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doZinZzA RE DEL
(2010/12/18 23:19)
음.. 그 카카오톡 녀석들 보기가 안좋네요..;; 카톡 유저로서 귀추를 주목해봐야겠네요.
도아 DEL
(2010/12/20 13:10)
일처리가 계속 미숙하더군요. 다른 일 처리는 잘하는 것 같던데요.

이정일 RE DEL
(2010/12/19 11:29)
이런, 크게 고민하지 않았던 부분인데 고민 좀 해봐야겠군요.
도아 DEL
(2010/12/20 13:10)
우리나라 업체는 아마 대동소이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법이 그러니...

덱셀 RE DEL
(2010/12/19 11:59)
걍 마이피플로 갈아타써요
도아 DEL
(2010/12/20 13:11)
저는 마이피플도 소시 스팸 때문에 삭제했습니다.

Jinodd RE DEL
(2010/12/19 20:15)
기업이 이익을 추구해야 하는건 절대적이지만,
정당한 수단을 통해 수익을 챙겨야 하고
사용자(고객)를 기만해서는 안되지요!

또 실수가 있으면 깔끔하게 인정하고 사과하면서
미흡하고 미숙한 부분들을 고칠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카카오톡을 만든 이곳은 이런 개념이 많이 부족해 보이네요.

이런 기업도 기업이지만 전혀 신뢰할 수 없는 이런 곳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무더기로 보내는 미계한 인식의 사람들이
많다는 점이 더욱 씁쓸하게 느껴집니다.
도아 DEL
(2010/12/20 13:12)
본문에도 있지만 작은 실수에도 그냥 두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조금 더 솔직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낫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천예령 RE DEL
(2010/12/20 12:46)
미개한 인식을 가지게 길들였다는 것이 화나는거죠. 나라와 기업을 이끄는 사람들의 머리가 썩어 있는건지 아니면 무뇌인건지는 모르겠지만 언제까지 같은방식으로 길들이는게 먹힐거라 생각하는건지.... 소통안하는 쥐박쥐도 소통을 부르짖는 시대에, 소통이 되는 사람들이 늘어가는데 저 윗분들과는 언제 소통이 될라나요....
도아 DEL
(2010/12/20 13:12)
사회전체의 분위기가 바른 것 하고는 거리가 머니 더 그런 것 같습니다.

wildfree RE DEL
(2010/12/21 03:04)
대한민국 IT 업계들이 가장 잘 하지 못하는것이 바로 이 부분 '수익모델찾기' 인것 같습니다.
대부분 좋은 서비스를 개발하고도, 마땅한 '수익모델' 을 찾지 못하여, 문을 닫는 경우가 대부분인듯 합니다.

안타까운 현실 입니다.

그래서 '도아'님께서 추진중인 '기부제' 를 더욱더 지지하는 바 입니다.
도아 DEL
(2010/12/21 04:17)
국내 환경상 찾는 것도 힘듭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외국은 가능성만 있어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국내는 이런 투자는 거의 없습니다. 결국 **눈 앞에 보이는 수익**이 있어야 투자를 받을 수 있다 보니 수익에 급급하게 되고 결국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 구글,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서비스가 나올 수 없는 이유 중 하나 이기도 하고요.

기브코리아 RE DEL
(2010/12/21 18:34)
제대로된 수익모델을 찾아서 좀 더 발전하길 바랍니다.
도아 DEL
(2010/12/22 16:01)
신뢰성은 조금 더 떨어졌지만 아무튼 정당한 모델을 찾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메롱이 RE DEL
(2010/12/22 23:30)
결국 무료 서비스 잘 사용하고 응원을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네요... 약관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약관대로 하는것도 아니고...작은 회사의 약관과 서비스의 흠집만 찾고.... 솔직히 카카오를 믿지 못하는 유저 수준이 더 한심하네요...지금 그들은 열심히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만 하고 있습니다...약관이나 해킹을 가지고 애기하는건 상상이죠...그럴수도 있는... 잘못된걸 알려 주면 언제든 고찰수 있는 시기의 기업을 왜 벌써 죽이려 드는지...
도아 DEL
(2010/12/23 08:51)
글 잘읽어 보세요. 죽이려고 하는 것인지 아니면 잘못을 지적한 것인지... 물론 그럴 머리가 있다면 여기서 이런 글을 쓰지 않았겠죠.

쥐'박'쥐'안'티 RE DEL
(2011/01/07 11:19)
흠... 카카오톡 저도 가입했었는데 다시봐야겠네요.
그리고 제일 싫은 게 전화번호 있으면 자동으로 등록되는 거 ㅡㅡ
내가 알려주지도 않은 사람이 내 아이디 등록해놓고 문자보내놨더군요
짜증나서 탈퇴.. 이런 거 프라이버시 침해 아님?
도아 DEL
(2011/01/08 10:54)
그 기능을 싫어하는 분도 많더군요. 개인 프라이버시 입장에서 보면 달가운 기능은 아니죠.

제이미영 RE DEL
(2011/08/13 13:02)
글 잘봤습니다. 여러가지 내용과 주장은 좋았습니다. 자신의 정보가 새는걸 좋아하는 사람은 없겠죠. 근데 정보의 홍수에 사는 이 세상에서 그 정도 리스크도 없이 편리함을 추구한다면 글쓴이에게도 잘못이 있을겁니다.
제이미영바보 DEL
(2011/08/13 13:38)
논점은 카카오톡의 대처 방식인데 그걸 리크크와 편리함으로 이해하는 바보도 있군요. 허긴 사람에게 머리가 있다고 다 머리는 아니죠.
도아 DEL
(2012/03/02 18:10)
답변이 조금 늦었습니다만 중요한 것은 **그 정도의 리스크 없이도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논점은 그게 아닙니다. 읽고 이해한 뒤 댓글 다시 길.

마크탐험가 RE DEL
(2014/07/14 22:45)
에휴 카톡저도 지웠다죠.
적어도 조치만 제대로 취하고
변명만 안했어도 카톡 쓰고있었다
도아 DEL
(2014/08/02 14:01)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초기에 이미지가 좋았던 회사인데 이런 저런 일로 이미지가 나빠졌죠.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