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같은 경우 미리네를 이용 하는데 도메인 가격은 제가 비교 해보지 않아서 평균 가격정도 되는듯 한데.. .com이 대략 9500원정도 하니.. 호스팅 비용이 상당히 싸서 1G인 경우 년 2만원이라 전 미리네를 이용 하고 있습니다.
단지 가끔 싼게 비지떡인지 서버에 버틀렉이 걸리는지 가끔 접속이 느려지는 것을 느껴지지만 싼맛에 이용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단지 가끔 싼게 비지떡인지 서버에 버틀렉이 걸리는지 가끔 접속이 느려지는 것을 느껴지지만 싼맛에 이용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도아 DEL
(2007/04/23 17:27)호스팅 비용이 싸기는 예전에 말이 많았던 스카이넷이 싸더군요. 1G에 부가세 포함해서 년 13200원이니...
10G 형이 제가 카페24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과 가격이 같습니다. 문제는 신뢰...와 서버 설정인데 선뜻 바꾸기는 힘들더군요.
낚시광준초리 DEL
(2007/04/24 17:10)그렇죠 아무레도 한번 자리 잡은 이상 선뜻 바꾸기가 힘든게 사실이지요.........
흠....도메인을 신청해야 하는지..웹호스팅을 해야 하는건지...
그냥 티스토리를 써도 무방한건지..도대체 판단이 서질 않네요..ㅠ.ㅠ
그냥 티스토리를 써도 무방한건지..도대체 판단이 서질 않네요..ㅠ.ㅠ
도아 DEL
(2007/04/23 19:35)도메인 신청하고 티스토리의 독립 도메인 기능으로 도메인과 연결하면 됩니다. 태터툴즈를 직접 손 댈 것이 아니라면 이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제 백업 블로그인 [url=http://offree.com/]미투로그[/url]도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저도 도메인 업체가 분산되있내요.. 한 대여섯개 도매인 보유 중이거든요...
도아 DEL
(2007/04/23 19:35)예. 분산되며,,, 관리가 조금 힘듭니다. 가급적 빨리 합치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몇개 등록해 놓고 쓴다면 모르지만 일단.. 신뢰문제도 중요할것 같아요...
얼마전 싸다고 등록했다가 업체가 부도나고 없어지는 바람에
국내 도메인 같은 경우 우리나라 유명업체에서 한꺼번에 이전을 해줘서 편했는데..
국제 도메인의 경우 regiter.com에 들어가서 수십개를 하나씩 삽질했던 아픈기억이... --;;
게다가 고객들한테 기관이전시 들어가는 비용을 하나하나 이해 시키기도 매우 어려웠던 기억이 있네요.
얼마전 싸다고 등록했다가 업체가 부도나고 없어지는 바람에
국내 도메인 같은 경우 우리나라 유명업체에서 한꺼번에 이전을 해줘서 편했는데..
국제 도메인의 경우 regiter.com에 들어가서 수십개를 하나씩 삽질했던 아픈기억이... --;;
게다가 고객들한테 기관이전시 들어가는 비용을 하나하나 이해 시키기도 매우 어려웠던 기억이 있네요.
도아 DEL
(2007/04/23 19:36)다른 업체를 대행하는 것이라면 싼 것 보다는 신뢰성 있는 곳을 사용해야죠. 저도 예전에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회선을 제공하던 업체가 부도를 낸 덕에 문서로 도메인 변경 신청을 했습니다.
.kr 도메인의 경우 잘 찾아보면 6월 6일까지 100원에 신규등록만 받는데가 있습니다.(이벤트, 이전은 안됨)
문제는 사업자등록증이 필요하다는 것 이죠.
저는 이번에 퀵돔 3개 구입하면서 이 업체를 이용했습니다.
업체명은 광고일테니 http://quickdom.kr/quickDom/sub02.jsp 에서 찾아보면 딱 한업체 있습니다.(힌트 : 중간쯤)
문제는 사업자등록증이 필요하다는 것 이죠.
저는 이번에 퀵돔 3개 구입하면서 이 업체를 이용했습니다.
업체명은 광고일테니 http://quickdom.kr/quickDom/sub02.jsp 에서 찾아보면 딱 한업체 있습니다.(힌트 : 중간쯤)
도아 DEL
(2007/04/23 19:45)모 업체죠. 저도 한번 글을 올릴 생각이었습니다. qaos.kr은 qaos.co.kr의 소유주가 저이고 저는 사업자 등록증이 없어서 등록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ibookm.kr은 가능하기 때문에...
그리고 이런 정보는 광고가 아니라 좋은 정보입니다. 다만 사이트 찾기도 재미있을 것 같아 저도 업체 이름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예상했던대로 도메인을 많이 보유하고 계시군요.
