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09 14:38)감사합니다. 댓글이 더 달리면 참조하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가 괜찮은 정보나 재밌는 블로그도 아니고 adsense도 그냥 달아놓고 관리할 줄도 몰라서 전 작년에 시작했는데도 총수입이 50달러입니다..ㅋㅋ
도아 DEL
(2007/05/09 14:38)그래도 비밀글로 월 방문자 수(태터툴즈 기준)와 월 수익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테터툴즈의 방문자수는 순 엉터리 입니다. 그 숫자의 대략 20% ~ 30%가 실제 방문수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다음 웹인사이드나 구글 Analytics를 통해 집계해 보세요.
도아 DEL
(2007/05/09 14:49)태터툴즈의 통계가 허수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2~30%는 아닙니다. 구글 아날리틱스, 다음 인사이드, 트레이스 워치 모두 태터 통계의 절반 정도가 잡힙니다. 즉, 50%가 허수인 셈입니다. 그러나 이 부분은 통계에서 사용된 기준(예: 동일 IP의 처리)이 달라 발생한 문제이지 엉터리라서 발생한 부분은 아닙니다.
또 이런 사실을 몰라서 태터툴즈 방문자 수를 기준으로 삼은 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분석은 기준(태터툴즈의 방문자 수)만 같으면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통계 분석이 아닙니다. [b]방문자 수, 스킨에 따른 수익의 비교[/b]입니다. 통계 분석은 이미 여러 가지 도구를 이용해서 하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만 검색해도 상당히 많은 통계 도구를 소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 블로그 계정과 도메인들이 1년에 5,6만원 들어가죠. 그냥 그정도 버는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도아 DEL
(2007/05/09 14:42)그러셔도 태터툴즈의 지난달 방문자 수와 수익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기간마다 eCPM이 들쭉날쭉해서 그때마다 다르지만 지난 3개월간 평균 1400달라 정도였습니다.
가장 많이 번 달은 2300달라 정도이며 가장 적게 번달은 550달라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하루에 가장 많은 수익을 벌어들인 날은 태터툴즈 기준 하루 35000명 방문에 300달라 정도의 수익이었습니다.
이것도 스마트 프라이징으로 단가가 상당히 하락한 때의 경우이며 eCPM이 그다지 높지 않았을 때의 기록이므로 애드센스 시작단계에서 부터 적절한 배치로 들어간다면 아마도 저정도 방문자수라면 대략 500달라 이상을 초과하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저 역시 도아님과 마찬가지로 최적화 스킨을 적용하고 있는 분들의 수익율 및 ctr 이 그다지 높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통계치를 따져봐도 역시 도아님처럼 본문 상단에 애드센스를 적용하였을 때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가장 많이 번 달은 2300달라 정도이며 가장 적게 번달은 550달라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하루에 가장 많은 수익을 벌어들인 날은 태터툴즈 기준 하루 35000명 방문에 300달라 정도의 수익이었습니다.
이것도 스마트 프라이징으로 단가가 상당히 하락한 때의 경우이며 eCPM이 그다지 높지 않았을 때의 기록이므로 애드센스 시작단계에서 부터 적절한 배치로 들어간다면 아마도 저정도 방문자수라면 대략 500달라 이상을 초과하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저 역시 도아님과 마찬가지로 최적화 스킨을 적용하고 있는 분들의 수익율 및 ctr 이 그다지 높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통계치를 따져봐도 역시 도아님처럼 본문 상단에 애드센스를 적용하였을 때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도아 DEL
(2007/05/09 14:44)태터툴즈의 통계는 약간의 허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 통계를 사용하면 하루 4000명이 아니라 하루 1500~2000명 정도인 셈입니다. 물론 이블로그에서 버는 수익이 저정도 이고 QAOS.com이보다 훨씬 많습니다.
