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ism RE DEL
(2007/05/14 13:17)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
저도 사이트와 블로그 두 개를 운영할 계획이고, 두 군데에서 애드센스를 운영해 볼까 생각 중입니다만, 아직은 러프한 기획단계라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도움이 많이 될 글일 것 같습니다.
참고하겠습니다. ㅋ ^ -^)b
좋은 하루 보내십시오~
도아 DEL
(2007/05/14 14:02)
예. 사이트를 만들고 방문자 수가 어느 정도 된 뒤에 다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수익이 얼마되지 않아 포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학주니 RE DEL
(2007/05/14 13:39)
본문에 애드센스를 설치하는 것이 수익이 꽤 높기는 하는가봅니다.
저는 가독성 문제때문에 그렇게는 안했는데 말이죠.
도아 DEL
(2007/05/14 14:04)
사실 본문에 삽입해도 가독성과는 큰 상관이 없습니다. 한 예로 광고 대신 본문을 설명하는 그림을 넣었다면 어떨까요? 광고가 가독성을 해친다면 그림 역시 가독성을 해쳐야 합니다.

그러나 그림을 두나 광고를 두나 가독성은 같습니다. 다만 가독성을 해친다고 생각하는 것은 본문에 삽입된 것이 광고라는 것을 아는 사람들의 생각입니다.

문제는 이런 사람들은 전혀 클릭하지 않으며, 광고인지 그림인지 모르는 사람들은 가독성을 해친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이런 사람들이 사실 광고를 클릭하는 사람들입니다.

AcePilot RE DEL
(2007/05/14 14:26)
저도 http://acepilot.info 에서는 링크단위의 수익이 적어 달지 않고 있는데

http://golfgti.tistory.com 에서는 메뉴영역을 없애고 그 위치에 링크단위를 달았더니
해당 블로그의 수익중 1/3이 링크단위에서 나오더군요..

대체적으로 수입이 적은 블로그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요..^^ㅋ
도아 DEL
(2007/05/14 15:17)
그런가요. 저도 시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토이 RE DEL
(2007/05/14 14:27)
한국 애드센스팀의 노력이 대단하네요. 게시자 입장에서는 아주 감동적인:D
덧/ 도아님 링크단위 때문에 공지가 약간 잘려 보여요.
도아 DEL
(2007/05/14 15:17)
FF에서는 조금 문제가 있더군요. 공지를 아예 제거 했습니다.

ruri RE DEL
(2007/05/14 15:10)
본문 삽입 애드센스의 위치가 오른쪽일 때 수입이 더 많다는 것은 조금 의외네요....!
왼쪽일 경우 더 클릭율이 높을 듯 합니다만........
한달을 15일씩 나누어 왼쪽과 오른쪽을 나누어서 클릭율을 비교해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도아 DEL
(2007/05/14 15:23)
[quote]본문 삽입 애드센스의 위치가 오른쪽일 때 수입이 더 많다는 것은 조금 의외네요....![/quote]
누가 그러던가요? 저는 오른쪽이 많다는 얘기를 쓴적은 없습니다.

[quote]왼쪽일 경우 더 클릭율이 높을 듯 합니다만........[/quote]
CTR이 중요한 요소이지만 중요한 것은 CTR 보다는 EPC입니다. 왼쪽이 오른쪽 보다 CTR이 높지만 중간 직사각형 박스는 오래동안 달아 보지 않아서 그대로 따른 것입니다.

[quote]한달을 15일씩 나누어 왼쪽과 오른쪽을 나누어서 클릭율을 비교해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quote]
일단은 구글 AdSense의 최적화에 따랐습니다만 이렇게 바꾸기 전의 수익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혜민아빠 RE DEL
(2007/05/14 15:38)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4 15:58)
혜민아빠님이 운영하는 블로그나 사이트의 방문자 수를 보면 저보다 훨씬 잘 나와야 합니다. 블로그의 경우 방문자 수가 저보다 훨씬 많으셨고 사이트(ntfaq.co.kr)은 qaos.com과 비슷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ntfaq.co.kr은 여러 저자가 공동으로 집필할 수는 있지만 제가 보기에는 기존의 체제를 유지한 것이 지금보다는 나았을 것 같습니다. 두번째로는 제 블로그 스킨은 최대한 광고 수익이 많이 나올 수 있도록 고른 것입니다.