저희도 co.kr만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는데(com은 외국인이 보유한듯) 나머지 org, net, kr 을 그냥 놔둬야 하나 어쩌나 사실 조금 고민입니다.
누가 등록해서 악의적(?)으로 사용만 안한다면 상관없는데...
저희도 co.kr만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는데(com은 외국인이 보유한듯) 나머지 org, net, kr 을 그냥 놔둬야 하나 어쩌나 사실 조금 고민입니다.
누가 등록해서 악의적(?)으로 사용만 안한다면 상관없는데...
도아 DEL
(2007/04/23 19:38)org는 별 쓰임새가 없지만 .net과 kr은 등록해 두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net은 가격도 싸니...
http://quickdom.kr/quickDom/sub02.jsp 에 다시 접속해보니 F5 누를때마다 업체들의 순서가 바뀌는군요.
다른건 몰라도 .kr 도메인 등록 원가가 내려갔는데 등록비를 내리지 않는 업체들을 보면 화가납니다.
퀵돔 때문에 잠시 성수기 인지 몰라도 아주 뽕을 뽑을 생각인듯 합니다.
다른건 몰라도 .kr 도메인 등록 원가가 내려갔는데 등록비를 내리지 않는 업체들을 보면 화가납니다.
퀵돔 때문에 잠시 성수기 인지 몰라도 아주 뽕을 뽑을 생각인듯 합니다.
도아 DEL
(2007/04/24 12:32)원래 우리 나라 업체들이 가장 잘하는 행동이니까요. 서로 이기는 게임보다는 나만 살자가 기업 모토인 경우가 많더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네 개의 도메인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세 개는 호스트웨이, 하나는 웹호스트입니다.
지금 당장은 이전은 생각하고 있지 않은데요.
나중에라도 옮기게 된다면 참고해야 겠네요. : )
통큰 아이는 처음 들어보는 업체인데요.
안정성의 차원에서 신뢰할 수 있는 업체인지 살짝 궁금해지기도 하네요.
항상 유용한 정보을 제공해주셔서 감사한 마음입니다.
고맙습니다. ^ ^
세 개는 호스트웨이, 하나는 웹호스트입니다.
지금 당장은 이전은 생각하고 있지 않은데요.
나중에라도 옮기게 된다면 참고해야 겠네요. : )
통큰 아이는 처음 들어보는 업체인데요.
안정성의 차원에서 신뢰할 수 있는 업체인지 살짝 궁금해지기도 하네요.
항상 유용한 정보을 제공해주셔서 감사한 마음입니다.
고맙습니다. ^ ^
도아 DEL
(2007/04/24 13:23)가격이 싼 업체는 대부분 신생업체입니다. 너나우리와 통큰아이의 가격이 가장 싸고 취하는 정책도 같습니다. 그러나 지나친 경쟁만 하지 않는다면 괜찮습니다. 이 두 업체도 아마 내년 정도되면 도메인 유지 비용을 올릴 가능성이 많습니다.
지금은 상당히 비싼 업체인 티티피아도 한때는 가장 싼 업체였습니다.
본문에 금액의 단위가 '2,2000' 처럼 4자리로 구분되어 있네요. '22,000'의 오타겠지만, 첨에 얼마인지 당황했습니다. *^^*
도아 DEL
(2007/04/25 21:37)오타 아닙니다. 똑 같은 것이 반복되면 오타가 아니라 의도적인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숫자 체계는 4자리씩 끊어서 읽으면 바로 읽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3자리로 끊으면 바로 읽기가 힘듭니다.
한 예로 9,446,683,000은 바로 읽기 힘들지만 4자리씩 끊으면 94,4668,3000 94억 4천 6백 6십 8만 3천으로 바로 읽을 수 있습니다.
즉 우리 수체계계, 만, 억으로 4자리마다 단위가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저도 종종 갖는 의문이었습니다.
왜 우리는 네자리를 단위로 끊어서 숫자를 받아들이는데, 표시단위는 세자리일까..
그 수입 이식된 비합리적 관습(?)은 고쳐졌으면 좋겠어요.
: )
왜 우리는 네자리를 단위로 끊어서 숫자를 받아들이는데, 표시단위는 세자리일까..
그 수입 이식된 비합리적 관습(?)은 고쳐졌으면 좋겠어요.
: )
도아 DEL
(2007/04/26 08:15)무식한 정부의 무식한 표준화의 일환으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관습은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아직까지 그대로 사용되는 "근"이라는 단위 처럼 숫자 체계도 우리의 방식으로 되돌리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 싶더군요.
(2007/04/23 1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