저는 블로그와 홈을 분리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는 하나의 블로그를 운영한 결과로 벌어들인 수익이며 하루 방문객수가 4000명 정도일 때 보통 일일 20~30달라 정도를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저는 만든지 오래 되지도 않았고 계속 이리저리 위치를 바꾸고 있어서 평균적은 수치는 확실하지 않습니다만 최근 통계(4월 ~ 5월)로 계산해 보면 2.6원 정도 나오네요.
애드센스 최적화 스킨을 수정해서 쓰고 있습니다.
덧) 방문자는 티스토리 플러그인 통계입니다
애드센스 최적화 스킨을 수정해서 쓰고 있습니다.
덧) 방문자는 티스토리 플러그인 통계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1:21)그냥 방문자 수(태터툴즈, 티스토리 통계)와 수익을 비밀글로 알려 주시면 도 고맙겠습니다. 그래야 기준점이 같아 질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제 방문해 보니 최적화 스킨을 사용하시지만은 광고는 단추 광고를 본문에 삽입하셨더군요. 그래서 최적화 스킨을 사용하면서 수익이 나는 것 같습니다.
다음 웹인사이드 통계로 4월달 방문자수는 총 6864명. 수익은 18.06달러. 환률 950원으로 계산하면 한명당 2.45원이군요.
지금은 허전한 공백이나 메꿀려고 광고를 왼쪽에 더 붙였지만, 4월달에는 글에 마지막줄에만 붙였기 때문에, 이정도면 준수하다고 자평하고 있습니다. 움하하하 -_-;
개인적인 광고 표시 기준이 페이지 로딩될때 처음부터 광고가 보이지 말자입니다. 광고 최적화와는 반대죠. 이 정도만 벌어도 호스팅과 도메인 비용의 2,3배는 나오기 때문에 만족합니다.
지금은 허전한 공백이나 메꿀려고 광고를 왼쪽에 더 붙였지만, 4월달에는 글에 마지막줄에만 붙였기 때문에, 이정도면 준수하다고 자평하고 있습니다. 움하하하 -_-;
개인적인 광고 표시 기준이 페이지 로딩될때 처음부터 광고가 보이지 말자입니다. 광고 최적화와는 반대죠. 이 정도만 벌어도 호스팅과 도메인 비용의 2,3배는 나오기 때문에 만족합니다.
도아 DEL
(2007/05/10 11:22)다음 인사이드의 통계는 태터의 배정도가 잡힙니다. 따라서 태터를 기준으로 하면 1.2원 정도 되는 셈입니다. 태터를 사용하신 다면 태터의 방문자 수를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기준은 태터툴즈로 잡아서요.
그리고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Draco DEL
(2007/05/11 06:26)태터툴즈 카운터는 11509명입니다. 하지만 태터 카운터에는 봇이나 재방문자에 의한 허수가 크게 포함되어 있기 대문에 광고 효율에 대한 근거로는 부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만.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1:23)최적화에 신경을 쓰시면 수익은 확 올라 갑니다. 조금만 더 신경쓰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1:24)노출수 보다는 티스토리의 통계에 나오는 방문자 수를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goohwan DEL
(2007/05/11 16:10)지난달 방문자수는
7549 명이더군요^^*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1:25)방문자 수에 비해 수익이 엄청 나군요. 이상태로 수익이 나고 방문자수가 제 블로그 정도 되면 $1200도 가능하겠군요.
블로그의 광고 배치가 저랑 같은 것을 보니 역시 최적화의 영향인 것 같습니다.
계산 해보니까 도아님과 차이가 좀 있네요.
이건 어떻게 설명해야 하죠?
이건 어떻게 설명해야 하죠?
도아 DEL
(2007/05/10 11:26)나중에 설명 드리겠습니다.
댓글 달려고 수입이랑 찾다가 문득 생각해보니 이번달 초에 스킨을 바꿔버렸는데 지난번 스킨을 저장안해둬서 자료제공을 못해드리겠네요..
