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혐오의 대상?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의 부자들에대한 혐오감때문에 한국의 부자들이 한국을 떠나고 있다"는 보도를 본적이 있다. 사실여부를 떠나 이러한 보도가 사실이라면 우리 사회는 커다란 구조적 모순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자본 주의 사회에서 그 자본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해서 혐오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남다른 사고와 노력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부자는 혐오의 대상이 아니라 존경의 대상이어야 한다. 정당하게 노력하고 그 노력의 댓가로 부를 축척한 부자들이 존경 받는 사회야 말로 자본주의를 추구하는 우리 사회의 지향점이라고 생각한다.

부자, 혐오의 대상?

서울을 잠깐 들렸다가 버스를 기다리면서 가판대의 놓여있는 주간지 제목을 봤다.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의 부자들에대한 혐오감때문에 한국의 부자들이 한국을 떠나고 있다는 보도를 본적이 있다. 사실여부를 떠나 이러한 보도가 사실이라면 우리 사회는 커다란 구조적 모순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자본 주의 사회에서 그 자본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해서 혐오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남다른 사고와 노력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부자는 혐오의 대상이 아니라 존경대상이어야 한다. 정당하게 노력하고 그 노력의 댓가로 부를 축척한 부자들이 존경 받는 사회야 말로 자본주의를 추구하는 우리 사회의 지향점이라고 생각한다.

할아버지는 한국인, 아들, 손주는 미국 시민권자라고 해도 이런 사실을 비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태어나는 것은 선택할 수 없지만 국적은 선택할 수 있기때문이다. 이러한 선택의 자유조차 보장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민주 사회라고 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 부자는 존경받지 못하며, 이중 국적 역시 비난의 대상이다.

왜?

전부는 아니겠지만 이 나라 부자들이 부를 축적하는 한 방법이다. 이렇게 축적된 부는

과 같은 방법을 통해 대물림되며

으로 부의 궁전을 지켜낸다.

이런 사람들이 두개의 국적을 가지고 있다. 이 것은 어떤 의미일까?

우리 나라가 현재 휴전중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면 이러한 부자들의 이중 국적의 의미는 간단 명료해진다.

만약 전쟁이 발생하면 외국으로 도피해서 호의 호식하다가, 가지지 못한자가 피로서 나라를 지키내면, 귀국 부의 대물림이라는 그들만의 리그를 시작하려는 것이다.

나도 부자를 존경하고 싶고, 이중 국적자의 선택을 존중하고 싶다. 아니 그런 사회였으면 좋겠다. 우리 나라에서 존경받은 유일한 부자, 유일한 박사를 기리며[1].

개처럼 벌어 개처럼 쓴다!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쓴다는 속담이 있다.
아니다.
개처럼 벌면, 개처럼 쓸 수 밖에 없다.

관련 글타래


  1. 3월 24일은 유일한 박사님의 기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