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C켜도 메모장은 물어보지 않습니다.
주로 시작메뉴에서 notepad치고 씁니다.
주로 시작메뉴에서 notepad치고 씁니다.
도아 DEL
(2008/11/26 11:46)저도 그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C드라이브에 쓰려고하면 물어 보는 경우가 있지만요.
기대되는 윈도7 이지만.. 비스타가 불쌍하네요..
지금은 비스타에 적응되어서 데스크탑도 노트북도 다 비스타인데;; ㅠ.ㅜ
지금은 비스타에 적응되어서 데스크탑도 노트북도 다 비스타인데;; ㅠ.ㅜ
도아 DEL
(2008/11/26 11:47)저도 다 비스타입니다. 그런데 Windows 7이 나오면 바로 갈아탈 생각입니다. 현재 상황이라면 한글 베타만 나와도 갈아타지 않을까 싶더군요...
뉴 메뉴즈 포 윈도우즈... 아 정말 그립네요. 생각나서 아직 있나 검색도 해보고 그랬는데 찾을 수는 없더군요. 막판에는 Windows for Workgroup 3.11 에 한메한글 깔아서 쓰고 그랬었죠. 그때만 해도 불법복제 사용자였는데... ^^; 지금은 비스타를 살까말까 아직도 고민중입니다. XP를 살때는 돈이 아깝지 않았는데 비스타는 좀 망설여지네요.
도아 DEL
(2008/11/26 12:38)개발사 사이트에서 지금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16비트용과 32비트용을 제공하는데 역시 16비트용이 예전맛이 나서 좋더군요. 사이트 주소는
http://www.artefaktur.com/webroot-en.html
입니다.
저 같이 단순 용도로 pc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윈도우7은 그래도 우호적으로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비스타가 워낙 악평도 따랐기 때문에 윈도우7은 자연스럽게 비스타와 비교되며 보다 우호적인 평가를 받게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해봅니다.
비스타가 워낙 악평도 따랐기 때문에 윈도우7은 자연스럽게 비스타와 비교되며 보다 우호적인 평가를 받게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해봅니다.
도아 DEL
(2008/11/26 11:49)비스타는 사양과 UAC를 빼면 욕먹을 부분이 별로 없습니다. 다만 XP 이후에 사용자의 관심을 끄는 운영체제라는 것이 Windows 7의 복인 것 같더군요.
길바라기 DEL
(2008/11/26 11:54)"비스타는 사양과 UAC를 빼면 욕먹을 부분이 별로 없습니다."
-> 도아님의 센스(?) 그리고 소신...^^
사양과 UAC가 욕먹는 이유의 대부분을 차지하잖아요.
7이 기다려 집니다.^^
잘 읽었습니다. 3시간을 못버틴 ME를 수차례의 포맷을 무릅쓰고 몇달은 사용해본것 같습니다. 그덕에 고스트를 비롯한 복구툴을 익힐 기회가 됐죠. :) 회사에서 비스타가 출시됐을때 클라이언트 pc에서 테스트를 하고 그랬는데, 한번도 문제가 생긴적이 없네요. 문제가 없어서가 아니라 사용하는 사람이 없어서였을것 같다는...
요즘에도 얼마전에도 회사노트북을 지급받으면 제일 먼저 하는일이 xp를 다시 까는 일입니다. 사랑받는건 역시 기능과는 다른 문제인듯 해요.
요즘에도 얼마전에도 회사노트북을 지급받으면 제일 먼저 하는일이 xp를 다시 까는 일입니다. 사랑받는건 역시 기능과는 다른 문제인듯 해요.
도아 DEL
(2008/11/26 13:21)예. 너무 무겁죠. CPU가 아무리 빨라도 RAM이 1G면 사용하기 힘드니까요.
자잘한 얘기지만 1989년에 윈도우즈??
제가 92년도에 도스로 시작을 했는데, 제 기억에는 그 한참 뒤에 윈도우즈가 나왔던거로 아는데, 아닌가요?
제가 92년도에 도스로 시작을 했는데, 제 기억에는 그 한참 뒤에 윈도우즈가 나왔던거로 아는데, 아닌가요?
최면 DEL
(2008/11/26 14:35)84년도에 매킨토시가 처음 나오고;;
85년도에 윈도 1.0
87년도에 윈도 2.0
88년도에 OS/2 1.10 1.0은 텍스트라서;;
90년도에 윈도 3.0
92년도에 OS/2 2.0
그리고 95년도에 윈도 95 죠;;
Mr.Dust DEL
(2008/11/26 15:36)아 그렇군요. 그래서 제가 윈도 3.x 를 못 써본 거군요.
계속 도스만 쓰다가 -_-; 97년인가 윈도95를 시작했으니 ;;;
도아 DEL
(2008/11/26 17:57)국내에 윈도우즈는 찾기 거의 힘들었죠. 제 컴에 컴퓨터 파는 사람이 자기도 모르면서 깔아 둔 프로그램입니다.
윈도 7은 윈도 비스타와 같은 커널이죠. 윈도 비스타의 확장판이라고 해도 좋겠다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뭐 그만큼 비스타에서 할 수 없었던 부분을 많이 해결했기에 기대가 되는 것이지만요.
