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의 한자 숙제, 교육 그리고 한글과 한자

2010/07/09 11:42

한자 무용론?

"한자를 배우면 공부가 쉬워진다."

사실일까? 적어난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말에는 한자가 아주많다. 심지어 고유어라고 생각하는 말 중에도 한자가 많다. 또 한자를 어원으로 하는 순우리말도 많다. 따라서 한자를 쓰지는 못한다고 해도 많이 쓰이는 한자 정도는 읽고 감을 잡을 수 있을 정도의 한자 공부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목차

한자를 배우면 공부가 쉬워진다.에서 가져 온 사진. 우리 말에는 한자의 흔적이 너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한자를 알면 공부가 쉬워진다. 한자를 쓰지는 못한다고 해도 상용 한자 정도는 읽고 뜻풀이 할 수 있는 수준의 한자 공부를 시키는 이유이기도 한다.

진보 vs 수구

서울과 경기는 진보성향의 교육감인 곽노현 교육감김상곤 교육감이 당선됐다. 진보진영의 모든 교육정책이 나왔다고 평가 받는 경기도 김상곤 교육감의 당선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다만 선관위의 선거간섭으로 교육감 공보물 마저 배포하지 못한 곽노현 교육감의 당선은 어찌보면 공정택 교육감의 삽질에 대한 반대 급부로 보인다.

아무튼 경기권에서는 진보 교육감이 당선됐지만 내가 살고 있는 충북 지역에는 수구 계열의 이기용 교육감이 당선됐다. 진보 교육감이 출마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이 교육감 선거에 대한 관심이 너무 낮았고 로또 번호라는 교육감 후보자 번호도 밀린 탓이다.

큰 아이가 4학년이고 둘째가 1학년이다. 그러나 두 아이의 교육 환경은 상당히 다르다. 작년부터 숙제가 무척 많아 졌다. 그 숙제의 수준도 아이들이 할 수 있는 숙제는 별로 없다. 여기에 시도 때도 없이 시험을 친다. 일제고사만 있는 것이 아니다. 한달에 서너번을 시험을 치는 듯 아이 엄마가 툭하면 시험에 대해 이야기 하고 아이들 시험 공부를 시킨다. 물론 둘째는 1학년이라 아직 이런 시험은 없는 듯하다.

다예 이름

어제의 일이다. 다예가 숙제라면 자기 이름을 한자로 써달라고 한다. 다예의 이름은 많을 다(多)에 재주 예(藝)를 쓴다. '성 김'이나 '많을 다'는 글자가 쉽기 때문에 다예도 곧잘 쓴다. 그러나 재주 예는 다예가 쓰기에 너무 복잡하다. 비단 다예에게만 복잡한 것이 아니라 아이 엄마에게도 복잡하기 때문에 다예의 한자 이름은 내가 쓰곤 한다.

보통 글자가 복잡하면 약자가 있다. 약자를 가장 많이 쓰는 곳이 일본이기는 하지만 국내에서도 이런 약자를 많이 사용한다. 따라서 재주 예처럼 복잡한 글자는 약자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얼마 전에 소개한 아이폰 어플, 한자공부Q로 재주 예를 찾아 봤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재주 예', '심을 예'라는 똑 같은 뜻과 음을 가진 한자가 너무 많다.

  1. 藝(재주 예, 심을 예, 19)
  2. 㙯(재주 예, 심을 예, 15)
  3. 兿(재주 예, 심을 예, 13)
  4. 埶(재주 예, 심을 예, 11)
  5. 秇(재주 예, 심을 예, 8)
  6. 芸(평지 운, 재주 예, 심을 예, 8)
  7. 艺(재주 예, 심을 예, 5)
  8. 蓺(심을 예, 15)

1~7까지는 모두 재주 예, 심을 예자다. 여기서 6번은 원래 평지 운이었지만 일본에서 재주 예의 약자로 사용되면서 재주 예로 편입된 듯하다. 원래 재주 예자는 '심을 예'(蓺)에 '이를 운'(云)을 합쳐 만든 글자다. 과거 농경 민족에게는 농사가 중요하다. 따라서 풀(艸)을 심(蓺)을 수 있는(云) 재주라는 뜻에서 만들어진 글자로 보인다. 그런데 원자에서 '풀 초'(艸)를 빼도 재주 예자이다. 또 '풀 초'와 '이를 운'을 빼도 재주 예(埶)다.

