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프로그램 9. 도깨비 한글


도깨비 한글

요즘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한글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 이유는 운영체제에서 한글을 지원해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컴퓨터가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상황이 조금 달랐다. 기본적으로 영어는 한바이트 문화권이다. 영어의 모든 문자와 특수문자를 포함해도 글자의 수는 한바이트로 표시할 수 있는 256자를 초과하지 않는다.

목차

도깨비 한글

요즘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한글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 이유는 운영체제에서 한글을 지원해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컴퓨터가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상황이 조금 달랐다. 기본적으로 영어는 한바이트 문화권이다. 영어의 모든 문자와 특수문자를 포함해도 글자의 수는 한바이트로 표시할 수 있는 256자를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어권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문제는 글자의 수가 많은 아시아 권에 발생한다. 일단 한글은 모든 글자를 다 표시하기 위해서는 약 '만3천자' 정도가 필요하다. 만3천자를 모두 표현하려면 한바이트로는 불가능하고 천상 두바이트를 사용 태백한글의 설정화면

글꼴 폴더만 설정해 주면 잘 돌아간다. 옵션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초기 상태, 출력 방식, 선문자 보호, 한글 스캔 코드등 상당히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행된 태백한글

에서 실행해도 실행이 잘된다. 태백이라는 로고와 바로 아래 나타나는 '태백무른모'라는 이름이 인상적이다. 당시에는 컴퓨터 용어에 대한 한글화가 여기 저기서 진행됐는데 '소프트웨어'에 대한 우리말로 사용된 말이 '무른모'이다. Soft(무른)+Ware(모)라는 뜻이다.

Qeditor에서 태백한글

일단 글꼴이 예쁘다. 그림에도 있듯이 도스 시절에는 사용할 수 있는 점글꼴이 정말 많았다. 점글꼴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조합형의 특성상 많아야 360자의 글꼴을 설계하면 되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tb35.zip

관련 글타래

  1. 중국처럼 글자 수가 몇 만 자로 증가하면 또 달라진다. 두바이트는 6만4천자 정도를 표현할 수 있지만 여기에는 중국 글자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나라의 글자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2. 도깨비 카드가 자취를 감춘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3. 현재 Windows 개념으로 보면 서비스와 비슷한 형태다. 
  4. 이 부분은 조합형의 장점이기도 하다. 글자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글자를 만들기 때문에 글꼴 구조가 아주 간단해 진다. 
  5. 도스 시절에는 쓸만한 도스용 편집기도 정말 많았다. 물론 나는 프로그램 작업을 주로 했기 때문에 한글 편집기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지만. 다만 가장 기억에 남는 편집기는 산에이터가 아닌가 한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