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김치 김밥, 드셔보셨나요?
맛있는 김치 김밥
유일하게 경상도라고 하면 떠오르는 음식이 있다. 바로 김치 김밥이다. 우엉맘을 사귈 때이니 벌써 15년 가까이 된 일이다. 우엉맘과 함께 부산으로 놀러갔다. 차가 없을 때이기 때문에 밤차를 타고 부산에 간 뒤 해운대에서 놀고 다시 밤차를 타고 서울로 올라왔다. 이때 해운대 근처의 포장마차에서 김밥을 팔았다. 그런데 특이하게 서울에서는 볼 수 없는 '김치 김밥'이었다. 복음 김치를 이용해서 만든 김밥인데 지금도 기억이 날 만큼 맛있었다.
맛있는 김치 김밥
경상도 지방을 여행할 때 가장 큰 고민은 역시 먹거리이다. 일단 맛있는 곳 찾기가 하늘에 별따기이다. 맛있는 곳까지 바라지 않아도 입맛이나 맞으면 그나마 낫다. 입맛에 맞는 음식점 찾는 것도 힘들다. 맛이 이상해도 따지기도 힘들다. 이 맛이 경상도 사람이 즐기는 맛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일회용 김밥 포장
아예 작정을 하고 김밥을 만든 듯 일회용 포장까지 사용했다. 따라서 포장만 보면 집에서 만든 김밥이 아니라 사온 김밥처럼 보인다.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지만 김밥이 상당히 크다. 따라서 한줄만 먹어도 양이 상당하다. 그러나 보통 김밥은 많이 먹게 된다. 이 때문인지 우엉맘이 한줄만 싸왔다.
다른 사람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나는 김밥 꼬투리가 맛있다. 그래서 사진도 꼬투리를 찍었다. 이번 김밥은 조금 진감이 있다. 그러나 역시 맛있다.
요리에 관심이 많은 우엉맘
장모님은 맛치다. 그래서 어떤 음식을 드셔도 맛있다고 하신다. 정말 먹기도 힘든 음식도 맛있다고 명함까지 받아 가신다. 이런 장모님의 딸이지만 우엉맘의 음식 솜씨는 상당히 좋다 쌍둥이 빌딩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주차장에서 보니 여의도의 LG타워를 연상하게 하는 건물이 보였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롯데 캐슬'이었다. 한쪽은 아파트, 한쪽은 오피스텔이라고 한다. 또 저층은 호텔로 사용하는 듯 가보면 롯데 씨티 호텔이라고 되어있다.
직접 방문해 보니 각층에서 시야확보를 하기 위해 둥근 원통에 툭 튀어나온 구조였다. 아주 높은 건물은 아니지만 아래쪽에서 잡으면 상당히 높아 보인다.
좁은 공간에 높은 아파트를 올렸다. 충분한 공간은 없지만 방문자나 지나다니는 사람을 위해 간단한 휴식처가 마련되어 있었다.
심은지 얼마되지 않아서인지 일부 화초는 상당히 말라 있었다. 또 꽃도 심어져 있지만 너무 상투적인 화초를 심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두 건물 가운데에는 작은 조형물과 분수대가 있었다. 더운 날씨는 아닌데 분수까지 틀어놓은 것을 보면 관리비는 상당히 나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사진찍는 솜씨가 늘은 것은 아닌데 결과물은 예전 보다는 낫다. 훨씬 깔끔하고 선명하게 나온다. 접사도 비슷한 것 같다.
관련 글타래- 아침 바다 펜션과 사천진리 해수욕장 해변을 걷다 보니 새처럼 보이는 사체가 여기 저기 눈에 띄었... 새창
- 초등학교 3학년 과학학습에 도움이 되는 플래시 오늘 아침 컴퓨터에 앉아 있는데 우엉맘이 찾아 왔다. ... 새창
- 부반장이 된 우영이 오늘 전화가 왔다. 평상시 아빠를 조금 무서워하기 때문에 나에게 전화... 새창
- "잠바를 입고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다예 우영이와 다예는 아주 잘 싸운다. 잘 싸우는 이유 중 하나... 새창
- 부모에게 가장 즐거운 잔치는 무엇일까요? 첫 행사는 장구였다고 한다. 우엉맘의 이야기로는 정말 귀... 새창
- 조금 오래된 해물을 사용해서 해물탕을 끓이면 해물이 상해서 구린내가 난다. 딱 이 맛이다. ↩
- 지금은 위치를 알고 있지만 당시 방문했을 때는 위치를 몰랐다. ↩
- 신혼 때 솜씨는 장모님과 비슷했다. 그러나 워낙 입맛이 까다로운 나와 살고 맛있는 음식을 잘 사준 덕에 지금은 음식 솜씨가 대단한 주부로 바뀌었다. ↩
- 우영이 소풍 때 선생님 점심을 찰밥에 나물로 보낸적이 있다. 다른 선생님들도 모두 감탄했다. 특히 칭찬에 인색한 우영이 담임 선생님까지 예상 외로 감사의 문자까지 보냈다. 이 덕에 지금도 우영이 학교에서는 우엉맘 요리솜씨를 인정하는 편이다. ↩
- 아예 무관한 것은 아니지만 순서나, 크기는 맛과는 별 관련이 없다. ↩
- 맛이라는 것이 주관적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기준을 삼은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가장 간단한 예는 아마 운전면허일 것이다. 운전경력 몇년인 사람도 면허시험에서 떨어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