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T 오즈 사용시 주의사항


뱅크온 요금

모바일 고객센터에서는 데이터 검색 요금으로 4'2570원을 청구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고객센터에서는 뱅크온 3214원, ez-i 28688원, 동영상 1'0667원을 청구하고 있다. 인터넷 고객센터의 요금을 모두 더하면 4'2569원으로 모바일 고객센터와 1원 차이가 난다. 모바일 고객센터의 데이터 검색 요금에 뱅크온이 포함되는 것을 보면 뱅크온도 오즈의 적용 받아야 정상인 것 같지만 오즈와 뱅크온은 별개라고 한다.

목차

LG 오즈

이전에 올린 글에서 알 수 있듯이

왼쪽 사진은 모바일 고객센터. 오른쪽 그림은 인터넷 고객센터이다. 모바일 고객센터에서는 데이터 검색 요금으로 4'2570원을 청구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고객센터에서는 뱅크온 3214원, ez-i 28688원, 동영상 1'0667원을 청구하고 있다. 인터넷 고객센터의 요금을 모두 더하면 4'2569원으로 모바일 고객센터와 1원 차이가 난다. 모바일 고객센터의 데이터 검색 요금에 뱅크온이 포함되는 것을 보면 뱅크온도 오즈의 적용 받아야 정상인 것 같지만 오즈와 뱅크온은 별개라고 한다.

휴대폰으로 인터넷 뱅킹을 하기 위해 지난 달 뱅크온 서비스를 신청했다. 처음에 뱅크온 서비스가 뱅크온 칩만 있으면 어떤 은행이든 접속해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생각하고 뱅크온을 신청한 것이었다. 그러나 막상 뱅크온 프로그램(1회 무료)을 내려받고 뱅크온에 접속해 보니 뱅크온으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은행은 뱅크온 칩을 발행한 은행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았다.

결국 다른 은행을 사용할 수 없다면 무용지물이라 뱅크온 칩을 뽑아 버렸다. 즉, 무료로 뱅크온 프로그램은 한번 내려받고 거래할 수 있는 은행을 확인한 정도에 부과된 요금이 3214원이라는 이야기 였다. LGT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확인해 보니 월정액 800원의 뱅크온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으면 이정도의 금액이 나온다고 한다.

문제는 오즈를 홍보하는 측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그렇지 않은 서비스를 알려 주지 않고 있다는데 있는 것 같다. 처음 뱅크온에 가입하면서 은행직원이 정액 데이터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으면 요금이 많이 나온다는 이야기를 했었다. 그러나 나는 오즈에 가입되어 있기 때문에 패킷 요금은 물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

만약 뱅크온 서비스가 금융칩을 발행한 은행만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은행도 됐다면 거래를 대부분 뱅크온으로 했을 가능성도 많다. 다행이 거래할 수 있는 은행이 금융칩을 발행한 은행이기 때문에 더 이상 뱅크온을 사용하지 않아 3214원밖에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거래할 수 있는 은행이 많았다면 어떻게 됐을까?

따라서 설사 오즈 사용자라고 해도 뱅크온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꼭 월 800원의 뱅크온 서비스에 가입한 뒤 사용하기 바란다. 아울러 LGT는 오즈 서비스를 홍보하면서 오즈에 적용을 받지 않는 서비스도 함께 알려 주는 것이 나와 같은 피해자를 줄이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남은 이야기

오늘도 LGT 고객센터에 전화를 했다. 그런데 의외로 상담하는 아가씨가 아주 일을 잘했다. 알아서 대리점에 전화해서 선납하도록 하고 따로 말을 하지 않았는데 그 결과를 알려 주었다. 대리점에 찾아가서 돈을 돌려 받을 생각을 했었지만 상담하는 아가씨가 미리 다 처리해준 덕에 대리점에 갈 필요가 없어졌다. 가장 놀라운 점은 오즈와 뱅코온이 분리된 이유와 분리되었다면 오즈를 홍보할 때 알려 주어야 할 것 아니냐는 물음에 대한 답이었다.

상담원: 예. 시정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예전의 LGT 상담원이었다면 회사의 정책을 주저리 주저리 읊어 댓을 것이 분명한데 상당히 의외였다.

관련 글타래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