그리고 OS라는 측면에서 비스타는 결코 나쁜 OS가 아닌데 UAC로 인해 무지 욕먹는게 아쉽네요 ^^
뭐 그만큼 비스타에서 할 수 없었던 부분을 많이 해결했기에 기대가 되는 것이지만요.
그리고 OS라는 측면에서 비스타는 결코 나쁜 OS가 아닌데 UAC로 인해 무지 욕먹는게 아쉽네요 ^^
도아 DEL
(2008/11/26 17:57)예. NT 계열 중 욕먹을 OS는 사실 없습니다. 9x는 욕을 먹어도...
'라이트스텝'하고 'QAOS에서 퀴즈까지...'의 링크가 강좌홈으로 연결되는군요.
windows7의 속도가 빠르다... 별차이없다... 의견들이 많더군요. 그래도 대체적으로 퍼포먼스가 많이 향상되었다고 하니 기대됩니다. 아직 모든 기능이 다 실린건 아니겠죠? 대개 영문판은 한글에 비해 퍼포먼스가 앞서는 감도 있고... 그런걸 감안해서 확실히 향상되었다는 말씀으로 봤습니다.
windows7의 속도가 빠르다... 별차이없다... 의견들이 많더군요. 그래도 대체적으로 퍼포먼스가 많이 향상되었다고 하니 기대됩니다. 아직 모든 기능이 다 실린건 아니겠죠? 대개 영문판은 한글에 비해 퍼포먼스가 앞서는 감도 있고... 그런걸 감안해서 확실히 향상되었다는 말씀으로 봤습니다.
도아 DEL
(2008/11/26 17:58)부팅 속도는 약간 빠릅니다. 그러나 에어로까지 동작시켜도 상당히 부드럽습니다. 즉, 자원을 덜 잡아먹습니다.
okto DEL
(2008/11/26 18:33)링크좀 고쳐주세요^^;
도아 DEL
(2008/11/26 21:25)처음에는 무슨 뜻인가 했습니다. 확인해 보니 ie를 Internet Explorer로 일괄 변환하면서 발생한 일입니다. 수정해 두었습니다.
그 어린시절에는 손가락 빨빨거리며 되지도 않는 머리로 명령어 외워가면서 쳤는데,, 지금은 도스명령어가 뭐가 있었는지 다 까먹었네요(.....)
그리고,, 한 반년정도 도스를 쓰다가 윈도우 3.1을 봤을때 그 충격이란!
처음으로 쓰던 컴퓨터가 중고로 산 것이였는데,, 반년동안 윈도우 3.1이 깔려있는줄도 몰랐답니다....-_-;;
그리고,, 한 반년정도 도스를 쓰다가 윈도우 3.1을 봤을때 그 충격이란!
처음으로 쓰던 컴퓨터가 중고로 산 것이였는데,, 반년동안 윈도우 3.1이 깔려있는줄도 몰랐답니다....-_-;;
도아 DEL
(2008/11/26 17:59)저는 Windows 3.1을 봐도 DOS를 고수했습니다. Windows 3.1이 워낙 허접해서...
저는 이제 노트북부터 바꿀 때가 되었는데...-_-;;
윈도 7 나올때까지 기다렸다가 사는게 나으려나요...;;
윈도 7 나올때까지 기다렸다가 사는게 나으려나요...;;
도아 DEL
(2008/11/26 17:59)예. 기다리시는 것도 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윈도우 비스타는 출시 시기와 사양 부분,UAC 부분 때문에 우수한 기능들이 묻혀 버렸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이 가장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이 부분이 가장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도아 DEL
(2008/11/26 18:00)저도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안정적이고 보안이라는 측면에서 따지면 XP보다 훨씬 나은데요.
재밌게 잘 읽었어요~. 출시되자마자 노트북용으로 비스타를 구매했었는데요. 너무너무 어려웠어요..;;; 지금은 안써서 모르겠는데, 호환성이라고 해야 하나.. 은행사이트, 게임사이트.. 여튼 안되는게 많았었거든요.^^ 제 모든 스케줄이 들어 있는 일정관리 프로그램도 충돌이 나서 다 날아가버렸다는..;;;;;;; 뭐 여튼, 저희 직장에서는 대부분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가끔 네트웍 프린터 잡아달라고 부탁하시는 분들이 비스타일 때는 대략 힘듭니다. ㅎㅎ 좋은 글 잘 읽었고요. 즐거운 연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도아 DEL
(2008/11/26 18:00)ActiveX는 장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 me신세...
도아 DEL
(2008/11/26 18:00)쥐박이 신세가 그렇게 될 것 같더군요.
저는 컴퓨터를 처음으로 만쳤을때 95개정판(이게 맞나요?)을 시작으로 98->XP->vista(조금써보고)->(다시)XP 쓰고 있습니다. 저도 vista는 쓰기가 어렵더군요. 윈도우 업데이트를 해도 물어보고...조각모음을 해도 물어보고...삐떡하면 물어보고...(저는 지금 XP 서비스팩3를 쓰고 있지요.)98은 약간 과부하 같다면 퍼져버리고...95는 잘 써지다 쫌 많이 꼬였다싶으면 안전모드...(95시디는 아직도 가지고 있지요.)//저희 가족은 비스타가 좋은거라며 비스타를 쓰지만 저는 불편해서 XP를...