따로 열심히 하려고는 하지만 잘 안되는 자동차 블로그인 http://golfgti.tistory.com 의
지난달 수입은 8.64 달러이며 지난달 방문객은 2967 입니다.
따로 열심히 하려고는 하지만 잘 안되는 자동차 블로그인 http://golfgti.tistory.com 의
지난달 수입은 8.64 달러이며 지난달 방문객은 2967 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1:26)방문자 수에 비해 수익이 많은 편이군요. 참조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7년 4월 총
수입: $22.92
방문자: 31665명(태터툴즈), 24096명(구글)
1인당 수익 평균: 0.66~0.87원
참고로 제 스킨은 애드센스에 최적화하지 않았습니다.
수입: $22.92
방문자: 31665명(태터툴즈), 24096명(구글)
1인당 수익 평균: 0.66~0.87원
참고로 제 스킨은 애드센스에 최적화하지 않았습니다.
도아 DEL
(2007/05/10 11:27)감사합니다. 최적화를 하지 않아서 인지 방문자 수에 비해 수익이 적은 것 같습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1:28)저도 예전에 한달에 10개도 못올렸습니다. 그래도 $100는 나오더군요.
감사합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1:29)그냥 태터의 4월 통계(방문자 수)와 수익만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수익과 블로그는 공개하지 않고 글을 쓸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1:30)방문자 수를 보면 $150~$200은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정보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야 도아님이 사용하시는 스킨과 동일한 스킨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큰 도움은 안되겠지만..
티스토리 기준 4월 15,304 히트에 $35.31 이네요.
그 이전은 월평균 1만-2만 정도의 히트에 일평균 0.8-1.0 달러 정도였습니다.
(참고로 저의 경우 정확한 수치를 밝힐 순 없지만, 일 클릭수는 손가락으로 꼽으면.. 손가락이 많이 남습니다. ;;; )
블로그 메타사이트 활동을 중지한 올해초부터 방문자가 줄어도 애드센스의 수입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얼마전 올블로그가 네이버와 연동하면서 네이버 검색을 통한 방문자 유입이 증가되면서 애드센스 수입이 증가한 듯 합니다. 역시 애드센스는.. 검색으로 인한 방문이 많을수록 좋은 듯 합니다. 관련 정보가 필요해서 온 것일테니..
티스토리 기준 4월 15,304 히트에 $35.31 이네요.
그 이전은 월평균 1만-2만 정도의 히트에 일평균 0.8-1.0 달러 정도였습니다.
(참고로 저의 경우 정확한 수치를 밝힐 순 없지만, 일 클릭수는 손가락으로 꼽으면.. 손가락이 많이 남습니다. ;;; )
블로그 메타사이트 활동을 중지한 올해초부터 방문자가 줄어도 애드센스의 수입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얼마전 올블로그가 네이버와 연동하면서 네이버 검색을 통한 방문자 유입이 증가되면서 애드센스 수입이 증가한 듯 합니다. 역시 애드센스는.. 검색으로 인한 방문이 많을수록 좋은 듯 합니다. 관련 정보가 필요해서 온 것일테니..
도아 DEL
(2007/05/10 11:31)Mr.Dust님은 수익이 많이 나지않는 광고를 사용하셔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4:25)수익이 방문자 수에 비해 상당히 높군요.
다만 오늘 방문해 보니 스킨도 바뀌었고 광고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다음 사실을 알고 싶습니다.
1. 최적화 스킨 사용시 어떤 광고를 다셨는지
2. 방문자 숫자가 봇을 제외한 숫자인지
정보 감사합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0 14:26)저도 봇까지 포함한 카운트입니다. 아울러 정보 감사합니다.
제 영화 블로그에는 애센 달고 있는데요.
참고해야겠네요.
: )
참고해야겠네요.
: )
도아 DEL
(2007/05/10 14:27)수익이 가장 나지않는 배너 광고를 다셨더군요.
차라리 리더 보드를 본문 다음에 다시는 것이 훨씬 나을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광고도 보이지 않으므로 ...
