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디자인 RE DEL
(2007/05/10 19:17)
split라는 명령을 파이프로 연결한 거군요.

가끔, 도아님이 모르는 것도 있을까?라는 엉뚱한 상상을 해봅니다.
도아 DEL
(2007/05/11 09:37)
모르는 것도 많습니다. 저보다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는 많이 아는 것 같지만 저보다 많이 아는 사람이 보면 어설픈 지식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지식은 상대적입니다.

niss RE DEL
(2007/05/10 20:17)
리눅스도 윈도우처럼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했음 좋겠내요.^^
도아 DEL
(2007/05/11 09:37)
예. 요즘은 데스크탑에서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가장 큰 장애는 금융권과 정부이지만.

나비 RE DEL
(2007/05/10 20:39)
아하..이런 방법이 있군요? 오호~
도아 DEL
(2007/05/11 09:38)
잉. 나비님도 리눅스를 사용하시나요?
나비 DEL
(2007/05/11 13:14)
네..회사에는 윈도우 맥 리눅스 다양하게 -ㅅ-ㅋ
도아 DEL
(2007/05/12 08:40)
그렇군요. 그러고 보면 의외로 리눅스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군요.

좋은진호 RE DEL
(2007/05/11 00:11)
split으로 파일을 분할할 수 있지만, 실제로 사용은 하지 않는 편.
용량문제를 빼더라도, 분할 후 파일 한개가 깨졌을 때 합칠 때 문제도 있으니깐요.
도아 DEL
(2007/05/11 09:40)
파일이 깨지는 문제는 분할을 하든 하지 안든 똑 같습니다. 오히려 내려받는 경우라면 깨진 파일만 내려받으면 되기 때문에 네트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할이 더 낫습니다. 물론 .SFV 파일을 함께 제공해야 하지만요.

그리고 위의 팁은 파일이 큰데 이 큰 파일을 옮길 방법이 없을 때 사용하기위한 팁입니다.

체리필터 RE DEL
(2007/05/11 12:03)
오호 split이 binary에도 적용되나 보네요 ^^
text파일만 split 되는 줄 알았습니다. ^^
도아 DEL
(2007/05/12 08:39)
-b 가 바이너리 옵션입니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