문용어, 나경원으로 착각할 수 있는 '나경언의 상변'과 같은 역사적 사건, '라게뢰프'와 같은 인명, '라도가호'와 같은 지명, '라 마들렌 유적'과 같은 고적등 정말 많은 표제어가 포함되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비판
인터넷에서 표준국어대사전으로 검색해 보면 의외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많다. CaN Tips님처럼 표준국어대사전이면서 웹 표준을 지키지 않는다는 비판 부터, 대개혁이 필요하다는 비판까지 상당히 다양하다. 표준국어대사전은 500여명의 학자가 112억원의 예산으로 8년간 작업한 결과물[1]이다. 그러나 이런 비판을 받는 것은 지나치게 표제어에 집착한 결과가 아닌가 싶다.
50만 단어 중 우리말은 변용되거나 없어지고 반면 중국 한자어와 일본어 등이 다수 수록되었다
윤철상 민주당 의원이 2004년 문화광광부 종합감사에서 한 말이다. 아울러 윤철상 의원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지적했다.
- 우리말은 소홀히 다루고 한자 중심으로 사전을 만들면서 쓰이지 않는 한자말을 다수 첨가하여 단어수를 늘렸다.
- 외래어와 파생된 외국어를 올려놓았다.
- 일본에서도 잘 쓰이지 않는 일본말까지 표준말로 올려놓았다.
나 역시 표준국어대사전을 읽으며 같은 생각이 들었다. 순수한 우리 말과 사투리를 찾아 기록, 보존해야 할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오히려 우리 말을 홀대하고 중국어와 일본어를 우대하는 것 같은 인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푸른 하늘'이란 우리말은 찾아볼 수 없고, 궁창(穹蒼), 벽공(碧空), 벽락(碧落), 벽소(碧소), 벽우(碧宇), 벽천(碧天), 소천(所天), 창공(蒼空), 창천(蒼天), 청명(靑冥), 청천(靑天), 청허(晴虛) 등만 올려져 있다는 것이다. [출처: 학자 500명 8년 작업 '표준국어대사전', 中·日서도 안쓰는 말 '부지기수']
오마이뉴스 기사를 보면 알 수 있지만 '푸른 하늘'이라는 우리 말은 없지만 이름도 생소한 한자는 다수 등장한다. 이런 단어 중 상당수는 일본이나 중국에서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단어라고 한다. 또 '푸른 하늘'에 대한 유사어 21개 중 11개가 일본 사전에 나오는 단어라고 하니 이런 비판을 면하기는 힘들 것으로 생각된다.
한글은 말을 만드는 능력(조어력)이 약하다. 한글이 만들어진지 상당히 오래됐지만 조어력이 뛰어난 한자를 계속 사용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한글의 이런 조어력을 보완하는 것은 옛말이나 사투리에서 적당한 단어를 찾아 내는 것도 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사투리는 끼워넣기용이 아니었나?'하는 생각이 든다. 또 로바쳅스키 기하학, 렐니스케이트, 라도가호와 같은 말을 굳이 우리 말 표준사전에 넣을 필요가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다음 강좌: iPod Touch 강좌 52. 사전 만들기 2. 클리핑]
관련 글타래- 아이팟 터치 강좌 50. 유용한 어플들 최근에 다시 아이팟 터치 어플(iPod Touch)에 빠져 살고 있... 새창
- Dictionary Universal에 사전 설치하기 최근에는 글을 별로 올리지 못했다. 이렇게 된 이유... 새창
- iPod Touch 강좌 48. 스택 사용하기 아이팟 터치(iPod Touch)에 설치된 어플은 상당히 많다.... 새창
- 구글 달력 자동 동기화 내가 자주 사용했던 아이팟 터치(iPod Touch) 어플 중 하나는 NemusSy... 새창
- 터치를 전화기로 사용하기 붕어도 아닌데 매번 아이폰 떡밥을 무는 사람이 많다. 이제 아이폰 ... 새창
- 2002년판에 대한 설명이다. 2009년판은 당연히 더 많은 예산이 들어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