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에는 어떤 기능이 숨어있을까?


크롬의 필수 확장

크롬에는 일반인 들이 모르는 기능이 상당히 많이 숨어 있다. 또 개발자판에 포함된 실험실이라는 기능을 이용하면 크롬의 기능을 미리 엿볼 수도 있다. 오늘 소개하는 Chrome Service Pages 확장은 이런 숨은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크롬 확장이다. 여기에 특정 웹 어플을 실행하는 기능, 창을 다시 읽거나 닫는 기능등 상당히 유용한 기능을 가진 확장이다.

목차

크롬과 확장

며칠 전

그림의 크롬 서비스 확장은 링크에서 제공하는 확장과는 조금 차이가 난다. 그 이유는 영어로 되어 있는 것을 한글화하고 확장 갤러리처럼 크롬과 관련된 기능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이외에 싱크 엔진 정보

  • Extensions(확장)
    크롬(Chrome)의 확장 관리 페이지로 이동한다. '옵션/도구/확장 프로그램' 메뉴를 클릭해도 되고 확장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한 뒤 '확장 프로그램 관리' 메뉴를 클릭해도 된다. 주소 표시줄에서는 chrome://extensions/ 명령을 사용한다.
  • Plugins(플러그인)
    플러그인 관리 페이지로 이동한다. 메뉴나 단축키는 따로 제공하지 않으며 주소 표시줄에 about:plugins 명령을 입력함으로서 접근할 수 있다. 플러그인은 확장과 비슷하지만 DLL로 크롬과 조금 더 밀접하게 연동된다.
  • Downloads(내려받기)
    크롬의 내려받기 관리자로 이동한다.
  • Bookmarks(책갈피)
    크롬의 책갈피 관리자로 이동한다. '옵션/북마크 관리자' 메뉴나 chrome://bookmarks/ 명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참고로 크롬의 책갈피는 %LOCALAPPDATA%\Google\Chrome\User Data\Default\Bookmarks라는 파일에 HTML 형식으로 저장된다.
  • Experiments(실험실)
    크롬 개발자 판에서 시험 중인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메뉴나 단축키는 따로 제공하지 않으며 chrome://flags/ 명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크롬 실험실에 대해서는
  • Memory info(메모리 정보)
    크롬이 차지하고 있는 메모리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하는 내용은 기본적으로
  • Sync engine info(싱크 엔진 정보)
    며칠 전까지 동작하지 않는 기능이었다. 그러나
  • HTML5 App cache(HTML5 앱 캐시)
    역시 아직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다. 이름을 보면 크롬에서 지원할 예정인 웹 어플
  • Stats of memory usage(메모리 사용 상태)
    크롬의 메모리 사용 상태를 출력한다. 가끔 "Stats as of last page load;reload to get stats as of this page load."와 같은 메시지만 출력될 수 있다. 이때는 페이지를 다시 읽으면 메모리 상태가 표시된다. about:tcmalloc 명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 Histograms(히스토그램)
    내부적으로 실행한 명령의 텍스트 히스토그램을 볼 수 있다. about:histograms 명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Stats(상태)
    크롬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대한 상태를 표시한다. about:stats 명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Net info(넷 정보)
    아주 다양한 네트워크 정보를 표시한다. Data, Proxy, Events, DNS, Sockets, SPDY, HTTP Cache, SPIs, Tests등 네트워크에 관련된 모든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할 때 아주 유용한 명령이다. about:net-internals 명령을 통해 접근한다.
  • DNS
    크롬에서 접근한 각종 'DNS'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읽은 페이지의 수, 서브 도메인등 DNS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bout:dns 명령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DNS와 IP에 대한 정보는
  • GPU
    크롬의 GPU 사용 상태를 표시한다. 하는 일이 이쪽 계통이 아니라 별 다른 감흥은 없었다. about:gpu 명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Chrome version(크롬 판번호), Terms of Chrome Service(크롬 서비스 약관), Credits(고마운분), About-page list(About 명령 목록)
    크롬의 판번호, 서비스 약관, 고마운분, About 명령 목록등을 확인할 수 있다. about:version, about:terms, about:credits, about:about 명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Crash page(크래시 페이지)
    현재의 페이지를 크래시 시킨다. 확장 페이지에서 사용하면 해당 확장이 삭제될 수도 있다. about:crash 명령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기타
    about:internets, about:tasks는 과거에 지원하던 명령이었지만 현재는 지원하지 않는듯 동작하지 않았다. 다만 about:internets는 크롬의 이스터에그가 출력됐던 것 같은데 사라진 것은 조금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 남은 이야기

    지금까지 Chrome Service Pages에서 지원하는 크롬의 숨은 기능에 대해 알아봤다. 이 모든 기능을 사용할 사람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기능이 웹 기반 사이트나 웹 어플을 만들 때 상당히 유용한 기능이다. 따라서 알아두면 언젠가는 쓰게될 기능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잡은화면을 보면 아직도 각 페이지의 일관성이 없다. 개발자판이라서 그런다기 보다는 아직 크롬은 베타 빌드이기 때문일 것 같다. 숨가뿌게 판번호를 올리고 있지만 구글 크롬 OS가 공식 등장하기 전까지는 여전히 베타가 아닐까 싶다.

    두번째로 눈여겨 볼 부분은 '앱 캐시', '넷 정보'등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기능으로 보기에 힘든 기능도 많다. 기본적으로 크롬이 플랫폼으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처음 크롬이 등장했을 때 올린 글이 구글 크롬은 구글 OS의 신호탄라는 글이다. 크롬을 보자 마자 구글이 운영체제를 개발할 것이라는 예측을 한 셈이다. 그러나 당시 이 글은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물론 설마 구글이 운영체제를 만들겠냐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내 예상대로 구글은 크롬을 기반으로 한 운영체제 개발을 공식화했다. 세상을 보는 눈은 모두 똑 같다. 그러나 무엇을 보느냐는 역시 각자의 능력이 아닌가 한다.

    관련 글타래

    1. 크롬 최신판에서는 이 기능도 동작한다. 
    2. 손가락 표시가 있는 기능은 죽여놓은 기능을 살린 것이다. 
    3. 크롬 브라우저에서 웹 어플을 지원할 것인지 크롬 운영체제에서만 지원할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