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대통령이 이명박에게 주는 3가지 충고


링컨 의 세가지 충고

  1. 국민의 일부를 끝까지 속일 수는 있다. 국민의 전부를 일시적으로 속일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국민을 끝까지 속일 수는 없다.
  2. 국가는 그 제도와 더불어 그곳에 사는 국민들의 것이다. 국민이 기존의 를 더 이상 원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자신들의 헌법적인 권리를 이용하여 개선하거나 혁명적 권리를 사용하여 를 분할하거나 자체를 전복시킬 수있다[ CEO 출신 정치가 두명

    왼쪽은 , 오른쪽은 이다. 그러나 두 사람의 얼굴은 확연히 차이가 난다. 한쪽이 쥐를 닮은 작은 눈, 매부리코, 수리같은 톡 튀어나온 입술로 쇠찢어지는 소리를 낸다면 다른 한쪽은 누가봐도 인자한 모습이다. "40을 넘은 사람은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 다른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여기서 문국현의 정치력은 논외로 하겠다). [사진출처: 왼쪽 디씨인사이드, 오른쪽 문국현 홈페이지

    오늘 얼굴이 보증 수표라는 글을 쓰다가 우연히 보게된 아브라함 링컨의 취임 연설문. 이 글을 읽는 내내 느낀점 중 하나는 국가와 국민, 민주주의와 의 역할, 그리고 과 정치가의 역할을 이렇게 명확하게 알고 있는 정치가가 과연 우리나라에 있을까하는 의문이었다. 1861년 3월 4일에 한 연설이라고 하니 이미 150년전의 한 정치가가 한 말이다. 그러나 이런 말을 하지는 못해도 이런 말을 이해할 수 있는 정치가라도 우리나라에 있을까?

    150년전 의 한 정치가의 취임연설. 상황도 다르고 시기도 다르지만 요즘 마음에 더 와닿는다. 특히

    국가는 그 제도와 더불어 그곳에 사는 국민들의 것이다. 국민들이 기존의 를 더 이상 원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자신들의 헌법적인 권리를 이용하여 개선하거나 혁명적 권리를 사용하여 를 분할하거나 자체를 전복시킬 수있다.

    이 대목은 무려 80일간 꺼지지 않은 촛불을 봐왔기 때문에 더욱 마음에 와닿는다. 은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뽑힌 이다. 따라서 나는 을 싫어하기는 하지만 그가 국정을 난상으로 만드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 다만 150년전 의 한 위대한 정치가의 충고를 받아들여 국민을 알고 국민과 소통하며, 진정한 으로서 거듭나기를 바랄 뿐이다.

    관련 글타래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