도아 DEL
(2008/11/26 18:01)UAC도 비스타의 악명을 높이는데 한 몫했죠.
ME야 실패작이지만 2000(NT2195)를 실패작으로 말하다니?
황당하군,,, 윈도우에 대해서 더 깊숙하게 공부하셔야 할듯,,,
현재까지 윈도우 NT2195 보다 더 완벽한 운영체제는 없었음.
지원프로그램 및 MS 정책때문에 Xp로 이동했을뿐 지금도 NT2195의
Pro, server 두종류다 안정성 및 호환성 등등 걸작임에 틀림없음.
윈도우XP SP3되서야 완벽해진 느낌이 들며, 윈도우 비스타가 자리잡지 못하는
전문적인 이유는 위 이유보다 많음.
특히 비스타에서 구현했던 화면빨은 이미 리눅스와는 비교가 되지 않음.
비스타의 특스효과보다 리눅스에서의 효과가 월등함.
황당하군,,, 윈도우에 대해서 더 깊숙하게 공부하셔야 할듯,,,
현재까지 윈도우 NT2195 보다 더 완벽한 운영체제는 없었음.
지원프로그램 및 MS 정책때문에 Xp로 이동했을뿐 지금도 NT2195의
Pro, server 두종류다 안정성 및 호환성 등등 걸작임에 틀림없음.
윈도우XP SP3되서야 완벽해진 느낌이 들며, 윈도우 비스타가 자리잡지 못하는
전문적인 이유는 위 이유보다 많음.
특히 비스타에서 구현했던 화면빨은 이미 리눅스와는 비교가 되지 않음.
비스타의 특스효과보다 리눅스에서의 효과가 월등함.
도아 DEL
(2008/11/27 08:36)눈과 머리를 장식으로 달고 다니니?
[quote]2000과는 달리 ME는 Microsoft 역사상 가장 실패한 OS가 된다[/quote]
이것이 2000이 실패했다는 뜻이니? ME는 실패한 OS이지만 2000은 아니라는 뜻이지. 기본적으로 실패한 OS가 아니라 비스타와 마찬가지 운명이었다는 뜻이지?
아, 정말 오랫만에 보는 New Menus for Windows 네요.
QEMM도 정겨운 이름이고요, 도스에서 메모리 관리할 때 필수 프로그램이었는데요.
QEMM도 정겨운 이름이고요, 도스에서 메모리 관리할 때 필수 프로그램이었는데요.
도아 DEL
(2008/11/26 18:01)예. 도스 시절 한가닥 하던 프로그램들이죠.
비스타는 쓰면서도...램이 부족해서 언제나 욕을 하며 사는 접니다. 노트북에 렘 추가하러 빨리 가던가 해야지...
도아 DEL
(2008/11/26 18:15)RAM이 부족하면 느려서 못쓰죠. NT계열은 RAM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사실 저도 처음에 비스타 나왔을때 깔았다가 답답해서 xp 로 돌아왔다가 이번에 다시 윈도우 깔면서 비스타로 다시 왔습니다. 지금상황에선 xp 랑 별 차이는 못느끼겠더라고요 . 사양도 지금은 올라가서 무거운것도 크게 못느끼겠고 비스타나 윈도7보다 전 왜 64비트 영역으로 다들 안가고 있는지 그게 더 답답해요. 드라이버나 소프트나 ;;
4g 램을 활용못하는것도 아쉽고
4g 램을 활용못하는것도 아쉽고
도아 DEL
(2008/11/26 21:26)저는 64비트 비스타를 사용합니다. XP 64보다는 드라이버가 많습니다. 일부 문제가 되는 부분, 돌지 않는 프로그램이 있지만요... 그러나 Windows 7이 마지막 32비트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조만간 64비트가 나올 것으로 생각합니다.
말씀에 공감을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비스타의 부정적 인식 개선을 위해 모하비 프로젝트 등을 펼쳤지만 너무 늦은 감이 있었습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은 비스타라서 그런지 최근 블로그를 운영하면서도 참 아쉽고 또 쓸쓸하더군요.(제가 만든 것은 아니지만서도..)
윈도우 7을 빨리 출시하려고 애쓰고, 비스타가 PDC 행사에서 거의 언급되지 못했다는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는 부분임에 틀림 없습니다.
포스트 잘 보고 갑니다.
윈도우 7을 빨리 출시하려고 애쓰고, 비스타가 PDC 행사에서 거의 언급되지 못했다는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는 부분임에 틀림 없습니다.
포스트 잘 보고 갑니다.
도아 DEL
(2008/11/26 21:27)아크비스타가 아크몬드님이 만든 블로그가 아닌가요? 시장을 보지 못하고 너무 낙관한 것, 그리고 지나치게 비싼 가격이 문제가 아니었나 싶더군요. 사실 개인이 구매하기에는 너무 비쌉니다.
아크몬드 DEL
(2008/11/26 21:37)ㅋㅋ 제가 만든 운영체제는 아니라는 뜻이었습니다.
그래도 출시 후 얼마 되지 않은 시간이라는 점에서 약간의 낙관을 하고 있습니다.
