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벌식 390과 세벌식 최종, 어느 것이 좋을까?
세벌식 390 vs 최종
세벌식 자판은 우리나라 처음으로 등장한 자판이다. 세벌식 타자기는 기계식 타자기에서 한글과 영어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타자기이기도 한다. 세벌식 자판도 여러 판본이 있지만 현재 사용되는 것은 390과 최종이다. 세벌식 390은 세벌식 자판에 영어 쿼티 자판의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바꾼 자판이다. 반면에 세벌식 최종은 공병우 박사님이 개발한 원형에 가장 가까운 자판으로 리듬감이 뛰어나며 390에 비해 연타가 적다. 따라서 어떤 자판을 사용하든 큰 문제는 없다. 또 두개의 자판은 자판 배치가 상당히 비슷하다. 즉, 390 사용자도 최종을 사용하는데 큰 문제가 없고 최종 사용자도 390을 사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
목차
- 세벌식과 날개셋
- 세벌식 최종의 장점
- 더 뛰어난 리듬감
- 줄어든 연타
- 처음 배운 세벌식
- 공병우 박사의 마지막 자판
- 남은 이야기
- 각주
컴퓨터가 등장하기 전까지 상당히 여러 디자인으로 개발, 판매된 세벌식 타자기다. 정부에서 4벌식을 표준으로 밀다 5공 정부시절 두벌식 자판을 표준으로 한 뒤 지금에 이르고 있다. [출처:
세벌식 최종의 장점
계속 세벌식 390을 사용하다가 최종으로 바꾼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더 뛰어난 리듬감
- 세벌식 390보다 리듬감이 살아난다. 원래 세벌식은 영어 자판과 특수문자가 전혀 호환되지 않았다. 이것을 호환되게 바꾼 것이 390[5]이다. 그러나 이렇게 글쇠를 배치하다 보니 세벌식 최종에 비해 일부 문자를 입력할 때 이런 리듬감이 떨어진다.
- 줄어든 연타
- 세벌식의 연타는 두벌식에 비해 현저히 적다. 이렇게 연타가 적은 이유는 받침[6] 대부분을 한타에 칠수 있기 때문이다. 쉬운 이야기도 두벌식으로 '없다'를 친다고 하면 'ㅂㅅㄷ'의 3연타가 발생한다. 반면에 세벌식은 'ㅄㄷ'로 2연타에 머문다. 그러나 390은 일부 받침에서 타자의 리듬감과 속도를 떨어트리는 3연타(예: 옮기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물론 390도 이런 연타가 많지는 않다.
- 처음 배운 세벌식
- 내가 처음 배운 세벌식은 389였다. 1990년 한글 문화원에서 세벌식 스티커를 받아왔지만 당시에는 세벌식 390이 만들어지기 전이었다. 또 세벌식 390 오토마타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없었기 때문에 한 2년 정도 세벌식 389를 사용했다. 당시 세벌식을 배우면서 가장 혼란 스러웠던 점이 영어 특수문자와 세벌식 특수문자의 배치였다. 특히 프로그램을 짜면서 한글을 사용하는 때는 더욱 심했다. 그러다 이 특수문자가 똑 같은 세벌식 390이 나왔기 때문에 바로 바꿨던 기억이 있다. 즉, 세벌식 최종은 내가 처음 배운 세벌식 389와 비슷했다.
- 공병우 박사의 마지막 자판
- 이 부분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한가지는 "평생 한글 기계화 연구를 해오신 공병우 박사에 대한 존경"이다. 또 다른 부분은 평생 연구한 분의 결과물이 더 낫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 때문이다.
남은 이야기
우리사회는 선택의 문제를 선악의 문제로 끌고 들어가는 사람들이 많다. 이전에 쓴 댓글 문제도 그렇고 RSS 문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세벌식 390은 세벌식 389 사용자가 빠르게 전환한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영어와 특수문자 배치가 일치하고 숫자를 입력하는데 상당히 편리[7]하다. 반면에 최종은 리듬감이 더 살아나고 연타가 적다. 즉, 서로 일장일단이 있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어느 한쪽이 '좋다, 나쁘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성질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또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세벌식 390과 세벌식 최종을 지원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자 층도 엇비슷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나는 이 부분 역시 '좋다, 나쁘다'의 선악의 관점이 아니라 '선택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즉 최종이 좋은 사람은 최종을 사용하고 390이 좋은 사람은 390을 사용하면 된다. 아울러 세벌식 390 사용자는 굳이 최종으로 바꿀 필요는 없다고 본다.
관련 글타래- 두벌식/세벌식 쉽게 공생하기 II 날개셋 한글 입력기를 안지는 상당히 오래됐다. 두/세벌식 쉽게... 새창
- 두벌식/세벌식 쉽게 공생하기 "세벌식 사용자의 애환"이라는 글에서 설명했지만 세벌식 사용자는... 새창
- 세벌식 사용자에게 유용한 사이트, 프로그램, 글 모음 대학원에 재학할 때 일이니 꽤 오래 전의 일이다. ... 새창
- 민족의 자긍심을 살린 세벌식 타자기 워드프로세서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다. 아래아 한글... 새창
- 영문 윈도우에서 한글 입력기 없이 한글을 입력할 수 ... 보통 영문 윈도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새창
- 한글 문화원 박흥호 연구원의 주도하에 판올림한 세벌식 자판이다. 세벌식 390은 영어 자판(쿼티)의 모든 기호를 입력할 수 있지만 일부 받침을 두글쇠로 입력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숫자 입력 방식은 390이 더 편한 것 같다. ↩
- 정확하지는 않다. 하여간 프로그램에서 390을 지원할 때부터 바꿨다. ↩
- 두벌식/세벌식 쉽게 공생하기 II에서 설명한 것처럼 홈페이지에서 매뉴얼을 찾았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 그러나 입력기 자체에 아주 자세한 도움말을 포함되어 있었다. ↩
- 도스 시절에는 글꼴이 정말 많았다. 도스 시절에는 조합형이 주였기 때문이다. 조합형에서 글꼴을 만드는 것은 꽤 간단했다. 나중에 따로 글을 올리겠지만 완성형이 아닌 조합형이 표준이 됐다면 한글 글꼴 역시 영어 글꼴 만큼 많아졌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완성도는 모든 글자를 다 따로 설계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
- 세벌식 390 배열에 대하여라는 글을 보면 세벌식 390 판올림을 주도한 박흥호 나모인터랙티브 대표의 글이 나온다. 자세한 개발 배경은 이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
- 세벌식 최종은 모든 받침, 세벌식 390은 대부분의 받침을 한타에 칠 수 있다. ↩
- 참고로 '세벌식 390'이 숫자를 입력할 때 더 편하지만 소수점이나 쉼표를 입력할 때는 쉬프트 글쇠를 놓아야 하기 때문에 이런 점은 다소 불편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