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희 RE DEL
(2009/07/03 17:47)
이해하기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도아 DEL
(2009/07/03 18:55)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Kael H. RE DEL
(2009/07/03 19:00)
모든 물건은 직접 써봐야 사용기능을 알지요.. ㅇㅅㅇ
저도 님의 가입방법하고 Follow만 배우고 지금 트위터를 무리없이 쓰고 있답니다.. ㅇㅅㅇ

경험론의 대가인 베이컨의 명언이 있지요.
"우상을 파괴해야 한다. 경험만이 진리이다."
모든 것은 자기가 직접 해봐야 하는 겁니다 ㄲㄲㄲ
도아 DEL
(2009/07/04 12:22)
워낙 간단한 시스템이라 써보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백문이불여일견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체험해야 비로서 알 수 있는 것이죠.

단군 RE DEL
(2009/07/03 20:08)
심성정-->"심상정" 이 아닌가요?...잘 몰라서...^^

플톡은 초기에는 잘 나가다가 그 "한님"이 "삑사리"를 쥐박이 처럼 하는게 꼴보기 싫어서 않하지요...지금은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 하네요?...
도아 DEL
(2009/07/04 12:23)
한님이 '쥐박이'같은 것은 사실이죠... 오타는 수정해 두겠습니다.

칼세란줄리어드 RE DEL
(2009/07/03 20:19)
아..! RT가 트위터 내 시스템이 아니라 사용자간의 약속이었군요..! 여기에 해시 사용법까지!
도아 DEL
(2009/07/04 12:23)
예. 약속입니다. 그외의 약속도 있지만 굳이 알필요는 없습니다.

세어필 RE DEL
(2009/07/03 20:46)
여나양이 마지막으로 글을 쓴게 15일이네요.

follwer가 24천명인데,, 대충 봐온대로라면 저중 절반은 여나양이 한 얘기 듣지도 못했을 듯하군요.
도아 DEL
(2009/07/04 12:24)
폴로워는 2만4천명입니다. 그리고 외국인과 연락할 일이 없다면 아마 쓸 일도 많지 않을 듯합니다.

역전만루홈런 RE DEL
(2009/07/03 21:49)
가장 알기 쉬운 글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도아 DEL
(2009/07/04 12:24)
감사합니다.

영명준예 RE DEL
(2009/07/03 22:30)
우와, 제가 friends 중 맨 앞에 나와있네요.
이런 경험 처음인데요.
도아 DEL
(2009/07/04 12:25)
아... 그러시군요. 저 화면은 해당 사이트에서 출력한 것이라 그 비밀은 저도 모릅니다.
도아 DEL
(2009/07/08 19:05)
댓글을 달려고 갔더니 댓글창이 크롬에서는 열리지 않는군요.

하얀양말 RE DEL
(2009/07/04 01:13)
트위터!

괜찮아 보이네요 ㅋㅋㅋ

한번 해보면 좋을거 같네요!!!!!!!!!!
도아 DEL
(2009/07/04 12:25)
사용해 보면 많은 정보량에 놀라게 됩니다.

SCV RE DEL
(2009/07/04 08:24)
음.. 도아님의 트위터 설명서를 읽고 저도 한번 도전해봐야겠습니다!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참, 윗부분에서 SNS를 풀어 적으시면서 사용하신 Socail을 Social로 바꾸셔야 할 것 같습니다.. ^^;
도아 DEL
(2009/07/04 12:25)
예. 수정해 두겠습니다.

구차니 RE DEL
(2009/07/18 11:13)
아.. RT는 인용이었군요 -ㅁ-!
도아 DEL
(2009/07/18 11:16)
예. 그래서 **R**e**T**weet라고 합니다. 트윗을 다신 한다는 의미입니다. 트윗이 올린 글을 의미하기 때문에 누군가 올린 글을 다시 올린다는 뜻입니다.

쏘울 RE DEL
(2009/08/27 17:41)
저는 파이어폭스 플러그인으로 트위터에 실시간 올라오는 following 글들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정도이며, 직접 글을 올리고 수다 떠는 것에는 아직 비적극적 사용자 수준인데, 예전 PC 통신 시절에 채팅방에서 용도에 따른 명령어를 쓰던게 생각납니다. 여러가지 설명 잘 보았습니다.
도아 DEL
(2009/08/28 06:34)
우리나라 사람들은 트위터를 거의 PC통신 채팅방처럼 이용합니다. 그것도 아주 거대한 채팅방이죠.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