난 역시 비스타에 대한 안좋은 추억때문에 윈도우 7을 바라보고 있긴 한데 돈만 있다면 역시 스위칭하는거죠 :)!!
도아 DEL
(2008/11/26 21:28)내년 출시 예정인데 더 당겨질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스위칭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8/11/26 21:28)http://www.origin.corel.com/servlet/Satellite/kr/kr/Content/1193331932212
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코렐에서도 코렐 드라우라고 표시합니다. 원래 코렐 드라우라는 표시가 원조이기도 하고요.
모노마토 DEL
(2008/11/28 05:28)디지털 카메라 포맷인 RAW파일을 나이드신 어르신들이
라우 파일이라고 했을때 굉장히 촌스러운 느낌을 받았죠...
마치 할아버지들이 컴퓨터를 콤퓨타라고 발음 하는 것과 같이 말이죠.......
도아 DEL
(2008/11/28 07:06)익숙함의 차이일 뿐 그것을 촌스럽게 받아드리지는 않습니다. 제 경우에는... 그런데 원래 블로그가 있지 않았나요? 아니면 별명만 같은 거인가요?
전 윈도우즈Me를 1년동안 사용했습니다.
윈도우즈 Me도 관리만 잘해주면 좋은 성능을 내주었었습니다. 98보다 인터페이스도 더 좋았구요.
다만 그럴려면 블루스크린과 친해져야 하죠. 그때 습관때문에 컴퓨터 관리하는 스킬이 많이 늘었습니다.
나중엔 지치다 못해 휘슬러 시절부터 xp를 사용했지만요.
지금 업무용 노트북에 비스타를 사용중인데 1gb램으로 돌릴려니 환장하겠습니다. xp를 까려니 이미 깔린게 많고.. 램추가 하려고 보니 쓸데없이 DDR3를 쓰더군요.
윈도우즈 Me도 관리만 잘해주면 좋은 성능을 내주었었습니다. 98보다 인터페이스도 더 좋았구요.
다만 그럴려면 블루스크린과 친해져야 하죠. 그때 습관때문에 컴퓨터 관리하는 스킬이 많이 늘었습니다.
나중엔 지치다 못해 휘슬러 시절부터 xp를 사용했지만요.
지금 업무용 노트북에 비스타를 사용중인데 1gb램으로 돌릴려니 환장하겠습니다. xp를 까려니 이미 깔린게 많고.. 램추가 하려고 보니 쓸데없이 DDR3를 쓰더군요.
도아 DEL
(2008/11/27 08:02)제가 OS를 평가하는 기준은 안전성입니다. ME를 혹평하고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너무 잘 죽어서죠. 그리고 비스타는 1G에서는 사용 못합니다.
저는 Mac Draw 가 최초인줄 알았는데 Corel Draw 가 최초였나보죠?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Corel Draw 2.0 을 써본적이 있었는데 사실 지금보다 그때가 프로그램은 더 좋았던것 같아요.
도아 DEL
(2008/11/27 08:03)코렐이 등장할 때 홍보 문구였습니다. 최초의 벡터 드로윙 프로그램...
히틀러는 너무 했다. 유태인 무차별 살상 정책을 펴고 세계대전을 일으킨 장본인인데. 당신이 이명박을 독재자로 생각하는 건 알겠지만 정도껏 해야겠지???
도아 DEL
(2008/11/27 08:37)아는게 없으니 그런단다. 저 그림의 원 출처를 알고 그 뜻을 알면 이런 소리 못하지... 그리고 전혀 관련 없는 글에 이런 글 올리는 것이 아니란다. 쥐빠야.
비스타의 운명이라..
저는 비스타 서비스팩 1부터 사용했습니다. 서비스팩 이전에 비스타가 많은 문제를 안고 있어서 XP에서 비스타로 업그레이드 하기가 무서웠어요. 서비스팩 1 나오자 비스타를 구해서 사용해보았고요
서비스팩 덕분인지 모르겠지만 저는 UAC란 기능이 크게 거슬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비스타가 메모리를 너무 많이 잡아먹더군요.
ㅠㅠ
비스타 나름 장점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버지랑 동생이 XP보다 속도가 느리다고 해서 지금은 운영체제를 비스타에서 XP로 되돌려놓았습니다.
비스타.. 다운그레이드 할 때 비스타가 좀 불쌍해 보였지만.. 뭐 어쩌겠습니까..
Windows 7 나오면 바로 갈아타야죠.
저는 비스타 서비스팩 1부터 사용했습니다. 서비스팩 이전에 비스타가 많은 문제를 안고 있어서 XP에서 비스타로 업그레이드 하기가 무서웠어요. 서비스팩 1 나오자 비스타를 구해서 사용해보았고요
서비스팩 덕분인지 모르겠지만 저는 UAC란 기능이 크게 거슬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비스타가 메모리를 너무 많이 잡아먹더군요.
ㅠㅠ
비스타 나름 장점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버지랑 동생이 XP보다 속도가 느리다고 해서 지금은 운영체제를 비스타에서 XP로 되돌려놓았습니다.
비스타.. 다운그레이드 할 때 비스타가 좀 불쌍해 보였지만.. 뭐 어쩌겠습니까..
