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U160 리뷰
다양한 기능
기능은 생각했던 대로 상당히 다양했다. LG-SV420은 휴대폰 잠금 기능조차 몇 가지 없었는데 스카이는 예전의 명성처럼 잠금 기능도 상당히 다양했다. '휴대폰 잠금', '기능별 잠금', '정보별 잠금'이 있었고 단계별로 9~10개 정도의 잠금 기능을 제공했다. 다이어리에는 '스카이 블로그'라는 특이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었다. 사진 메모 기능 정도로 보면될 것 같은 이 기능은 이미 찍은 사진과 글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었다.
IM-U160 포장
예전에 휴대폰을 구입할 때는 데이타 케이블 조차 인색하던 휴대폰 제조사들이 요즘은 상당히 많은 구성품을 제공하고 있는데 IM-U160도 상당히 많은 구성품을 제공하고 있었다. 따로 휴대폰 악세사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될 듯했다. 이 많은 구성품을 작은 상자에 담다보니다 케이스 내부에 칸막이가 없다. 유일한 칸막이는 배터리를 꼽아둔 곳이 전부였다.
구성품은 휴대폰, 표준형/대용량 배터리, 표준형/대용량 배터리 커버, LCD 보호 필름, 스테레오 이어 마이크, 차량용 핸즈프리 연결 젠더, 데이터매니저 케이블, 차량용 충전기, 배터리 충전용 거치대, 지상파 DMB 안테나, 사용 설명서, 이어마이크용 주머니(파우치)가 포함되어 있다. 차량용 충전기까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품은 상당히 충실한 편이다.
IM-U160 구성품
그런데 한 가지 문제가 있었다. 배터리는 요즘 나오는 다른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셀 방식'이다. 또 표준형과 대용량이 있다. 배터리가 표준형과 대용량이 있다보니 커버 역시 표준형 배터리 커버와 대용량 배터리 커버가 따로 있다. 집에서 매일 충전하는 때는 별 문제가 없지만 여행이라도 가면 배터리와 배터리 커버를 함께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IM-U160 외관
기본 구성품 중에는 LCD 보호 필름도 포함되어 있었다. 문제는 LCD 보호 필를 입힐만안 이유를 찾지 못했다는 점이다. IM-160의 앞면은 와이드 LCD 부분과 터치키가 통합되어 있다. 따라서 LCD 부분에만 필름을 입히면 LCD 부분만 볼록하게 튀어 나오기 때문에 보기에도 좋지 않고 보호 필림이 오래 붙어있기도 힘들다. 그렇다고 해서 앞면 전체에 LCD를 붙이기도 힘들다. 보호 필름이 터치키를 가려 터치키의 감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또 터치키 때문에 LCD 윗부분에는 이미 다른 보호 필름이 입혀진 듯한 모양새였다.
IM-160은 일명 붐붐폰으로 불린다. 그 이유는 터치키 때문이다. 일반적인 단추가 아니라 터치키이기 때문에 손을 대면 자동으로 반응한다. 따라서 단추를 누르던 사람은 단추의 조작감을 느끼기 힘들다. 따라서 이폰에는 터치키를 누르면 휴대폰이 진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바로 이 '진동음 때문에 붙은 이름이 붐붐폰'이다.
터치키 설정에서 터치키 진동효과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터치키 진동효과를 설정할 경우, 모터수명 단축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터치키 사용이 익숙해지면, 터치키 진동효과를 해제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설명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조작감을 위해 추가된 기능이며, 배터리 소모와 모터 문제로 될 수 있다면 해제하고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나도 처음 사용하는 터치키에 적응하기 조금 힘들었다. 처음에는 단추를 누르는 듯 늘렀고 익숙해진 지금은 살짝 손만 가져다 대지만 터치키의 반응이 너무 좋아 실수로 인접 메뉴가 뜨곤한다. 설정에서 감도를 바꿨봤지만 역시 비슷했다. 특히 휴대폰의 반응이 느린 때는 터치키를 누르고 다시 누르는 때도 있었다. 그러나 단추보다는 깔끔하고 익숙해지니 나름대로 편리한 부분도 있었다.
와이드 DMB 폰
IM-160은 와이드 DMB 폰으로 불린다. 액정의 화면이 와이드 TV처럼 넓게 나오기 때문이다. 또 DMB를 지원하기 때문에 지상파 DMB가 나오는 곳이라면 지상파 DMB를 상당히 깔끔한 화면으로 볼 수 있다. 문제는 지상파 DMB를 시청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다는 점이다. 현재 지상파 DMB가 나오는 곳이 어디인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5대 광역시 정도가 아닌가 싶다.
서울은 그래도 지상파 DMB 채널이 많지만 지방 광역시는 보통 4개 정도가 나왔다. 대전은 KBS 두개, SBS, MBC 정도가 나왔고 광주는 KBS 두개, MBC, 테스트 채널 하나가 나왔다. 또 지상파 DMB가 되는 곳에서는 굳이 DMB 안테나를 꼽지 않아도 DMB 방송이 잘 나왔다.
