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이야기 53 - 전원식당 민들레
장작
곳곳에 장작이 보인다. 아룰러 사진처럼 장작을 피울 수 있는 큰 화덕이 있다. 또 화덕 주변에 통나무 의자에 앉아 이야기 할 수 있다. 이런 장작 화덕이 마당에 두 군데 있고 그 중 한군데에서는 이미 장작을 피우고 있었다. 수레 바퀴 왼쪽에는 일반 음식점과 비슷한 식탁이 놓여 있고 오른쪽에는 작은 방이 준비되어 있다.
충주 이야기
충주 이야기는 인기는 없지만 꽤 공들여 쓰는 글이다. 충주에 산지는 얼마되지 않았지만 산좋고 물좋은 고장이라 다닐 곳도 많고 쓸 이야기도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글은 메타 블로그에서는 별 다른 호응을 얻지 못하는 글이다.
주차장에서 조금 올라가다 보면 전원 민들레라는 간판과 작은 대나무로 둘러쌓인 계단이 나온다. 날이 조금 저문 상태고 곳곳에 촛불을 켜두었기 때문에 멀리서 불빛이 보인다. 그러나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바로 장작타는 냄새였다.
마당에는 이런 식탁이 서너개 있다. 산속이고 또 충주호에서 그리 멀지 않기 때문에 여름에 여기서 술한잔하면 아주 시원할 것 같았다.
곳곳에 장작이 보인다. 아룰러 사진처럼 장작을 피울 수 있는 큰 화덕이 있다. 또 화덕 주변에 통나무 의자에 앉아 이야기 할 수 있다. 이런 장작 화덕이 마당에 두 군데 있고 그 중 한군데에서는 이미 장작을 피우고 있었다. 수레 바퀴 왼쪽에는 일반 음식점과 비슷한 식탁이 놓여 있고 오른쪽에는 작은 방이 준비되어 있다.
평일이고 상당히 깊은 산속에 있지만 꽤 많은 사람들이 와있었다. 마당의 식탁에 앉아 차를 마시는 사람, 작장불 주변에 앉아 수다를 떠는 아가씨들. 그리고 식당에서 밥을 먹고 있는 사람.
우리 내외도 마당의 식탁에 일단 자리를 했다. 그리고 보니 날은 점점 어두워져 갔고 일교차가 심한 충주에서 밤바람을 쐬면 아이들이 감기에 걸릴 것 같아 밥은 방에서 먹기로 했다. 그리고 주방 왼쪽으로 길게 늘어선 방에 가봤다. 내가 어렸을 때 살던 초가집과 비슷했다. 차이가 있다면 툇마루에도 문이 있다는 정도였다. 가구는 세련됨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어렸을 적 고향에서 많이 보던 그런 물건들이 많았다.
난방이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겨울 난방을 위해 툇마루에 문이 있다는 것을 빼면 예전에 살던 초가집과 비슷했다. 툇마루에 문을 달았기 때문에 툇마루라는 인상보다는 복도 라는 인상을 더 준다. 그리고 한쪽 벽에는 꽤 오래된 듯한 문갑이 놓여 있었다. 방도 시골의 진흙집처럼 꾸며놓았다.
음식을 시키기 위해 메뉴판을 받아 왔다. 그런데 음식값이 상당히 비쌌다. 식사 중 가장 싼 돈까스가 9000원이었다. 술중에 가장 싼 동동주(소)는 6000원. 차는 대부분 5000원이었고 술안 주는 도토리묵이 1'1000원이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술이었다. 산사춘과 같은 약주, 복분자와 같은 기능주만 있고 서민의 대표술인 소주는 없었다. 주인을 불러 물어봤지만 역시 독한 술은 팔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돼지 김치 전골
무엇을 먹을까 고민하다나 술안주로 먹기 위해 돼지 김치 전골(소), 우영이 밥을 먹이기 위해 돈까스, 그리로 김치 전골에 어울리지는 않지만 동동주를 시켰다. 그리고 잠시 뒤 돈까스가 나왔고 김치 전골이 나왔다. 그런데 김치 전골의 양이 너무 많았다. 분명히 작은 것을 시킨 것 같은데 나온 것은 중자 전골 냄비 하나 가득 담겨 있었다.