Windows 7 나오면 바로 갈아타야죠.
도아 DEL
(2008/11/27 08:05)고사양이라는 것을 빼면 괜찮습니다. 안정적이고 성능, 편의성 모두... 그런데 악명이 너무 자자하죠. 물론 악명의 대부분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지만요.
저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xp에서 비스타로 갈아탔습니다.
일단, 비스타의 에어로효과를 노트북으로 체험하고보니 xp의 외관은 도통 성에 차지 않았습니다. 또한 저는 UAC도 끄지 않고 씁니다.
CODOMO 방화벽도 한 두달간 버티고 쓴 저로서는 UAC 경고문구야... 뭐 귀여운 수준이랄까요? 보안상이나 실수로 C드라이브 데이터가 변경되거나 하는 일이 줄어든 듯 싶습니다.
아, 프로세서는 AMD 윈저 4200+EE에 램 1기간데, 사실 램이 좀 작다 느낄수도 있지만, 인터넷과 오피스작업, 동영상감상, 음악감상 위주로 사용하는 저로서는 크게 문제 없었습니다.
또, Advanced System Care라는 프로그램의 Smart RAM이라는 부가기능을 사용하니 램 사용이 줄어서 더욱 문제 없이 쓰는듯 합니다. (Winamp로 음악듣기 실행으로 테스트한 결과 한 20메가정도 관리해 줄여주더군요)
아무튼, 그런걸 차치하고서라도, 세간의 비스타의 악명은 언론들의 싼 입방정에 의한 과도한 평가가 아닌가 싶습니다. 쪼끔 무겁긴하지만, 지금 상황까지 욕먹을 운영체제는 아니며, 최소한 XP에서 진일보한 운영체제임은 틀림없으니까요.
일단, 비스타의 에어로효과를 노트북으로 체험하고보니 xp의 외관은 도통 성에 차지 않았습니다. 또한 저는 UAC도 끄지 않고 씁니다.
CODOMO 방화벽도 한 두달간 버티고 쓴 저로서는 UAC 경고문구야... 뭐 귀여운 수준이랄까요? 보안상이나 실수로 C드라이브 데이터가 변경되거나 하는 일이 줄어든 듯 싶습니다.
아, 프로세서는 AMD 윈저 4200+EE에 램 1기간데, 사실 램이 좀 작다 느낄수도 있지만, 인터넷과 오피스작업, 동영상감상, 음악감상 위주로 사용하는 저로서는 크게 문제 없었습니다.
또, Advanced System Care라는 프로그램의 Smart RAM이라는 부가기능을 사용하니 램 사용이 줄어서 더욱 문제 없이 쓰는듯 합니다. (Winamp로 음악듣기 실행으로 테스트한 결과 한 20메가정도 관리해 줄여주더군요)
아무튼, 그런걸 차치하고서라도, 세간의 비스타의 악명은 언론들의 싼 입방정에 의한 과도한 평가가 아닌가 싶습니다. 쪼끔 무겁긴하지만, 지금 상황까지 욕먹을 운영체제는 아니며, 최소한 XP에서 진일보한 운영체제임은 틀림없으니까요.
도아 DEL
(2008/11/27 08:05)저도 바로 갈아탄 예입니다. 그리고 별 불편없이 사용했습니다. 오히려 XP보다 나았으면 나았지 못하지 않습니다.
진정한 비스타의 썩음은 실제 3D 게임이나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때라고 생각합니다.
모액션게임 개발 당시 XP에서는 꾸리한 그래픽카드에서도 60Frame을 안정적으로 유지 했건만 비스타는 괴물같은 그래픽 카드를 달아도 15Frame을 넘길 수 없었습니다.
혹자는 말하겠죠.. 프로그램을 잘못 짰다고. 그러나 이야기 해야죠,.. 같는 실행 파일이 저렇게 틀릴수 있다면 OS만든 사람 책임 아니냐고...
컴을 가지고 게임만 하냐고 물어 볼 사람이 있을 지 모릅니다.
그러나 많은 프로그램들이 3D 어플리케이션 기술을 활용하기에, 이런 부분은
간과 되어서는 안됀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사이트에서는 에어로 기능을 끄는 것과 실행파일의 로딩및 실행 시간에 차이가 없다고 기술하는 것을 봤습니다. 그것이야 3D 어플리케이션이 아닐때 이야기 입니다. 분명히 3D 게임이나 3D MAX로 실시간 뷰로 작업할때의 답답함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렇다면 XP써라 하는 사람도 있을 테죠.. 그러나 개발회사는 정품을 써야 한다는 사실을 다 아시죠? 현제 XP는 정품을 구할수도 인증을 재다로 받을 수도 없다는 사실을 아시는지요. XP에대한 지원을 중단했기 때문입니다.
사실 최근에는 그래서 아에 우분투용 게임개발 쪽으로 선회해 볼까 하는 생각까지 했답니다.
모액션게임 개발 당시 XP에서는 꾸리한 그래픽카드에서도 60Frame을 안정적으로 유지 했건만 비스타는 괴물같은 그래픽 카드를 달아도 15Frame을 넘길 수 없었습니다.
