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은 먹통, 네이버 직원이 사는 법


이해는 먼산

"최소한 위의 링크에서 말하는 의견에는 전혀 공감할 수 없다. 링크 그 자체가 불펌이라니?"

직원의 '논리의 기반'은 '내가 아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추가하자면 '이해는 먼산'이다. 글에 있지만 "링크 자체를 불펌이라고 단정한 적이 없다". '링크는 웹의 정신이기 때문에 언제나 링크는 허용하는 것이 낫다'고 썼다. 다만 불펌에 열을 올리던 가 불펌 대신에 문제가 없는 링크를 모으고 이렇게 모은 링크는 사용자에게만 제공하기 때문에 "오픈캐스트는 불펌을 시스템으로 승화시킨 느낌이 든다"고 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 말을 "링크 자체가 불펌"으로 이해한다.

목차

아는 것 없는 직원

이전에 내가 쓴 글 중에

즉, '' 바로 옆의 '다음'도 가입하지 않고 구독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소통을 먹통'으로 아는 ' 직원'은 바로 옆의 다음도 찾아가지 않는 모양이다. 그러면 구글 리더나 한RSS처럼 RSS 리더 서비스 중에는 가입하지 않고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가 없을까? 직원의 유일한 논리는 '내가 아는'이다. 그런데 '문제는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 구글 리더와 거의 비슷한 Netvibes

가입하지 않고 글을 구독할 수 있고 글 제목을 클릭하면 본문의 내용이 그대로 나온다. 이처럼 가입하지 않고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는 많다. 가입은 선택이지 필수가 아니다.

이런 사이트가 외국에만 있을까? 국내에도 있다. 바로 위자드닷컴이다. 윗자드닷컴도 가입하지 않고 얼마든지 한RSS나 구글 리더처럼 구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왜 이 직원이 유사성이 별로 없는 서비스까지 들고 나오면서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뭘까? '애사심'?[4]

이해는 먼산

최소한 위의 링크에서 말하는 의견에는 전혀 공감할 수 없다. 링크 그 자체가 불펌이라니?

직원의 '논리의 기반'은 '내가 아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추가하자면 '이해는 먼산'이다.

글에 있지만 링크 자체를 불펌이라고 단정한 적이 없다. '링크는 웹의 정신이기 때문에 언제나 링크는 허용하는 것이 낫다'고 썼다. 다만 불펌에 열을 올리던 가 불펌 대신에 문제가 없는 링크를 모으고 이렇게 모은 링크는 사용자에게만 제공하기 때문에 "오픈캐스트는 불펌을 시스템으로 승화시킨 느낌이 든다"고 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 말을 "링크 자체가 불펌"으로 이해한다.

사용자 중에는 글을 읽지 않고 제목만 보고 댓글을 다는 사람이 많다. 신문 기사에서 도발적인 제목을 사용하는 이유도 바로 초보자의 이런 맹점을 노린 것이다. 웹초보님이 링크한 블로거가 링크에 대해 화가난 이유는 바로 '글을 읽지 않고 달리는 악플'때문이었다. 그런데 이 직원도 똑 같다. ''를 사용하면 다 "이렇게 되나?" 의구심이 든다.

설령, 누군가 발행한 오픈캐스트에 있는 모든 “링크”가 한 사람의 글로 착각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게 어째서 문제가 되는지…? 제목만 보면 컨텐트를 읽지 않아도 되기 때문인가? 제목을 내 것으로 오해하면 컨텐트도 내 것으로 오해하기 때문인가…? 단지, “출처를 명시하지 않은 링크”만으로도 내가 당신의 지적 재산을 훔쳤기 때문인가?

이 대목에 오면 조금 어이가 없다. 그러나 스스로 내용을 읽지 않고 글을 쓰기 때문에 "제목만 보면 컨텐트를 읽지 않아도 되기 때문인가?"라고 묻는 것 같다. 내용을 읽었다면 "링크불펌"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없다. 내 글 어디에도 링크를 불펌으로 규정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자라나는 새싹들을 위해 한마디만 더 하겠다.

읽고 이해하고 글 쓰세요!!!

남은 이야기

직원은 오픈캐스트로 승화된 네이버 펌질 시스템라는 글을 "'링크 자체가 불펌'"이라는 글로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색안경만 벗으면 숲속얘기님의 댓글처럼 "에 대한 칭찬"으로 들릴 수도 있다. '소통을 먹통'으로 알기 때문에 언제나 다른 사람의 글을 다르게 이해하는 것이다.

관련 글타래

  1. '똥 묻은 겨 묻은 엠파스 나무라기' 그림 아래 쪽에 이 직원의 논리가 나온다. 
  2. 따라서 오픈캐스트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조금 우습다. 
  3. 피곤할 정도다. 이런 글을 쓸 시간에 옆집만 방문해도 알 수 있는 일은 '내가 아는한 없다'고 한다. 
  4. 애사심의 발로인지 모르겠지만 이 직원 '덕'에 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진 사람도 많다. '내가 아는'한?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