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창업주는 친일파
매국노 방응모
방응모의 주요경력은 '광산 경영', '조선항공공업주식회사 감사', '조광 발행인', '국민총력 조선연맹 참사', '조선임전보국단 이사'로 세사람 중 가장 화려하다. 또 관련 분야는 언론, 경제인 것을 보면 거의 확실한 것 같다. 그러나 이런 사실만으로는 친일파 명단에 오른 방응모가 조선일보 창업주인 것은 확실하지 않다. 그래서 엠파스 인명 검색으로 방응모를 찾아 봤다.
매국노가 점령한 언론
친일파 명부의 주요 경력과 엠파스 인물 검색의 경력을 비교해 보면 방응모의 경력은 조광의 발행인이었다는 점,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였다는 점, 조선임전보국단 이사였다는 점이 일치한다. 즉 조선일보 사장 방응모는 친일파였다는 것이 증명되는 셈이다.
부일배 홍진기
중앙일보의 창업주는 홍진기이다. 이병철 회장이 사카린 밀수로 문제가 불거지자 자신의 이런 치부를 감추기에는 언론이 최고라는 것을 알고 홍진기와 접촉, 중앙일보를 창간했다고 한다. 이건희의 부인 홍라희는 홍석현 중앙일보 사장과 남매간이기 때문에 이병철과 홍진기는 서로 사돈간인 셈이다.
주요 친일경력과 생년월일을 보면 친일파 홍진기가 중앙일보 창업주 홍진기와 같은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생년월일이 같다. 일제 시대 고등문관에 합격하고 '전주지법 판사'를 지낸 것도 같다. 아울러 중앙일보 회장까지 지냈다. 다만 우리 나라가 친일파의 나라였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도 있다. 이런 친일파가 경찰의 수장인 내무부 장관, 법무부 장관까지 했다. 이러니 독립투사가 얼마나 살기 힘들었지는 물어보지 않아도 짐작이 된다.
부일배 김성수
동아일보의 창업주는 김성수이다. 중앙이나 조선보다는 동아일보에 대해서는 조금 더 좋은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 이유는 동아일보는 어렸을 때 그나마 독재권력에 항거하는 몸짓은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아무튼 김성수는 동아일보 뿐만이 아니라 고려대학교를 세운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역시
역시 출생년도와 주요 경력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친일인명부의 김성수는 동아일보를 창립한 김성수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인물도 부통령까지 해먹었다. 이승만 정권이 미약한 지지기반을 다지기 위해 친일파와 부일 협력자를 다수 등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수구 언론은 조중동이다. 이들 언론은 일제 시대에는 천황에 대한 용비어천가를 불렀고 독재 시대에는 독재자에 대한 용비어천가를 불렀다. 지금은 삼성이라는 재벌에 대한 용비어천가를 열심히 부르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막상 조중동이라는 언론사의 창업주를 찾아 보니 모두 친일파였다. 조중동이 수구의 색깔을 고수하고 수구 언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다른 무엇도 아닌 그 태생적 한계로 보인다.
관련 글타래- 중국인의 한국인 살해, 진실은? 오늘 올블로그를 방문했다가 올블로그 탑에 오른글을 발견했다. ... 새창
- 이명박 정부 5년의 예측 시대적으로 막을 수 없는 부분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쇠고기 농가... 새창
- 한나라당 191석 확보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보험 민영화로 의료보험을 받지 ... 새창
- 투표,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 투표율을 올리기 위해 쓴 고육지책이다. 그런데 과연 효과가 있을... 새창
- 돌아온 철새의 계절, 총선 우리나라는 전세계 최고의 철새 도래지이다. 4년마다 10개의 철새 ... 새창
- 나는 친일파라는 모호한 단어 보다는 '매국노', '부일배'라는 조금 더 명확한 단어를 좋아한다. 그러나 일반적 인식 때문에 널리 알려진 '친일파'를 사용했다. ↩
- 송병준 등 친일매국노들이 주축이 된 대정실업친목회 주도로 창간된 언론사다. 잠시 민족주의자 신석우가 운영하며 민족지 면모를 보였을 때도 있었다. 그러나 1933년 친일매국노 방응모에게 소유권이 넘어가며 친일매국 언론의 본성으로 복귀한다. ↩
- 일반적으로 '천방지축마골피'를 천민 성씨로 알고 있다. 그러나 천방지축마골피는 진짜 천민 성일까?에서 밝힌 것처럼 천민성은 없다. 이 글에서는 일반적 인식을 기반으로 글을 쓴 것에 불과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