혹자는 말하겠죠.. 프로그램을 잘못 짰다고. 그러나 이야기 해야죠,.. 같는 실행 파일이 저렇게 틀릴수 있다면 OS만든 사람 책임 아니냐고...
컴을 가지고 게임만 하냐고 물어 볼 사람이 있을 지 모릅니다.
그러나 많은 프로그램들이 3D 어플리케이션 기술을 활용하기에, 이런 부분은
간과 되어서는 안됀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사이트에서는 에어로 기능을 끄는 것과 실행파일의 로딩및 실행 시간에 차이가 없다고 기술하는 것을 봤습니다. 그것이야 3D 어플리케이션이 아닐때 이야기 입니다. 분명히 3D 게임이나 3D MAX로 실시간 뷰로 작업할때의 답답함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렇다면 XP써라 하는 사람도 있을 테죠.. 그러나 개발회사는 정품을 써야 한다는 사실을 다 아시죠? 현제 XP는 정품을 구할수도 인증을 재다로 받을 수도 없다는 사실을 아시는지요. XP에대한 지원을 중단했기 때문입니다.
사실 최근에는 그래서 아에 우분투용 게임개발 쪽으로 선회해 볼까 하는 생각까지 했답니다.
도아 DEL
(2008/11/27 12:58)실행 파일을 실행하는 시간과는 관련이 없지만 화면에 뿌려주는 것에는 분명히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늦게 실행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런 게임을 할 때에는 에어로를 끄고 할 수 있도록 바탕화면 오른쪽 메뉴에 에어로를 끄는 메뉴를 추가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재미난 OS의 역사 잼나게 읽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끝까지 windows2000 으로 버티다가 windows2000 상의 비디오 드라이버 제작업체에서 더이상 windows2000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으면서 갈아타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프로그램을 짤 때 XP의 경우는 타이머라든지 그런데 좀 이상한 부분이 있어서 PCI 슬롯상의 빠른 데이터 전송의 경우 잘 안되는 경우가 있거든요..
그리고 비스타의 경우는 OS가 무겁다는 것이 UAC의 귀차니즘보다 더 많이 작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원체 MS가 욕을 많이 들어먹다보니 Defrag, Indexing Service 같은 무거운 놈도 Scheduler 에 다가 올려버리는 등 Scheduler 서비스가 너무 많아져서 결국 HDD 가 거의 계속 돌아가는 상황이 발생을 해버리죠..
일반 사용자의 경우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니 무겁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비스타의 경우 Service 등을 조금만 Optimize 해도 효과가 좋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역시 베타로 써본 Windows 7 만 못하더군요 ^^
저 같은 경우는 끝까지 windows2000 으로 버티다가 windows2000 상의 비디오 드라이버 제작업체에서 더이상 windows2000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으면서 갈아타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프로그램을 짤 때 XP의 경우는 타이머라든지 그런데 좀 이상한 부분이 있어서 PCI 슬롯상의 빠른 데이터 전송의 경우 잘 안되는 경우가 있거든요..
그리고 비스타의 경우는 OS가 무겁다는 것이 UAC의 귀차니즘보다 더 많이 작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원체 MS가 욕을 많이 들어먹다보니 Defrag, Indexing Service 같은 무거운 놈도 Scheduler 에 다가 올려버리는 등 Scheduler 서비스가 너무 많아져서 결국 HDD 가 거의 계속 돌아가는 상황이 발생을 해버리죠..
일반 사용자의 경우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니 무겁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비스타의 경우 Service 등을 조금만 Optimize 해도 효과가 좋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역시 베타로 써본 Windows 7 만 못하더군요 ^^
도아 DEL
(2008/11/27 12:59)UAC도 사용 못지 않게 원성을 많이 들은 기능입니다. 그래서 Windows 7은 맥OS나 리눅스처럼 UAC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바뀌었더군요.
확실히 윈도우7이 기대가 되게 만들어 지더군요.
설치시간도 약20분가량으로 매우 빠르고 비스타 태생일텐데
반응속도 및 원할함은 더 좋다는거..
프리베타이긴 하지만 조금 아쉬운 점은 IE8의 불안정하다는 점이더군요. 프리징 현상과 액티브x의 문제 떄문에 고생하다가 결국엔 XP를 거쳐 비스타로 오게 되더군요.
액티브X는 제품이 수정되야 하겠지만 궁극전인 원인인 웹표준화가 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설치시간도 약20분가량으로 매우 빠르고 비스타 태생일텐데
반응속도 및 원할함은 더 좋다는거..
프리베타이긴 하지만 조금 아쉬운 점은 IE8의 불안정하다는 점이더군요. 프리징 현상과 액티브x의 문제 떄문에 고생하다가 결국엔 XP를 거쳐 비스타로 오게 되더군요.
액티브X는 제품이 수정되야 하겠지만 궁극전인 원인인 웹표준화가 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도아 DEL
(2008/11/28 07:08)글에도 있지만 Windows 7은 나름대로 최적화에 신경을 쓴 것이 아닌가 싶더군요. 즉, 비스타에서 받은 원망을 해결하려고 노력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한 것 같더군요.