아, 애드센스를 달았던 곳은 레이니돌닷컴이 아니라 따로 운영하고 있는 '프리미어리그 인사이드' http://www.epl-inside.net/ 이라는 곳이었습니다. ^^;
후글 님의 최적화 스킨을 사용하면서 광고 형식은 250X250 사이즈의 컨텐츠 광고를 달아놓았고 위치는 본문 오른쪽에 위치시켜 놓았었습니다. 얼마 전 도아 님의 본문 애드센스 배치와 유사한 형태였지요. 그 외의 다른 광고는 달아놓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방문객 수치는 봇까지 포함한 숫자입니다.
참, 도아 님의 글을 보고 스킨을 좀 손보고 광고 형식을 변경해서 달아놨더니 상당한 수익 증가가 이뤄졌네요. 진작에 바꿀걸 그랬습니다. :)
후글 님의 최적화 스킨을 사용하면서 광고 형식은 250X250 사이즈의 컨텐츠 광고를 달아놓았고 위치는 본문 오른쪽에 위치시켜 놓았었습니다. 얼마 전 도아 님의 본문 애드센스 배치와 유사한 형태였지요. 그 외의 다른 광고는 달아놓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방문객 수치는 봇까지 포함한 숫자입니다.
참, 도아 님의 글을 보고 스킨을 좀 손보고 광고 형식을 변경해서 달아놨더니 상당한 수익 증가가 이뤄졌네요. 진작에 바꿀걸 그랬습니다. :)
도아 DEL
(2007/05/10 16:45)어쩐지 최적화 스킨으로는 나올 수 없는 수익을 올리셨더군요. 그리고 '프리미어리그 인사이드'처럼 활용하는 것이 최적화 스킨에서는 수익이 더 잘 나옵니다.
그래서 최적화 스킨으로 보지 않았던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앗! 그렇군요. ^ ^
시간이 될 때 다시 한번 배치해봐야겠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영화블로그에 워낙 글을 안올려서.. 일단은 콘텐츠부터 신경써야겠어요.
물론 것도 땡겨야 하는거지만요.
도아님 글들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
시간이 될 때 다시 한번 배치해봐야겠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영화블로그에 워낙 글을 안올려서.. 일단은 콘텐츠부터 신경써야겠어요.
물론 것도 땡겨야 하는거지만요.
도아님 글들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
도아 DEL
(2007/05/10 16:46)예.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그런데 블로그 두개를 운영하시기에 힘드시지 않나요. 한쪽을 신경 쓰면 다른 한쪽은 신경을 못쓰는.
평균 130달러에 한 달 방문자는 (티스토리 플러그인 기준[봇 제외]) 45,000명 정도입니다.
변수가 존재하지만 최적화 스킨에서 지금의 구성으로 바꾸고 나서 수익은 100% 이상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그 수익의 90%는 본문 광고에서 나오고요.
변수가 존재하지만 최적화 스킨에서 지금의 구성으로 바꾸고 나서 수익은 100% 이상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그 수익의 90%는 본문 광고에서 나오고요.
도아 DEL
(2007/05/10 18:00)예. 지금 구성이 훨 낫습니다. 그래서 다소 의아했습니다. 최적화 스킨으로는 도저히 수익이 날 수 없는 구조인데. 최적화 스킨이라고 해서...
아, 그리고 최적화 스킨을 썼던 두 달 동안 와이드 스크래퍼 광고는 수익이 0에 가까웠습니다.
도아 DEL
(2007/05/10 18:00)저도 최적화 스킨처럼 오른쪽 아래에 배치한 적이 있습니다. 수익 꽝이었습니다.
4월달 총 방문수는 100500 이고(티스토리), 애드센스 수입은 $407 eCPM은 $5 정도 였내요.
이번달에 월초에온 최적화 보고서데로 하니 현재까지의 eCPM가 $13 로 증가했네요.
