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8 개발자 미리보기, 설치는 잘될까?


[desc]개발자 미리 보기 설치|얼마 전 윈도 8 개발자 미리보기가 공개됐다. 윈도 8은 기존 운영체제와는 달리 모바일 본능을 간직한 운영체제다. 모바일 본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귀여운 BSOD

Blue Screen of Death라는 윈도 특유의 파란색 화면이 바뀌었다. BSOD를 "난 너한테 새파랗게 질렸어"라는 의미로 보여준다고 했는데 이젠 이 말도 다시 써먹기는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일단

  • 'Select a Guest Operating System' 창에서 'Microsoft Windows'를 선택하고 다운 메뉴에서 'Windows 7' 또는 'Windows 7 64비트'를 선택한다. 설치할 운영체제를 선택하는 부분으로 아직 윈도 8은 없다. 따라서 설치하려는 운영체제가 32비트면 윈도 7, 64비트는 윈도 7 64비트를 선택하면 된다.
  • 'Specify Disk Capacity' 창에서 적당한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선택하고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이나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s'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 기준은 아래의 표를 참조한다. [#하드디스크 옵션] ITEM 설명 용량 윈도 8은
  • 윈도 8 설치하기

    윈도 8의 설치는 이전에 설명했듯이 윈도 7을 설치하는 것과 거의 비슷하다. 따라서 윈도 7을 설치해 본 사람이라고 하면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똑 같다. 따라서 이 부분은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 다만 설치하면 화폐 단위(Time and currency format)를 Korean으로 설정하면 다음 그림처럼 키보드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키보드 유형은 될 수 있으면 그림처럼 'Type 3'을 지정하는 것이 좋다.

    설정하기

    설정하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다. 다만 일부 환경에서는 그림처럼 로컬 ID가 아니라 '라이브 계정 ID'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브 계정 ID와 암호를 입력하면 그림처럼 라이브 계정으로 윈도 8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히 그림으로 설명하겠다.

    1. '컴퓨터 이름 설정과 사용자 설정'. 사용자 설정에서는 'Use express settings'를 선택하는 것이 더 편하다. 가상 PC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굳이 Customize를 선택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
    2. '라이브 계정 로그인'. 라이브 계정 ID를 입력하고 Next 단추를 누르면 그림처럼 암호를 입력하는 화면이 한번 더 나온다. 원격으로 사용자 정보를 가져온 것이 아닌가 싶다.
    3. '로그온'. 라이브 계정 ID와 암호를 입력하면 잠깐 왼쪽과 같은 로그인 화면이 나타난다. 주의할 것은 로그인 계정 입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왼쪽 그림 아래쪽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이 화면은 계정을 만들면서 임시로 보여준 화면에 불과하다. 이 화면이 사라지면 오른쪽 그림처럼 컴퓨터에 사용자를 위한 준비화면이 나타난다.
    4. '메트로 UI'. 로그인을 완료하면 그림처럼 '메트로 UI'가 나타난다. 한가지 주의할 것은

    이것으로 윈도 8에 대한 간단한 설치기를 마무리하겠다. 윈도 8에서 바뀐 부분은 비스타의 무엇이 달라졌을까 시리즈처럼 윈도 8의 바뀐 부분도 따로 올리도록 하겠다.

    관련 글타래

    1. 70만대가 많은 판매대수는 아니다. 그런데 언급하는 이유는 옴니아 상태를 보면 절대 70만대 씩이나 팔릴 수 있는 제품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2. 이 부분은 이 아무리 노력해도 따라잡기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으로 노자가 말한 '허'(虛)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3. 정책면에서 윈도 모바일과 비슷하게 진행되고 있는 안드로이드와 비교는 힘들다. 이 부분은 나중에 시간이 되면 자세히 한번 더 다루겠다. 
    4. 첫 성공작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결과는 역대 최악의 운영체제가 됐다. 안정적이고 가볍던 윈도 7을 완전히 말아 먹은 최악의 괴물. 
    5. 정확히는 Connectix Virtual PC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인수, 개발한 것이다. 나서기를 위해 추가한다. 
    6. 모든 시스템에서 라이브 ID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이전에 쓴 글처럼 환경에 따라 요구하는 듯하다. 
    7. 하나는 운영체제로 리눅스를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맥 OS를 사용한다. 그러나 설정하는 방법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