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복마전이 된 위키리크스 외교문서 전문


위키리크스 검색 사이트

위키리크스 전문이 공개됐다. 전세계 미대사관과 이 주고 받은 외교문서 25만건이다. 과거 어산지가 암호를 걸어 인터넷에 공개한 비밀 외교문서 전문의 암호가 공개되며 위키리크스에서 부랴 부랴 공개한 것이다. 21세기 최고의 판도라 상자가 열렸다. 하나 하나 공개될 때마다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위키리크스. 이 글에서는 공개 과정, 전문을 내려받을 수 있는 방법과 위키리크스 전문을 키워드로 검색할 수있는 사이트를 소개한다.

목차

위키리크스의 외교문서 전문

위키리크스(Wikileaks)는 익명의 정보 제공자가 제공한 정보나 자체적으로 수집한 비밀, 미공개 정보를 공개하는 국제적 비영리기관이다. 지금까지 각국의 , 기업에 속한 상당히 예민한 문서들을 공개해 왔다. 선샤인 프레스에 의해 2006년 처음 사이트가 개설됐으며 채 1년이 지나지 않아 120만 건 이상의 문서가 등록되었다. 그러나 위키리크스가 세상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2010년 이라크 국민과 기자들이 살해되는 장면을 담은 부수적 살인(Collateral Murder)이라는 비디오 파일을 공개하면서 부터이다[출처: 위키피디아의 위키리크스].

위키리크스는 2010년 11월 28일 cablegate.org에 "Secret US Embassy Cables"이라는 이름으로 외교문서를 공개해 왔다. 1996년부터 2010년 말까지 미 국무부가 전 세계 274개 미 대사관과 주고받은 공식 외교문서 220개를 1차적으로 공개했다. 아울러 총 25만건에 달하는 외교 문서를 단계적으로 공개할 것을 공언했다. 2010년 12월 위키리크스의 어산지가 체포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25만여건의 외교문서 전문을 암호를 걸어 인터넷에 공개했다. 아울러 어산지 신변에 위험이 닥치면 암호를 공개할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시간으로 지난 8월 31일에 이 암호 을 표현하는 세컷

을 검색한 결과

문서의 내용이 워낙 방대하기는 하지만 시간이 나면 틈틈이 읽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또 문서가 많으니 한 사람이 모두 읽는 것 보다는 집단지성의 힘을 발휘해 서로 검색해서 읽고 에 대한 비리를 번역, 공개하는 사이트를 하나 만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관련 글타래

  1. 토런트등으로 구할 수 있는 insurance.aes256 파일의 암호가 아니라 어산지가 가이던지에 준 400MB 짜리 파일의 암호라고 한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