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의 문제점 1 - 요금체계


붉은 악마를 후원하다 악마가 된 KTF

우리나라는 통신삼사가 휴대폰 시장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통신삼사 모두 비슷한 요금체계와 비슷한 정책을 취하고 있다. KTF가 악마라면 다른 통신사는 다를까? SKT, LGT같은 통신사도 악마가 된지 오래다. 합리적인 가격 보다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고객 돈을 갈취할 생각만 하고 있다.

목차

비싼 요금

휴대폰을 이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해 본 사람이 가장 먼저 놀라는 것은 비싼 요금이다. 노래 한곡을 내려받기 위해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하면 먼저 정보 이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정보 이용료만 지불하면 끝인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몇 백원의 정보 이용료는 노래 한곡에 지불하는 댓가로는 상다히 싼 셈이다. 그러나 이렇게 노래 한곡을 내려받아 보면 다음 달 고지서에 정보 이용료 500원 외에 데이타 통신 요금 만원이 찍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보 이용료만 지불할 것으로 생각했지만 의외로 데이타 통신 요금이 나오는 것은 현재 이동통신 3사는 데이타 요금을 패킷당 받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보 이용료만 생각하고 노래를 내려받으면 만원이 넘는 데이터 요금이 부과'된다.

SKT에서는 요금을 패킷 단위로 부과하고 있으며, 1패킷은 512 바이트이다. 또 패킷 당 요금은 텍스트인 경우 1패킷에 6.5원, 노래나 동영상인 경우 1.5원(평균)을 받고 있다. 예를들어 노래 한곡을 내려받는데 드는 시간이 20초 정도이고 이 노래 파일의 크기가 3M(6000패킷), 정보 이용료가 700원이라면 노래 한곡 받는데 드는 비용은 다음과 같다[출처].

패킷요금*패킷=1.5원*3M/512(6000)=7800원

보통 노래 한곡의 가격으로 700원을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 부과되는 요금은 그 10배가 넘는 7800원이 부과된다.

June과 같은 동영상 서비스로 축구 경기를 본다면 어떻게 될까? 데이타 통신 요금만 수십만원이 붙기도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사의 요금 체계는 몇 가지 부당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먼저 음성 통신은 반드시 가입자의 허락을 얻어야 가입이 되는데 잘못 사용하면 수백만원의 요금이 나올 수 있는 무선 통신은 사용자의 허락을 얻지 않아도 음성만 가입하면 자동으로 가입된다는 점이다. 일부 휴대폰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막기 위해 데이타 통신에는 암호를 거는 기능이 있지만 근본적으로 이 문제는 이동 통신 3사에서 음성과 데이타 통신의 가입을 분리해야 하는 문제이다.

비싼 요금 사례

이런 무선 데이타 통신의 피해 사례는 차고 넘친다. 다음은 내가 경험한 무선 데이타 통신 요금이다.

노래 세곡 내려받는데 2만원

꽤 오래 전의 일이다. 중학생을 자살로 내몬 KTF 무선 데이타 요금

우리나라에 악덕 기업은 차고 넘치지만 KT도 예외는 아니다.[그림출처]

이동 통신 3사는 뒤 늦게 이런 문제를 보완한 서비스와 요금제를 출시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음성 통신과 데이타 통신의 가입 자체를 분리해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아이들이 장난 삼아 휴대폰을 누르다 실수로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휴대폰에 비밀 번호를 거는 기능이 있다고 하지만 비밀 번호를 거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도 있고 비밀 번호를 거는 기능이 없는 휴대폰도 있다.

LGT에서 저렴한 무선 데이타 요금을 오즈용으로 출시할 것이라고 한다. 개방형의 저렴한 요금제는 물론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문제는 저렴한 정액 요금제가 아니다. 현재 나는 음성 통화는 SKT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데이타 통신LGT를 사용하고 싶다. 어떻게 해야 할까? 현재로는 별 수 없이 LGT에 음성 통화 기본료를 내야한다. 전화를 단 한통화도 하지 않는다고 해도. 국내의 이동통신 3사가 음성과 데이타 통신을 분리하지 않는 속셈도 비슷하다. 그러나 정말 고객을 생각한다면, 그리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 평가받고 싶다면 국내 이동 통신 3사는 이제라도 정신차리고 무선 데이타 통신과 음성 통신을 분리해서 가입 받아야 한다.

관련 글타래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