도아님 블로그에는 자주 방문하는데 댓글을 다는건 이번까지 손가락으로 셀수 있는듯하네요.
(왠지 무식해 보일까봐서 거의 못남겼는데.. 이번에는 통계를 쓰는거니 안심하고..ㅎ)
이번달에 월초에온 최적화 보고서데로 하니 현재까지의 eCPM가 $13 로 증가했네요.
도아님 블로그에는 자주 방문하는데 댓글을 다는건 이번까지 손가락으로 셀수 있는듯하네요.
(왠지 무식해 보일까봐서 거의 못남겼는데.. 이번에는 통계를 쓰는거니 안심하고..ㅎ)
도아 DEL
(2007/05/11 09:41)정보 감사합니다. 방문자 수는 비슷한데 수익은 저보다 많으시군요.
그리고 닉이 눈에 익습니다.
저의 최적화는.... 수익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블로그와의 조화라고 -_- 나름 핑계 대면서..
거의 수익이 나지 않아요. 당연하다면 할 수 있지만.
도아님이 종합해서 최적화 스킨을 배포하실려는 생각이신가요? +_+a
거의 수익이 나지 않아요. 당연하다면 할 수 있지만.
도아님이 종합해서 최적화 스킨을 배포하실려는 생각이신가요? +_+a
도아 DEL
(2007/05/11 09:43)최적화 스킨하고는 관련이 없습니다. 애드센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쓸 생각이며, 이 글의 토대가 유마님이 답하신 글입니다.
따라서 방문자 수(태터 기준)와 수익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유마 DEL
(2007/05/11 14:21)계산해보니, 1인당 1.378원이네요. OTL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1 09:54)방문자 수에 비해 수익이 상당히 많은 것 같습니다. 역시 동영상 컨텐츠가 일반 텍스트보다는 수익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1 09:55)그래도 수익이 꽤 될 것으로 생각했는데 의외로 얼마 되지 않는 군요.
인게이지 DEL
(2007/05/11 18:54)그게 말입니다...
스마트 프라이싱인가 하는거에 몇달 걸린듯합니다.
2월달 중반쯤 단가가 확떨어져 버리더니...이번달 들어와서 플린듯..
어렵다기 보다는.. 너무 게을러서요. .ㅡㅡ;;
각각 특징을 달리 하니까, 서로 다른 과목을 공부한다(?)는 느낌이랄까..
그렇습니다.
게으름과 실증(?)이랄까.. 관심 부족이랄까.. 그것이 좀더 효율적인 포스팅을 방해하는 요소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재미없으면.. 어떤 것도 오래 할 수 없겠다 싶어요.
재미가 가장 강력한 포스팅과 블로깅의 동인인 것 같습니다. : )
각각 특징을 달리 하니까, 서로 다른 과목을 공부한다(?)는 느낌이랄까..
그렇습니다.
게으름과 실증(?)이랄까.. 관심 부족이랄까.. 그것이 좀더 효율적인 포스팅을 방해하는 요소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재미없으면.. 어떤 것도 오래 할 수 없겠다 싶어요.
재미가 가장 강력한 포스팅과 블로깅의 동인인 것 같습니다. : )
도아 DEL
(2007/05/11 09:55)그렇죠. 재미가 있어야 글을 올릴 수 있으니까요.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1 09:56)방문자 수에 비해서는 그래도 잘나오는 편인 것 같습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2 08:41)정보 감사합니다. 방문자 수는 하루 정도치 됩니다. 수익은 반나절 정도 되는군요.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2 08:43)클릭율이 올라가도 EPC가 올라가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CTR이 올라가면 eCPM은 올라 갑니다. eCPM이 5 이상은 되어야 수익이 많아 집니다.
그리고 방문자 수(태터 기준)와 수익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2 08:45)정보 감사합니다. 봇을 제외한 카운트이면 봇을 포함하면 배정도가 늡니다. 따라서 방문자 1인당 수익은 절반 정도로 보면됩니다.