아무튼 다예에게는 가장 간단한 7번째의 재주 예(艺)[1]를 알려 주었다. 학교에서 자기 이름을 한자로 쓰지 못해 자존심이 상한 다예. 기껏 아빠에게 물어 봤지만 혼자서 쓰기에는 너무 복잡해서 포기했던 다예는 쉬운 글자를 알려 주자 열심히 자기 이름을 연습하고 있었다.

한글과 한자

개인적으로 난 한자무용론자가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한자만 사용해야 한다는 한자전용론자나 한자와 한글을 섞어 써야 한다는 혼용론자도 아니다. 기본적으로 한글 전용을 원한다. 그러나 우리 말에 녹아있는 한자의 흔적이 너무 많다. 따라서 우리 말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한자가 필요하다. 즉, 우리 말을 잘 이해하기 위한 한 수단이 한자다. 내가 원하는 한자교육은 이 정도다.

영어의 워드 파워(Word Power)처럼 우리 말의 어휘를 늘리기 위한 도구로 한자를 바라 보고 있다. 따라서 어려운 한자를 읽고 쓰는 것이 아니라 한자로 만들어진 우리 말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을 원한다. 얼마 전 단월강에서 투망을 던질 때 우영이는 투망(投網)의 뜻을 알고 싶어했다. 한자를 알면 투망의 뜻은 아주 쉽다. '던질 투'(投), '그물 망'(網)을 쓴다. 즉, 투망물고기를 잡기위해 던지는 그물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한자 사용도 달가운 것은 아니다. 그래서 난 "가급적"이라는 말 대신에 "될 수 있는 한"이라는 말을 쓴다. 즉, 내가 사용하는 한자의 사용도 적당한 우리 말 표현이 없을 때 사용한다. 또 적당한 우리 말이 없다면 우리 말을 적극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판올림이라는 말을 내가 처음 사용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예전에는 판올림을 낯설어 하던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나 적어도 내 블로그에서 이제 이 말을 낯설어 하는 사람은 없다.

한자는 뜻 글자이다. 따라서 말을 만들기가 쉽다. 중국에서는 TV를 전형기라고 한다[2]. 전기로 형상을 비추는 기계. 글자만 붙이면 말이 만들어 진다. 그러나 우리 말로는 이런 말을 만들기 상당히 어렵다. 뜻글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한자 문화권의 영향으로 우리 말의 '말을 만드는 능력'(조어력)이 거의 사라졌기 때문이다. 우리말의 조어력을 보완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옛말과 사투리라고 생각한다.

해살과 스포일러

또 찾아 보면 의외로 적당한 말이 많다. 일반적으로 영화나 드라마의 내용을 미리 이야기함으로서 영화의 재미를 반감 시키는 사람이 있다. 식스 센스를 보기 위해 줄을 서고 있는데 누군가 "브루스가 유령이다"라고 외치고 가면 그 영화의 재미가 어떨지는 분명하다. 이런 사람을 스포일러라고 한다. 이 스포일러에 대한 우리말로 가장 적당한 말은 해살꾼이라는 생각이 든다. 꾼이라는 좋지 않은 이미지는 스포일러와 잘 맞고 영화 감상을 방해한다는 의미에서 해살의 의미와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소년 탐정 김전일이라는 만화에 범인이 누군지 표시한 헤살꾼. 화면은 한때 즐거 보던 김치 치즈 스마일에서 시언니 수영과 시누이 연지 사이의 헤살 전쟁을 그리고 있다. 111화.

결론을 말하자면 한자의 사용은 최소화하고 될 수 있다면 적당한 우리 말을 찾자는 것이다. 이런 노력이 3세대만 계속된다면 우리는 한자 영향권에 충분히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삶이 한자 영향권을 벗어난다고 해도 역사까지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한자는 우리의 국학으로 남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모든 고문헌은 한자로 기록되어 있다.

관련 글타래


  1. 다예의 이름은 한글 음운학, 한글 성명학, 한자 성명학을 바탕으로 지은 이름이다. 따라서 호적에는 多藝로 되어 있다. 
  2. 고등학교 때 들은 이야기이므로 틀릴 수 있다. 다르다면 댓글로 알려 주기 바란다. 

Tags

Word Power, 多藝, 곽노현, 김상곤, 다예, 선거간섭위원회, 선관위, 워드 파워, 이기용, 판올림, 한자, 헤살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