지금도 XP를 쓰고 있지만, 전문가가 아닌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저의 비스타에 대한 느낌은 상당히 호의적입니다. 주위 분들을 봐도, XP를 쓰던 시절에 바이러스와 악성코드로 고생하시던 분들이 비스타를 구입한 후에는 거의 그런 말이 나오지 않는 것만 보더라도 비스타는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개인적으로 아이들에게 간단한 팁만 알려주면, 아이들조차도 쉽게 복구할 수 있다는 것이 상당한 장정이라 생각하고요. 저는 컴퓨터의 사양이 충분히 된다면, 굳이 비스타를 마다하지는 않겠더군요. 그러나, 비스타를 사용해 보기 전에는 저도 비스타가 좋지 않다는 고정관념이 팽배했을까라는 의구심도 듭니다. 이상하게 왜 그리 비난적인 글을 많이 접했는지... 도아님의 이런 객관적이고 훌륭한 글을 보면서 역시 도아님이시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도아님의 말씀처럼 "비운의 운영체제 비스타"... 이 글귀에 모든 것이 잘 함축됐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도아 DEL
(2008/11/28 07:09)예. 악성 코드에 점염되는 것은 정말 현저히 줄었습니다. 또 복구 기능도 잘되어 있고요. 다만 사람들이 잘 알지도 못하면서 무조건 욕만하기 때문에 문제인 것 같더군요.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덕분에 지난 추억에 빠져 들었네요...
애플2 를 거쳐 xt at 386 486 하드웨어가 바뀌면서 os역시나 바뀌어 갔지요
qemm 도 m이라는 프로그램도...
그때의 추억을 간직하고자 모든 pc와 프로그램들을 아직도 보관하고 있답니다.
내내 좋은 하루 되세요
애플2 를 거쳐 xt at 386 486 하드웨어가 바뀌면서 os역시나 바뀌어 갔지요
qemm 도 m이라는 프로그램도...
그때의 추억을 간직하고자 모든 pc와 프로그램들을 아직도 보관하고 있답니다.
내내 좋은 하루 되세요
도아 DEL
(2008/11/29 08:11)저는 M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항상 하는 이야기는
M으로 할 수 있는 모든 일은 DN으로 할 수 있지만
DN으로 할 수 있는 단 하나도 M으로는 할 수 없다.
입니다. DN이라는 너무 좋은 파일 관리자 때문에 M을 가까이 할 수 없었죠. 유현재님도 즐거운 주말 되세요.
미국 각 대학 피씨에 비스타 설치 여부를 검토하다가 대부분 대학에서 백지화하기로 결정한 것은 객관적 사실입니다. 님처럼 박식한 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얘기가 아니라는 거지요. 비스타는 실패작이기도 하지만 세계의 수많은 하드웨어 업체들에게 경제적 손실과 피해를 준 재앙일 뿐입니다. 단 한가지 의미를 부여하자면 사람들이 즈네말만 믿고 좀비처럼 무조건 애용해줄 줄 알았던 조폭기업 마소(의사소통이 안되는 깡패집단은 왜 엠자로 시작하는건지..)가 기타 운영체제 약진에 놀라서 생각을 고쳐먹기 시작하게한 계기라는 점 정도일까요? 델 사이트에서 랩탑 구매하려고 봤더니 같은 사양에 엑스피 깔려있는건 100불을 더 줘야합니다. 뭘 의미할까요? 비스타 찬양은 흘러간 벽돌격파게임 리뷰만큼이나 의미가 없어보입니다.
도아 DEL
(2008/11/30 12:59)2000도 XP도 같은 과정을 거쳤습니다. 즉 비스타에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는 점이죠. 그리고 MS가 조폭 기업인 것과 운영체제의 성능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기업이 마인드가 나쁘면 제품이 나쁘다는 것 역시 좀비적 사고입니다.
마지막으로 있는 이야기를 쓰는 것이 찬양은 아닙니다. 또 이글은 비스타 찬양하고는 전혀 무관한 글입니다. 이정도를 이해하지 못하니 좀비스러운 글을 쓰는 것이겠죠.
대부분의 내용에 공감합니다...만
Windows 7의 경우
개발초기에 7은 전혀 새로운 OS가 될것이다라는 얘기를 했고...
그에따라 비스타에 실망한 많은 사람들이
Windows 7을 기대하고 비스타를 사용하지 않고 있었을 껍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Windows 7은 비스타의 코드를 사용한
어떻게 보면 비스타의 기능개선판이나
비스타 SP2정도의 성향으로 밖에 보이지 않더라구요
비스타의 기능을 낮은 사양에서도 가능하게 될것은 좋은 일이지만...
어떻게 보면 Windows 7이 기존의 7이 아닌
비스타 개선작업중에 나온 '떨이'일 수도 있을듯하더군요...
뭐 결국...판단은 사용자들이 하겠지만요...
Windows 7의 경우
개발초기에 7은 전혀 새로운 OS가 될것이다라는 얘기를 했고...
그에따라 비스타에 실망한 많은 사람들이
Windows 7을 기대하고 비스타를 사용하지 않고 있었을 껍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Windows 7은 비스타의 코드를 사용한
어떻게 보면 비스타의 기능개선판이나
비스타 SP2정도의 성향으로 밖에 보이지 않더라구요
비스타의 기능을 낮은 사양에서도 가능하게 될것은 좋은 일이지만...
