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비판
내 블로그를 보면 기업에 대한 비판이 많다. 그러나 내가 비판하는 기업 중 작은 기업은 없다. 한RSS 페이퍼에 내 글이 노출되지 않는 이유를 여러 번 물었다. 그러나 한RSS는 언제나 동문서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난 한RSS를 굳이 비판하지 않는다. 기업의 규모를 생각하면 운영하는 것 자체가 힘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한RSS'가 국내 최초 웹 리더이기는 하지만 사용자층이 아주 넓은 것도 아니며, 대안도 있기 때문이다. 즉, 한RSS에 대한 비판을 하지 않는 이유는 "아직 한RSS는 비판 받을 만한 권력을 쥐지 못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진 출처: 재벌 총수 일가들 변함없는 배당잔치로 ‘돈벼락’>
기업 비판
내 블로그를 보면 기업에 대한 비판이 많다. 그러나 내가 비판하는 기업 중 작은 기업은 없다. 한RSS 페이퍼에 내 글이 노출되지 않는 이유를 여러 번 물었다. 그러나 한RSS는 언제나 동문서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난 한RSS를 굳이 비판하지 않는다. 기업의 규모를 생각하면 운영하는 것 자체가 힘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한RSS'가 국내 최초의 웹 리더이기는 하지만 사용자층이 아주 넓은 것도 아니며, 대안도 있기 때문이다. 또 한RSS에 대한 비판을 하지 않는 이유는 아직 한RSS는 비판 받을 만한 권력을 쥐지 못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중소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이 없다'. 중소기업이 고생고생해서 시장을 만들면 재벌이 모두 빼앗아 간다. 재벌들의 이런 승자독식은 작은 기업이 큰 기업으로 성장할 기회마저 았아 간다. 재벌의 SSM(Super Supermarket) 진출은 더 이상 빼앗을 중소기업의 시장이 없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재벌들은 창의력은 저 멀리 안드로메다에 보냈다[1]. 그리고 중소기업이 만든 시장 빼앗기에만 열중이다. 그래서 이런 재벌체제에서 우리나라 경제의 미래는 없다.
국민소득이 2만불에 가깝다고 한다. 2만불이면 한 가구 4인 기준으로할 때 연봉 1억을 받는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우리나라 국민 중 연봉 1억을 받는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 2천만원도 감지 덕지하며 다니는 비정규직이 태반이다. 우리 국민의 상당수는 국민소득 5천불 시대에 사는 사람들이다. 국민소득 2만불은 아직도 다른 나라 사람들의 이야기인 사람이 많다. 아니 이런 소득은 더 줄 수도 있다.
재벌의 사고방식
자작농이 소작농으로 바뀌는 현실, 과거가 아니라 우리의 현재이며 미래이다. 재벌이 중소기업의 시장을 빼앗고 경영 합리화를 이유로 계약직을 양산하고 있다. 적어도 대기업이라고 하면 중소기업과 가격으로 경쟁하면 안된다. 시장을 만들고 산업을 선도할 의무가 대기업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기업은 시장은 만들 생각도 선도할 생각도 없다. 오로지 가격으로 중소기업, 구멍가게와 경쟁하고 있다. 여기에 미래가 있을 수 있을까?
친구: 그런데 대기업이라는 놈들은 하연간.
도아: 왜?
친구: 이사가 와서 "시장 점유율을 1% 높이는 방법"을 묻더라고 기술 개발을 한다. 마케팅을 한다 등등의 의견이 나왔는데
친구: 이사 왈, "시장 점유율이 1%인 회사를 산다"라고 하더군.
친구: 그러고는 "개발은 나중에 해. 다른 회사 다 망하고 한 두개 남으면 그때 정말 개발하는 거야"
"개발은 나중에 해. 다른 회사 다 망하고 한 두개 남으면 그때 정말 개발하는 거야"
이것이 정확히 재벌의 사고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을 할 사람도 없고 기업을 해서 성공할 수 있는 방법도 없다. 권력을 쥐지 못한 작은 기업을 굳이 비판하지 않는 이유다. 내가 비판하지 않아도 중소기업은 하루 하루가 생존 투쟁이다.
참고로 내가 구매하는 제품의 상당수는 중소기업의 제품이다. 냉장고도 중소기업, 전화기도 중소기업, 모니터도 중소기업이다. 즉, 대부분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한다. 중소기업 제품은 고장 나면 AS를 받는 것이 힘들다. 또 심하면 망해 사라지는 때도 있다. 그러나 난 지금도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며, 사람들에게도 중소기업 제품을 추천한다. 우리경제의 희망을 재벌이 아닌 *중소기업에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창의력은 밥말아 먹은 재벌
이 것이 우리나라 재벌에 대한 가장 정확한 인식이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연작으로 쓸 생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