참고로 지상파 DMB가 되지 않는 곳에서도 지상파 DMB의 시청이 가능했다. 사용한 방법은 아주 간단했다. 일단 지상파 DMB가 되는 곳(광주)에서 채널을 검색하고 지상파 DMB가 되지 않는 곳에서 시청하면 지상파 DMB가 나온다. 물론 이때는 지상파 DMB 안테나를 꽂아야 하고 지상파 DMB가 되는 곳에서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서는 안된다.
광주에서 채널을 검색하고 목사동에서 지상파 DMB를 시청했다. 다들 지상파 DMB가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네개의 채널 중 KBS 채널은 모두 시청이 가능했다. 문제는 채널이 있으면 시청이 가능하지만 채널을 검색하면 채널은 검색하지 못했다. 지상파 DMB 전파의 통달 거리가 얼마인지 모르겠지만 지상파 DMB가 되는 곳에서 반경 100Km 내라면 인접 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것 같았다.
인터넷에 소개로 나온 제품은 주로 흰색이 많았다. 그러나 나는 검은색을 선택했다. 크기는 LG-SV420과 거의 같았다. 다만 두께는 LG-SV420이 얇았다. IM-U160에서 검은색 배터리 부분을 제거하면 LG-SV420과 비슷한 두께가 됐다. 첫 느낌은 예전에 사용한 IM-5400처럼 상당히 견고해 보였다. 실제 견고한지는 우연이 발생해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카가 많은 IM-U160
앞면의 터치키에 총 13개의 기능을 할당하고 있지만 그래도 사이드 키가 상당히 많은 편이었다. LG-SV420은 옆면의 키가 고작 3개이고 옆면의 포트도 MP3용 포트밖에 없지만 IM-160은 옆면에 키도 많았고 포트도 많았다. 일단 왼쪽 면에는 휴대폰 포트, 두개의 단추와 적외선 포트가 있다. 아래쪽에는 microSD를 위한 슬롯이 있고 오른쪽에는 카메라용 단추, 24핀 USB 포트, 취소키가 있었다.
뒷면에는 DMB 안테나용 포트, 플래시와 자신의 모습을 찍을 때 사용하는 작은 반사경, 2M 픽셀의 카메라 렌즈. 오늘 날의 스카이를 있게한 일등 공신인 라우드 스피커가 있었다. 앞면은 이미 한번 설명했지만 와이드 LCD와 터치키, 그리고 아래쪽 슬라이드를 열면 번호 단추가 나왔다. 번호 단추는 전반적으로 깔끔한 이미지이지만 스카이 특유의 디자인은 살려내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웠다.
다양한 기능
마지막으로 기능은 생각했던 대로 상당히 다양했다. LG-SV420은 휴대폰 잠금 기능조차 몇 가지 없었는데 스카이는 예전의 명성처럼 잠금 기능도 상당히 다양했다. '휴대폰 잠금', '기능별 잠금', '정보별 잠금'이 있었고 단계별로 9~10개 정도의 잠금 기능을 제공했다. 다이어리에는 '스카이 블로그'라는 특이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었다. 사진 메모 기능 정도로 보면될 것 같은 이 기능은 이미 찍은 사진과 글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었다.
PMP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선전한 것처럼 '뮤직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문서 뷰어'가 있지만 이 기능은 동영상 기능으로 뛰어난 PT-S110에도 있던 기능이었다. 이외에 DMB 방송을 보다가 화면을 잡는 기능이나 녹화하는 기능도 있었다. 화면을 잡는 기능은 이미 시험해 봤지만 녹화하는 기능은 메모리가 작아서 시험해보지 못했다. 참고로 IM-160의 내장 메모리는 184M이다.
그외 네이트 드라이브 기능도 있었지만 월정액의 사용료를 내야하고 또 네이트 드라이브의 지도 데이타가 정확하지 않다는 얘기를 들은 상태라 사용하지 않고 잠궈둔 상태이다.
사람도 마찬가지고 물건도 마찬가지지만 첫인상이 중요하다. PT-S110은 처음 구입한 날 부터 수신 감도 때문에 문제가 있었고 LG-SV420은 이런 문제는 없었지만 오래할 것같은 느낌은 들지않았다. 그러나 이번에 구입한 IM-U160은 느낌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아마 이 녀석도 꽤 오랜 기간 나와 함께할 것 같은 느낌 IM-U160으로 찍은 셀카
IM-U160으로 찍은 셀카이다. IM-U160이 와이드 DMB 폰이다 보니 사진도 와이드로 찍을 수 있다. 화면을 보면서 찍은 것이 아니고 반사경을 이용해서 찍은 사진이라 아주 잘 나온 것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괜찮게 나온 것 같다. 또 사진 기능이 휴대폰의 주기능은 아니지만 LG-SV420이나 PT-S110보다는 화질이 나는 것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