어떻게 보면 Windows 7이 기존의 7이 아닌
비스타 개선작업중에 나온 '떨이'일 수도 있을듯하더군요...
뭐 결국...판단은 사용자들이 하겠지만요...
도아 DEL
(2008/12/02 14:58)전혀 새로운 OS는 말이 되지 않는 이야기고요. 거의 비슷합니다. 새로운 기능이 조금 추가된 정도죠. 다만 비스타의 실패를 잊기위해 그런 것이 아닌가 싶더군요.
다른 분들과 다르게 게이머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비스타는 매력이 없는 운영체제였습니다...
UAC야 적응하면 될 일이었지만, 기본적으로 무거운데다가...
DirectX 9 -> DirectX 10에 획기적인 성능개선이나 화질개선이 없었거든요...
비스타가 옵티마이징하고 UAC도 끄고 하면 XP보다 낫다.. 라고 하셔도...
일반적으로는 기본 설치 상태를 가지고 OS를 판단하니까요~ ^^;;
요즘들어 GTA4가 원체 고사양으로 발매가 되고,
그래픽카드보다, 기본 시스템 사양을 많이 타는 게임이라서...
XP는 4G 램을 제대로 지원못하고 Vista는 가능하다고 하니 관심이 생기더군요... :)
OS변경의 모든 귀찮음을 무릅쓰고 XP->Vista 로 옮길만한
XP에는 없는 Vista만의 장점이 없었던 것이 결정적이었을 것 같네요~
비스타는 매력이 없는 운영체제였습니다...
UAC야 적응하면 될 일이었지만, 기본적으로 무거운데다가...
DirectX 9 -> DirectX 10에 획기적인 성능개선이나 화질개선이 없었거든요...
비스타가 옵티마이징하고 UAC도 끄고 하면 XP보다 낫다.. 라고 하셔도...
일반적으로는 기본 설치 상태를 가지고 OS를 판단하니까요~ ^^;;
요즘들어 GTA4가 원체 고사양으로 발매가 되고,
그래픽카드보다, 기본 시스템 사양을 많이 타는 게임이라서...
XP는 4G 램을 제대로 지원못하고 Vista는 가능하다고 하니 관심이 생기더군요... :)
OS변경의 모든 귀찮음을 무릅쓰고 XP->Vista 로 옮길만한
XP에는 없는 Vista만의 장점이 없었던 것이 결정적이었을 것 같네요~
도아 DEL
(2008/12/11 12:03)게임용은 무립니다. 에어로를 켜면 엄청 버벅대니까요.
흠 비스타에 익숙한 사람은 XP가 싫다고 하더라고요
도아 DEL
(2009/02/15 04:20)저도 XP가 싫습니다. 비스타가 훨씬 좋죠.
컴퓨터 전공하는 학생입니다만 확실히 비스타가 XP보다 나은데요 여러가지로. UAC는 조금 귀찮긴 하지만 정말로 필요하다고 느껴질 때도 있으니 참고 쓸 수 있는 수준이고 사양 문제는..... 제 컴퓨터가 고사양이라 전혀 무겁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습니다.
도아 DEL
(2009/05/06 10:47)하고자하는 이야기가 무엇인지요? 저는 비스타를 상당히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QUOTE]그리고 6년이 지난 작년, Microsoft는 비스타(Windows Vista)라는 운영체제를 야심차게 선보인다. ☞XP와는 다른 외관, 강화된 보안, NT 기반 운영체제 중 가장 안정적인 성능등 기능과 편의 양쪽을 잡은 운영체제였다. [/QUOTE]
라고 본문에 써두었습니다. 제목만 읽고 댓글 쓰신 것인가요?
글 잘 읽었습니다. OS를 넘어갈 때는, 저같은 경우는 특이하지 않았나 생각하네요. Me를 9년간 사용하고 Vista로 넘어왔으니까요. 그래서 그런지 XP는 학교에서나 보는 신기한 OS(?) 수준이 되어버렸었고 말이죠.
도아 DEL
(2009/07/20 07:38)정말 특이한 케이스군요. 하늘도 버린 ME를 9년간 사용하고, 혹평을 받은 비스타로 넘어왔다니요.
young026 DEL
(2009/12/01 21:34)위 분만큼은 아니지만 저도 보통과는 다소 다른 경우입니다. 2000년인가부터 재작년까지 W2k를 썼고 2007년에야 XP로 넘어왔으니까요.
도스에서(win3.1도 쓰긴 썼지만 이건 운영체제가 아니니...) 바로 98로 넘어와서 3년 가까이 98/98se를 쓰다가 2k를 정말 오래 썼군요. vista는 패스하고 7로 바로 넘어가려는 중입니다.
(2008/11/26 11:34)
무슨 내장 프로그램인 메모장을 실행하는데도 권한을 물어 보지 않나 도무지 짜증이 나서 쓰지를 못하겠더군요.
Windows7이 기대 되는 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정품으로 구매 하기에는 지갑사정이 여의치 않을 듯 하고 저렴하게 나오지 않을꺼 같아서, 게임을 포기 한다면 Ubuntu나 손에 익은 Fedora Core로도 고려를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