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이드는창 RE DEL
(2009/07/03 15:59)
글잘읽고 갑니다~~ 저는 G메일 안썼는데..
사생활보호를 위해 G메일을 써야겠어요~

좋은하루보내세요^^
도아 DEL
(2009/07/03 18:52)
예. 가급적 G메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기능도 G메일이 훨씬 강력하니까요.

칼세란줄리어드 RE DEL
(2009/07/03 16:02)
외국스패함... 쩌는군요... 거의 8000천통...;;
도아 DEL
(2009/07/03 18:52)
하루 이틀이면 만통 넘어갑니다.

Gann RE DEL
(2009/07/03 16:11)
저, 이름 어떻게 바꾸죠? 처음 글 입력할때 완전 공감한다는 뜻으로, 이름에 "완전"을 넣었더니..
계속 따라나니네요..;;;
그래서, 계속 바꿔서 다시 입력해야해요 ㅜㅜ
도아 DEL
(2009/07/03 18:53)
쿠키를 모두 지워 보시기 바랍니다.

쿠앍 RE DEL
(2009/07/03 16:27)
더불어 주민번호도 요구하지 않지요
아무렴요 헤헤
도아 DEL
(2009/07/03 18:53)
그럼요. 그런데 얼마 전 경찰청에서 주민등록 번호 주고 이메일 압수 요청을 했다고 하더군요. 구글 코리아에... 거의 바보들이죠.

학주니 RE DEL
(2009/07/03 16:42)
Gmail을 쓰는 사람들이 많아지겠군요..
도아 DEL
(2009/07/03 18:54)
많아져야죠.

인게이지 RE DEL
(2009/07/03 17:19)
보안을 위해 https 항시 사용을 설정해주면 좋죠.

G메일 스팸필터는 정말 강력하죠. 국내 포탈의 징징대는 소리는 다 개소리라는....ㅡ.ㅡ;;
지금까지 온 수천통에 매일중에 딱 하나만 잘못 분류했었죠.
그것도 처음만 그랬고 다음에는 제대로 분류해냈습니다.
아무리 이름이 스팸스러워도 스팸이 아닌 메일 귀신같이 분류해내죠

가입시 요구하는 정보도 이름과 원하는 아이디, 보안질문, 분실시 비밀번호를 보내줄 보조주소 정도뿐임 주민등록번호 같은거 안받음
도아 DEL
(2009/07/03 18:54)
예. 정말 강력합니다. 스팸함을 매번 확인하지만 잘못 스팸으로 가는 경우는 거의 없더군요.

선인장^^ RE DEL
(2009/07/03 18:23)
공권력으로부터 사생활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외국서비스들을 이용하는 방법도 유용하겠으나, 이렇게 개인적인 '도피'만으로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사생활보호 관련 법안과 제도들이 마련되어있었다면 애초에 이런 문제자체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개인적인 해결책보다는 어렵지만 사회적인 해결책도 함께 모색해야 근본적인 해결이 가능할 것 같네요.
도아 DEL
(2009/07/03 18:49)
사회적인 해결책 모색은 말할 필요가 없는 기본이죠. 그리고 이것을 '도피'라고 하지 않습니다. 상대가 어디를 공격할 것을 알고 그 공격점을 강화하는 것을 **도피**라고 하지 않기 때문이죠. 글의 논점을 잘 못 파악하신 것 같습니다.
동감.. DEL
(2009/07/04 03:47)
선인장님 말씀 동감... 사회적인 해결책... 사생활보호관련법안이 필요하고 인식적인 문제가 중요하죠.
남의 사생활은 침해 받아도 되고 자신들의 권리는 악착같고... 이중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선인장^^ DEL
(2009/07/04 11:48)
'도피'라는 표현이 좀 오해의 소지가 있군요. 반어법처럼 쓴다고 쓴 건데, 꼭 비도덕적이라고 비난하는 것처럼 느껴지네요. 사회적인 내용과 별개로 사생활을 보호하려는 개인적인 노력은 당연히 기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에어웨이 RE DEL
(2009/07/03 22:24)
저도 한국 메일 서비스 안쓴지가 벌써 8년이 다 되어갑니다.
핫메일로 시작했다가 한국으로 돌아가서 한메일을 잠깐 썼지만
맘에 안들었고 MSN 메신저때문에 다시 핫메일로 돌아왔습니다. 지금은
핫메일와 지메일을 같이 쓰고 있죠. ㅎㅎ
도아 DEL
(2009/07/04 12:27)
저는 쓰기는 합니다. 다만 경유지에 불과하죠. 모두 G메일로 오도록 해 두었으니까요.

pardonk RE DEL
(2009/07/03 22:46)
포털 메일에 비해 기능도 더 낫지만 그런 기능을 떠나서 구글 서비스의 공통된 특징, 정말 심하게 빠르기도 하죠.
무슨 메일이 사이트내 쪽지보다 더 빨리 오는 듯 한..
게다가 메일이 중간에 소실되는 경우가 없어서 해외 서비스 이용할 때는 필수이기도 하죠.
도아 DEL
(2009/07/04 12:27)
예. 빠르고 메일 잡아먹는 일도 없습니다.

RE DEL
(2009/07/04 12:19)
구글코리아에 압수수색을 요청하면 들어줘야 하지 않나요? 그래서 아예 한국에 없는 AOL을 쓰려고 하는데요.
도아 DEL
(2009/07/04 12:28)
서버가 한국에 없고 서비스 자체가 국내 서비스가 아니라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또 주민등록 번호를 저장하지 않으니 누가 누군지 알 수도 없고요.

아줌마 RE DEL
(2009/07/04 16:11)
도아님, 제가 오늘 한메일을 열려는데 빈 페이지라고 열리지가 않습니다.
무슨이유인지..

참, 그리고 인사도 없이 여기에와서 좋은 글 많이 읽고갑니다.
고맙습니다.
도아 DEL
(2009/07/05 09:42)
한메일 문제는 저도 모릅니다. 그리고 방문 감사합니다.

데굴대굴 RE DEL
(2009/07/08 00:06)
무엇보다 좋은건 전용 어플을 쓰면 정말 편리하다는데 있습니다. 중독이 됩니다.
도아 DEL
(2009/07/08 10:25)
크롬만 써도 아주 편하더군요.

녹풍 RE DEL
(2010/02/03 19:05)
패킷 감청 때문에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 어디다 물어 봐야 할까 고민 끝에 여기 찾아왔습니다.
뉴스에 보면 'gmail도 패킷 감청으로 뚫린다.' '네이버 아이디 비번 다 볼 수 있다' 라고 하는데, 네이버 아이디 비번이야 모르겠지만, gmail에서 https 모드를 활성화한 채 사용을 하면 패킷 감청으로도 내용을 볼 수 없는 것 아닌지 궁금합니다.
블로그에도 관련 글을 올렸는데 답변해 주시는 분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도아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http://mytory.textcube.com/entry/패킷-감청과-https
도아 DEL
(2010/02/04 14:31)
https를 패킷 감청으로 잡아내지 못합니다. 그렇게 쉽게 잡히는 것이라면 외국의 모든 금융권은 매일 해킹되야 정상입니다.

안랩인 RE DEL
(2011/11/01 16:06)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11/11/01 16:34)
메일 보냈습니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