돼지 김치 전골이라고 하지만 돼지 고기는 많지 않았다. 대신에 싱싱한 버섯과 두부, 그리고 정말 많은 신김치가 있었다(글을 쓰는 지금도 침이 넘어간다). 처음 여기에 오면서 우엉맘이 분위기는 괜찮은데 음식맛은 별로라고 했다. 그래서 음식맛에 대해서는 큰 기대를 하지 않고 방문했다. 다른 모든 음식을 먹어본 것이 아니라 음식맛에 대해 평할 수는 없지만 김치 전골은 꽤 맛있었다.
또 양이 아주 많았다. 작은 것을 시키면 기본적으로 공기밥 두개가 나오는 것인지 아니면 어른이 두명이라 공기밥이 두개가 나온 것인지 모르겠지만 1'5000원짜리 김치 전골에 공기밥 두개가 함께 나왔다. 양이 워낙 많아서 동동주까지 먹기는 힘들 것 같아 동동주는 일단 취소했다.
그리고 먹다 보니 신김치의 새큼한 맛과 마늘과 고추가 어우러진 매운 맛 때문에 상당히 맛있게 느껴졌다. 또 딱 소주안주라는 생각이 들었다. 1'5000원짜리가 이정도로 나온다면 어른 네명이서 밥을 먹고 술안주로 먹어도 될 듯했다. 특히 냄비 가득 나오기 때문에 조금 끓인 뒤 짜지면 다시 물을 붓고 끓이면서 먹었다. 결국 밥 한공기로는 모자라 다시 밥 한공기를 추가로 먹었다.
먹을 때는 맵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그러나 마늘이 많이 들어가서인지 계속 땀이 났다. 또 먹어도 먹어도 끊이 없었다. 물 보다는 두부, 버섯, 김치의 양이 워낙 많기 때문이다. 또 김치가 상당히 시다. 따라서 나처럼 신 김치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소주 안주로 정말 좋았다. 아쉬운 것은 소주를 팔지 않는다는 점.
또 아르고폰
밥을 먹고 마당의 식탁에 앉아 우영이와 아르고폰을 가지고 놀았다. 상당히 깊은 산속이라 혹 터지지 않을까 싶었지만 아무런 문제없이 인터넷이 가능했다. 그리고 이 터치웹폰의 또 하나의 쓰임새를 발견했다. 바로 우영이 숫자 연습용으로 딱 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폰에는 뇌온터치라는 게임이 내장되어 있다. 좌뇌와 우뇌를 발달 시키는 게임이다. 아직은 좌뇌 게임밖에는 해보지 않았지만 좌뇌 게임은 근본적으로 사칙연산을 연습하는 게임이다. 그런데 스타일러스 펜으로 숫자를 직접 쓰기 때문에 아이들은 이렇게 게임을 하는 것이 재미있는 모양이었다. 그덕에 요즘은 산수공부는 죽어라고 하지 않던 우영이는 승부욕 때문에 열심히 게임을 했고 저녁때 자기 전에는 우엉맘이 불러주는 사칙연산을 암산하면서 잠이 들었다.
깊은 산속에서 시원한 바람과 향긋한 통나무 향기 속에 밥 한끼, 술한잔 기울이는 것도 상당히 운치가 있었다. 산속의 밤은 어둠이 빨리 찾아 온다. 민들레에 도착한 시간이 7시 정도였지만 어느 덧 어둠이 온몸을 감싸고 있었다. 그리고 도시에서는 맛볼 수 없는 풍만함과 여유가 찾아 왔다.
관련 글타래- 충주 이야기 51 - 통나무 묵집 묵무침과 양념간장묵이 있다. 그러나 묵무침보다는 양념간장묵... 새창
- 충주 이야기 9 - 청풍 문화재 단지 주변의 산세와는 어울리지 않는 거대한 바위산이 보인다. 마... 새창
- 충주 이야기 6 - 충주호 나들이 충주를 방문하는 사람에게 가장 먼저 소개하는 장소는 집마다 ... 새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