본문에 광고를 배치하고 본문의 폭이 좁으면 글씨를 읽기 힘듭니다. 따라서 광고 수익이 높은 광고를 달려고 하면 폭이 넓은 스킨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다단을 사용하고 본문의 폭이 넓어지면 전체 사이트의 폭이 1024를 초과하기 때문에 일부러 1단 스킨을 사용한 것입니다.

또 광고 주변의 링크를 모두 없애는 것이 좋습니다. AcePilot님의 얘기처럼 주변에 링크가 없으면 링크 광고의 수익도 올라갑니다. 그외에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지만 이정도만 고려해도 수익은 상당히 증가합니다.

광고를 분문에 배치하는 경우 꼭 글을 올리고 광고과 본문과 잘 어울리는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현재 배치는 최적화팀이 알려준 배치와 색상이지만 제 경험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한 달정도 최적화 팀의 최적화 방법을 사용해보고 이전에 제가 시도한 방법으로 복귀할 생각입니다.

마루 RE DEL
(2007/05/14 15:47)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4 17:28)
예. 감사합니다.

아울러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라며, 이왕 도와 주시는 김에 [url=http://offree.net/entry/AdSense-달고-있는-분들께]AdSense 달고 있는 분들께[/url]에서 진행하고 있는 통계 조사에도 응해 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혜민아빠 RE DEL
(2007/05/14 16:58)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4 17:34)
예. 제 경험으로 광고 배치만 바꾸어도 확실한 효과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가능하시다면 [url=http://offree.net/entry/AdSense-달고-있는-분들께]AdSense 달고 있는 분들께[/url]에 비밀 댓글로 태터툴즈 기준 방문자 수(로봇 플러그인 사용여부)와 수익을 공개해 주셨으면 합니다.

스킨에 따른 수익의 변화와 최적화에 관한 글을 쓰기위한 것입니다.

낚시광준초리 RE DEL
(2007/05/14 18:06)
도아님 지금 제가 FF에서 보고 있는데 본문 레이어가 깨져 있습니다. 이유를 모르겠네요. 캠쳐는 해놓았으니 궁금하시면 말씀해주세욧 ^^*
도아 DEL
(2007/05/14 18:07)
조금전 광고 배치를 바꾸면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현상 같습니다. 지금도 깨져 보이는지요?
낚시광준초리 DEL
(2007/05/14 19:56)
네 지금도 깨져 보입니다..
도아 DEL
(2007/05/14 19:57)
그러면 화면을 보여 주시기 바랍니다.

niss RE DEL
(2007/05/14 18:44)
저도 애드센스의 광고 위치와 색상에 대해 연구 중입니다.
비록 달은지는 얼마안됬어도 2번의 위치변경을 해보니 확실이 수익의 차이가 나더군요^^
도아 DEL
(2007/05/14 19:41)
광고의 종류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배치와 색상 등에 따라서도 수익이 변합니다. 따라서 채널 기능을 이용해서 최적값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커피와 하늘 RE DEL
(2007/05/14 18:47)
FF에서 깨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보입니다.
다만 adblock 플러그인이 작동된 상태에서는 깨져보이네요. 그래서 낚시광준초리님이 깨진다고 하신게 아닐까요?
도아 DEL
(2007/05/14 19:42)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브라우저가 FF가 아니라 바로 확인은 힘듭니다.

낚시광준초리 RE DEL
(2007/05/14 19:58)
커피와하늘님 말씀이 맞습니다. 현재 전 AdBlock 플러그인을 사용 하고 있습니다. 가금 제꺼도 체크할때 두가지 를 보고 수정하는데.. 이경울 <BR> 태그 같은것으로 처리가 되지 않아 다음 라인으로 넘어가지 않는 부분이 생기는것 같더군요 ^^* 추측하건데 그 현상일듯 합니다.

낚시광준초리 RE DEL
(2007/05/14 20:00)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4 20:09)
심각하군요. 확인한 뒤 처리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hoogle RE DEL
(2007/05/14 20:37)
저도 도아님과 같은 메일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도아님의 가독성에 관한 의견도 완전 동의합니다 :D
사실 아는 사람은 절대로 클릭하지 않죠... 고의성적인 것을 제외하고.

