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스킨을 얼마나 자주 바꾸나요?
첫 스킨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Movable Type을 비롯한 상당히 많은 블로그 도구를 시험했다. 제로보드 기반의 '조그'도 이때 시험했지만 결국 사용하게 된 블로그 도구는 태터툴즈였다. 태터툴즈를 사용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개발자가 한국 사람이며, 따라서 언어적인 문제를 겪지 않아도 된다. 또 간단한 스킨 구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스킨이 많았고 디자인이 외국 블로그 도구에 비해 예뻤다.
블로그 첫 글
내가 처음 블로그를 시작한 것은 '2004년 6월'이다. 그리고 블로그에 처음 올린 글이 처음 사용한 스킨(100_quan)
지금 기억으로는 '태터툴즈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던 스킨'이라고 생각한다. 디자인도 깔끔하고 간단하다. 최근의 내용이 출력되는 것은 스킨만 예전의 스킨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태터툴즈에서 텍스트큐브까지 발전했지만 기본적인 구조가 같기 때문에 아직까지 스킨이 호환된다.
초코밀크
태터툴즈를 사용하면서 자주 한 일이 패치였다. 이것 저것 패치한 것이 많아 '태터툴즈'가 판올림되면 공포증이 몰려왔다. 개인적으로 패치해서 사용한 부분이 많아 판올림하면 다시 패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터툴즈를 사용할 때까지만 해도 판올림 보다는 스킨을 자주 바꿨던 것 같다. 아무튼 기본 스킨을 사용하다가 뭔가 부족한 것 같아 바꾼 스킨이 초코밀크(chocomilk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전 디자인에 비해 조금 더 튄다.
기본 스킨을 사용하다 다른 스킨을 사용하면서 부터는 스킨을 나름 대로 바꿔서 사용했다. 이 스킨도 아래쪽의 'QAOS.com'이라는 메뉴는 따로 추가한 것이고 페이지 위쪽에는 독도 사랑에 대한 그림과 삼성, KT에 대한 반대 로고를 달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초코밀크'는 3단이기 때문에 본문의 폭이 너무 좁았다. 그래서 바꾼 스킨이 모노데이(monoday_sarang)이다. 2단이며 왼쪽의 메뉴를 상당히 큰 아이콘을 사용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폭이 좁기 때문에 본문의 폭은 그리 넓지 않았다. 또 당시 올블로그는 추천 단추를 블로그에 달 수 있었기 때문에 '추천 단추'가 달려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 오래 사용한 스킨
이외에 1984인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을 보고 잠시 잠깐 스킨을 바꾼적이 있다. 그러나 이런 스킨 중 긴 시간동안 사용한 스킨은 많지 않았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간단함을 좋아하는 성격과 맞지 않기 때문인 것 같다.
보통 이 당시 스킨은 몇달에 한번씩 바꿨다. 조금 사용하다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스킨이 마음에 들면 따라서 바꾸었기 때문이다. 이 스킨은 'Simple_BKO'라는 스킨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나름대로 단순한 디자인을 사용했다. 이 스킨은 근 1년 가까이 사용했던 것 같다. 물론 본문 위의 로고는 지우고 사용했다.
'심플BKO'(Simple_BKO)에 이어 사용한 스킨은 '포토월'(fotowall by nCloud / Modified by HLDEC)이다. nCloud님이 만든 스킨을 다시 HLDEC님이 바꾼 스킨이다. 이 스킨은 작년 해상도에 따라 변하는 스킨
mepay님 블로그를 방문했다가 알게된 스킨이다. 워낙 깔끔해서 티스토리용을 텍스트큐브용으로 바꿨다. 해상도에 따라 3단에서 2단으로 바뀌는 스킨이다. 그러나 여백의 미가 넘치는 스킨
민노씨 블로그를 방문했다가 여백의 미가 넘치는 이 스킨으 보고 바로 갈아탔다. 현재는 1단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디자인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화이트보드로 스킨을 바꾼 뒤님이 "클론의 습격이 이어질 것"이라는 이야기했다. 과연 예상대로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 스킨을 사용한다. 보통 기본값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방문하면 헛갈릴 때가 많다. 물론 기본적인 디자인 외에 다른 부분이 있지만 헛갈리는 것은 사실이다. 또 기본적으로 1단에 익숙하기 때문에 1단 화이트 보드
화이트보드 2단을 1단으로 바꿨다. 이렇게 되면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블로그 위쪽에 수평 분류 카테고리 플러그인를 이용해서 분류를 추가하고 오른쪽에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막대를 두었다.
원래 여백의 미를 살린 스킨이지만 여백 보다는 공간 활용에 더 중점을 두기 때문에 '1단 화이트보드'의 메뉴 윗부분에 있던 홈, 태그, 로케이션을 제거한 스킨이다. 이렇게 했기 때문에 이전에 보여준 넓고 시원한 느낌은 많이 사라지고 조금 꽉찬 느낌을 준다. 여기에
현재는 생각 중인 스킨은 화이트보드의 스타일 시트 구조와 포토월(fotowall)의 간결함이 결합된 스킨이다. 포토월(fotowall)로 다시 갈까하는 생각을 했지만 아무래도 화이트보드의 구조적인 CSS를 포기하는 것보다는 이 구조적 CSS에 포토월 스킨을 입히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관련 글타래- 몰스킨 룰드 노트북이 뭘까요? 몰스킨이라는 이름은 눈에 설다. 그런데 MOLESKINE라는 이름과 ... 새창
- 블로그 스킨을 1단으로 바꿔야 하는 이유! 1단은 글 내용만 보여주줍니다. 반면에 2단, 3단은 글 왼... 새창
- 스킨을 1단으로 바꿨습니다. 제가 whiteBoard로 스킨을 바꾼 뒤 'bluenlive'님이 한 이야기입니... 새창
- 스킨을 whiteBoard로 바꿨습니다 민노씨 블로그를 방문했다가 우연히 whiteBoard라는 스킨을 ... 새창
- 텍스트큐브용 Moving Box 1단 공개 얼마 전 님이 진행하고 있는 도토리속 참나무 프로젝트를 ... 새창
- 1996년 3월 1일에 올린 글이기 때문에 쓴지 벌써 13년이 넘는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