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논리적인 다예


의외의 논리

는 무슨 행동을 하거나 말을 할 때는 상당히 논리가 분명하다. 그래서 막상 나무라다가 의외의 논리 때문에 웃곤한다. 역시 얼마전의 일이다. 고속도로 휴게실에서 라면을 먹고있었다. 는 추운듯 외투를 입고 라면을 먹었다. 음식을 먹을 때 전혀 흘리지 않고 먹는 지만 외투를 입고 라면을 먹는 것이 불편한 것 같아 외투를 벗고 라면을 먹으라고 했다.

목차

는 둘째다. 그래서 애교가 많다. 눈치가 빠르고 상황파악을 잘한다. 따라서 떼써도 될 사람에게는 떼쓰고, 애교를 부려야 될 사람에게는 애교를 부린다. 고집도 한 고집하기 때문에 우엉맘은 를 '꼴통'이라고 부른다. 처럼 다루기 쉬운 애도 없지만 처럼 다루기 힘든 애도 없다. 또 자존심이 아주 강하기 때문에 말을 할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6+3과 5+4의 차이

얼마 전 차를 타고 갈 때 일이다. 아이들이 다 비슷하겠지만 아이들은 자신이 관심이 많은 것에 대한 질문이 많다. 따라서 "아빠 3+3은 뭐야?"와 같은 것을 묻곤한다.

: 아빠 3+2는 5지?
도아: 응.

우엉맘: , 제 웃껴
도아: 왜?

우엉맘: 덧셈도 못하면서 꼭 저래?
: 아냐, 할 수 있었. 잉잉~~

우엉맘의 이야기는 는 덧셈을 할 줄 모르는데 3+2는 5라는 것을 외워서 대답하는 것이라고 한다. 물론 는 자존심이 상한 듯했다. 그래서 혹시나 해서 에게 물어봤다.

도아: 야 5+4은 뭐야?
: 응~~~ 9.
도아: 응. 맞었어.

덧셈을 시켜보니 잘 맞췄다. 이것외에 다른 것도 물어봤지만 역시 잘 맞춰다.

도아: 잘 하는데 뭘 못한다는 거야?
우엉맘: 그래?
우엉맘: 6+3은 뭐야?
: 응~~~, 8
우엉맘: 거봐 못맞추잖아

똑 같이 답은 9인데 5+4는 맞추는데 6+3은 맞추지 못하는 이유가 궁금했다. 덧셈을 시켜놓고 보니 5가 넘는 숫자는 모두 손가락 셈을 하는 것이었다. 손가락이 다섯개 밖에 없기 때문에 답은 똑같이 9였지만 5+4는 맞출 수 있었지만 6+3은 맞출 수 없는 것이었다. 얼핏보면 똑 같은 5+4와 6+3이지만 암산을 할 수 없는 아이들에게는 더할 수 있는 수와 더할 수 없는 수로 아주 큰 차이가 있었다.

매번 당하는

가 하는 말 중 상당수는 엄마, 아빠가 하는 말이다. 그런데 는 이런 말을 의외의 상황에 아주 잘한다. 또 이렇게 만들어진 상황이 아주 잘 맞기 때문에 항상 웃음을 자아낸다. 얼마 전 서울에 올라갔다가 내려 올 때 일이다. 형들과 노는 것을 좋아하는 이는 집으로 오려고 하면 항상 울상이 된다. 이것을 본 는 마치 오빠를 도와주려는 듯 오빠에게 물었다.

: 오빠 집에 가기 싫어.
: 응.
. 그럼. 여기서 살어!!!

이가 집에 가기 싫다고 하면 항상 "그럼, 넌 여기서 살어"라고 답하곤 했는데 이가 가기 싫어하는 것을 보고 가 아예 그 상황을 만들어 버린 것이다. 물론 이는 무척 열받아했지만 이미 상황은 끝난 상황이었다.

의외의 논리

는 무슨 행동을 하거나 말을 할 때는 상당히 논리가 분명하다. 그래서 막상 나무라다가 의외의 논리 때문에 웃곤한다. 역시 얼마전의 일이다. 고속도로 휴게실에서 라면을 먹고있었다. 는 추운듯 외투를 입고 라면을 먹었다. 음식을 먹을 때 전혀 흘리지 않고 먹는 지만 외투를 입고 라면을 먹는 것이 불편한 것 같아 외투를 벗고 라면을 먹으라고 했다.

우엉맘: 야! 옷벗고 먹어야지.
: 아니지. 옷입고 먹어야지.

도아: 야 옷을 입고 먹으면 음식을 흘리잖아.
: 그러니까 입고 먹어야지.

도아: 왜?
: 응~~ 옷을 벗고 먹다가 음식을 흘리면 휴지로 닦지 못하지만 옷을 입고 먹다가 흘리면 휴지로 닦으면 되잖아.

워낙 깔끔한 라 옷에 무엇이 묻는 것을 싫어한다. 가 우는 것 중 하나는 오빠가 자기 옷에 음식물을 흘렸을 때이다. 깨끗한 수돗물이라도 흘리면 기어코 옷을 갈아 입어야 한다. 그래서 휴지로 쉽게 닦을 수 있는 외투를 입고 먹는 것이 벗고 먹는 것 보다 낫다는 나름대로의 논리를 펼친 것이다. 그러나 그 논리는 아주 분명하다.

귀염둥이

다들 를 귀여워 한다. 처음 태어났을 때는 "웃는 것이 일품"이라고 귀여워 하시던 장모님도 이제는 "가면 갈 수록 예쁘다"고 하신다. 남자 아이들은 어렸을 때 여자같아야 크면 잘생기고 여자 아이들은 어렸을 때 남자같아야 크면 예쁘다. 이 2라고 불릴 정도로 남자 아이 같았다. 그래서 인지 몰라도 크면 클 수록 예뻐진다. 그러나 가 귀여움을 받는 이유는 본능적인 귀여운 말솜씨이다. 똑 같은 이야기를 해도 떼쓰지 않고 다른 사람의 마음에 들게 정말 귀엽게 한다.

: 아빠.
도아: 응, 왜?

: 아빠는 매일 늦게 자잖아?
도아: 응. 그런데?
: 그런데 어떻게 그렇게 일찍 일어나?

도 상당히 늦게 자는 편이다. 다른 사람들이 모두 잔 뒤 잠이드는 때가 많다. 그러나 늦게 잔덕에 는 늦게 일어난다. 그런데 자기보다 항상 늦게 자는 아빠가 항상 먼저 일어나는 것이 나름대로 신기했던 모양이었다.

2009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2009년도 2008년 만큼 암울하지 않기를 바라면서 새해의 첫 이야기는 의 이야기를 올려 보았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하시는 일 모두 성취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타래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