도아님의 제안대로 광고단위를 줄이니 수익이 올라가는 것을 느꼈습니다.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도아 DEL
(2007/05/15 06:49)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수익을 결정하는 요소는 많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것이 없고 한국 애센측에서 최적화라고 보내준 것 역시 제가 보기에는 최적화와는 조금 거리가 있는 것 같더군요.

한국 애센측 최적화를 적용한 첫날 CTR은 3분의 1로 떨어지고 수입은 5분 1로 격감했습니다. 한 일주일 더 보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생각입니다.

래이 RE DEL
(2007/05/14 23:46)
한달후 수익 비교가 기대가 되네요.^^

근데 레인보우 광고가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네요.

그냥 광고 속 폰트 색깔을 화려하게 꾸미는 것을 뜻하는건가요?^^;
도아 DEL
(2007/05/15 06:51)
레인 보우는 리더 보드를 제가 착각한 것입니다. 옆으로 가장 긴 광고인 리더 보드를 착각해서 레인 보우로 적었습니다.

그리고 어제, 오늘 수익은 격감했습니다. 권고안에 따랐는데...

래이 RE DEL
(2007/05/15 23:31)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6 10:49)
최소한 배는 올라 갑니다. 제가 최적화에 관심을 가진 것도 래이님 홈페이지처럼 홈페이지 배치때문에 배너를 고집하다가 혹시나 싶어서 리더 보드로 바꿨는데 하루 많아야 $20이던 수익이 갑자기 $50로 널뛰더니 $30~$50이 유지가 됐습니다.

그래서 방문자수는 같아도 최적화에 의해 수익이 얼마든지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구글 권고에 따르니 CRT은 5분의 1, 수익은 7~8분의 1로 추락하더군요. 며칠이긴 하지만 아닌 것 같았습니다. 아울러 제가 알고 있는 최적화하고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유마 RE DEL
(2007/05/16 14:42)
얼마전부터 유심히 살펴봤는데, 절대주소도 최적화 테스트 하시는가 봅니다.
계속 수동으로 영어로 수정하시는 걸 보면... 효과가 괜찮은지 나중에 결과 부탁드려도 될까요?~

혜민아빠 RE DEL
(2007/05/25 07:46)
얼마전 질의 응답 후 약간의 수정으로 좋은 결과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잘 적용해 봤습니다.

도아님 보니 문제가 있다는 말도 있던데 어떻게 되시는지요.

그리고 그것과 별개일수도 있지만 "[의견 수렴] 구글 전문 블로그 분들과 '구글과 관련된 주제' 블로그 포럼 준비중입니다. (http://sshong.com/2512132)"
해서 6월달에 진행 예정입니다.

지방이시라 참석이 힘드시겠지만 좋은 조언 부탁 드리겠습니다. 혹 가능 하시다면 참석 부탁 드리겠습니다.
도아 DEL
(2007/05/25 15:51)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사실 배치가 수익에 가장 큰 변화를 주더군요.

[quote]도아님 보니 문제가 있다는 말도 있던데 어떻게 되시는지요.[/quote]
이 말은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quote]지방이시라 참석이 힘드시겠지만 좋은 조언 부탁 드리겠습니다. 혹 가능 하시다면 참석 부탁 드리겠습니다.[/quote]
6월에 일정이 빡빡해서 참석은 힘들 것 같습니다. 아울러 6월 발표 자료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힘을 보테드리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발표 자료를 만들면 발표 자료로 조언을 대신할까 합니다.

혜민아빠 RE DEL
(2007/05/25 21:24)
얼마전 글을 보니 최적화가 맞지 않다는 글을 본것 같아서요.

현재 6월 8일 정도에 준비 중입니다. 현재 블로그 포럼은 재미있는 사람들과 즐거운 저녁 시간이 되면 만족합니다.
혹 도움이 될만한 자료가 있다면 소개시켜 주시면 당일 발표해 보겠습니다.

통계라든가 사례분석 말입니다.

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도아 DEL
(2007/05/27 07:42)
[quote]얼마전 글을 보니 최적화가 맞지 않다는 글을 본것 같아서요.[/quote]
최적화가 맞지 않는다기 보다는 구글에서 보내준 최적화에 오류가 있다는 글을 보신 것 같습니다.

통계나 사례 분석은 다음을 발표를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만 6월 8일 이전에 준비될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원래 일정이 6월 중순이었는데 6월 후반으로 바뀌었더군요.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