최적화 스킨보다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 스킨에 저랑 같은 형태로 광고를 배치해 보시기 바랍니다. 최소 4배 정도는 수익이 올라 갈것으로 보입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2 08:46)자동차 전문 블로그 같더군요. 자동차에 대한 정보도 자세하고요. 정보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방문자 수를 보면 $1000은 넘게 나오겠더군요.
저도 도움을 드리고 싶지만, 애드센스를 달기 시작한 것이 5월 2일이라서요.
아직 최적화 보고서 한 번 못 받아봤습니다.
게다가 10일 정도 지났는데 아직 20달러에 머물고 있어서..;;;
그나저나 수익 높은 분들이 꽤 많군요.
부럽습니다. ^^;
도아님, 도움이 안 되는 답변이어서 죄송합니다~
아직 최적화 보고서 한 번 못 받아봤습니다.
게다가 10일 정도 지났는데 아직 20달러에 머물고 있어서..;;;
그나저나 수익 높은 분들이 꽤 많군요.
부럽습니다. ^^;
도아님, 도움이 안 되는 답변이어서 죄송합니다~
도아 DEL
(2007/05/14 11:47)예. 꽤 되시더군요. 의외로 방문자 수는 적어도 수익이 잘나시는 분들이 있는데 역시 최적화의 영향이었습니다.
종종.. 스킨을 바꿔서.. 정확한 평균은 내기 힘들군요.. 글구 봇 카운터 제외를 적용한 시점이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암튼 adsense 상의 통계로 보면..
7,662 노출에 56 클릭 해서.. US$ 22.83 네요...흠..
테터 상의 통계로 지난달 방문자수는 57,135 이구요..
다음 인사이드 통계 상으로.. 총 방문자수는 7,481 이구요.. 흠.. 다음 인사이드 통계와 테터 통계가.. 차이가 심하네요..ㅜㅜ..
암튼 adsense 상의 통계로 보면..
7,662 노출에 56 클릭 해서.. US$ 22.83 네요...흠..
테터 상의 통계로 지난달 방문자수는 57,135 이구요..
다음 인사이드 통계 상으로.. 총 방문자수는 7,481 이구요.. 흠.. 다음 인사이드 통계와 테터 통계가.. 차이가 심하네요..ㅜㅜ..
도아 DEL
(2007/05/14 11:47)어차피 정확한 통계는 힘들기 때문에 이정도의 정보면 충분합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4 18:11)어떤 식으로 운영되는 사이트인지 모르지만 달려 있는 광고만 보면 수익은 많지 않은 것이 정상입니다. 위, 아래 배치되어 있는 배너 광고 두개를 하나의 레인 보우 광고를 위에 배치하는 것이 수익이 더 많이 나옵니다. 그리고 오른쪽의 단추 광고를 제거하고 왼쪽의 로그인 창 밑에 와이드 스크래퍼를 다는 것이 현재의 구조상 더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신규 방문자보다 재방문자가 많다는 것은 회원의 방문이 많다는 것입니다. 제가 운영하는 QAOS.com에서는 회원의 클릭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신규 방문자가 많아지도록 유입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5 12:22)정보 감사합니다. 나중에 최적화에 대한 글을 따로 올릴 생각입니다. 그때 다시 댓글을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5/17 21:11)저도 예전에는 그랬습니다. 조금만 더 최적화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5월현재 384달러이고 내일까지 하면 400달러정도 될것같습니다. 5월 현재까지 방문자수는 30004명 입니다. 저는 최적화는 사용해보지 않았는데 광고위치를 바꾸니 수입이 배로 증가하는걸 볼수 있었습니다. 바꾼건 보름정도였는데 그전스킨은 수입이 좋지가 못하더군요. 대부분의 수입이 보름정도시간에 발생하였습니다. 요새 최적화에 관심이 많았는데 좋은포스트기대하겠습니다^^ 아! 티스토리 플러그인에서 '잘알려진봇의방문은 제외' 그거 사용하고있습니다.
도아 DEL
(2007/05/30 11:31)정보 감사합니다. 글을 작성할 때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트랙백 날려보았습니다^^
조언이 있으시다면 부탁합니다
조언이 있으시다면 부탁합니다
도아 DEL
(2007/06/14 10:58)제가 조금 바빠서 바로는 힘듭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7/06 17:53)예. 참조하겠습니다. 근본적으로 수익은 접속자가 더 많아야 고수익이 가능합니다.
최대한 관련글에 질문을 하고 싶었는데 딱히 관련글을 못 찾아서 여기 답니다.
제가 애드센스 단지 보름쯤 된 것 같은데 센스 단 이후로 애널리틱스 통계가 이상합니다.
물론 애널리틱스를 먼저 달았구요 센스 설치 이후엔 매일 방문자가 0으로 뜹니다. 이거 어떻게 고쳐야하나요...;;
제가 애드센스 단지 보름쯤 된 것 같은데 센스 단 이후로 애널리틱스 통계가 이상합니다.
물론 애널리틱스를 먼저 달았구요 센스 설치 이후엔 매일 방문자가 0으로 뜹니다. 이거 어떻게 고쳐야하나요...;;
도아 DEL
(2007/08/30 08:47)코드를 어떻게 삽입했는지 모르겠지만 코드가 잘못 들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통계 코드는 </body> 태그 바로 앞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quote]<script src="http://www.google-analytics.com/urchin.js" type="text/javascript"><br/></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br/>_uacct = "UA-2005404-1";<br/>urchinTracker();<br/></script>[/quote]
에서 알 수 있듯이 <script> 태그내에 <br> 태그가 들어가 있습니다. 이렇게 <script> 태그내에 BR 태그가 들어가면 이 스크립트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0으로 잡히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질문은 메뉴의 [url=http://offree.net/entry/DoAs-QNA]문답[/url]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질문하는 분들 때문에 만든 질답 전용 글입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7/09/15 06:58)방문자 수의 비해 수익은 높은 편인 것 같습니다. 또 사용한 단추 광고는 정말 수익이 작은 광고인데 이 광고를 이용해서 이정도의 수익이 나는 것을 보니 CTR이 상당히 높은 것 같습니다.
아무튼 현재 살펴본 봐로는 정책 위반 사항은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구글에서 한페이지에 달수있는 광고의 수는 세개인데 4개가 보이는 것으로 봐서 글을 보여주는 부분은 IFRAME을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도아님 답변감사드립니다 ^^ 저는 신기하게도 단추 광고의 클릭 단가가 매우 높게 나오는군요 500원이 넘습니다.
도아 DEL
(2007/09/16 09:25)단추 광고는 클릭 단가가 높습니다. 그 이유는 단가가 가장 높은 광고 하나만 출력되기 때문입니다. 대신 CRT이 낮습니다. 그런데 퀀트브이님 사이트는 단추의 CTR도 꽤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방문자 수에 비해 높은 수익이 나는 것 아닌가 싶군요.
좋은 사실 하나 알고 갑니다... 노출수가 무조건 많다고 해서 좋은건 아니군요... 제 블로그엔 리더보드인데 11개가 광고대기중입니다 ㄱ- 다른분들의 조언도 얻어가면서 주말에 스킨좀 삽질해보렵니다... 저는 이만 자러~~
도아 DEL
(2007/11/06 05:05)예. 노출수가 영향을 끼치기는 히지만 방문자수의 증가 없는 노출수 증가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노출수 보다는 CTR에 신경을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저는 계산해보니 약 0.3원 밖에 안나오네요....ㅠ
도대체 제 블로그에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도대체 제 블로그에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도아 DEL
(2008/09/18 08:57)글이 작성된 시점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애드센스 정책이 바뀌기 전이기 때문에 지금 보다는 당연히 높습니다.
(2007/05/09 1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