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Dust RE DEL
(2007/03/08 17:40)
근래에 강좌를 만들려고 하다가 생각했던 것인데, 수동으로 avi -> swf 로 변환해서 외부접근가능 url 을 제공하는 웹스토리지에 올리는 것입니다. 실제로 해보았는데, 10MB 정도의 분량으로도 상당한 화질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보통 10MB 정도의 업로드 용량을 제공하지요. 플래쉬 파일의 다운로드 시간이 극히 짧아야 웹페이지에서 보기 좋다라는 것을 생각해서 국내 웹스토리지를 대상으로 하면)

무엇보다 이 방법의 장점은 해상도의 조절이 자유롭다라는 것입니다.
동영상 서비스의 경우 320*240 정도의 크기(맞나요? 480*320 인가)로 고정되어 크게 봐야하는 경우(강좌처럼 메뉴나 텍스트가 보여야 할 경우) 못쓰게 됩니다. 하지만 직접 변환하면 그런 것에 구애받지를 않아 좋더군요.

한번 고려해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도아 DEL
(2007/03/08 18:11)
예전에 동영상으로 우영이 교육용 플래쉬를 만들면서 많이 사용했던 방법입니다.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당시에는 동영상 보다는 확실히 움직임이 떨어지더군요.

일단 SWF에도 FLV 코덱이 포함되니 한번 확인해 봐야 겠습니다.

goohwan RE DEL
(2007/03/08 18:21)
제가 알기론 다음 TV팟(티스토리포함)의 경우에도 업로드 후
잠시동안 동영상 변환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도아님께서 길이가 짧은 영상만 올리셔서 못보신거 아닌가 해서요...
저의 경우 카페를 하나 만들어서 교회 목사님 설교나 행사시에 찍은
동영상을 올리고 있는데... 기본 한시간 가까이 되는 영상이어서 인지
동영상 변환중이라는 메시지를 꽤 오래동안 보고있어야 합니다.
도아 DEL
(2007/03/08 18:25)
그 것은 알고 있습니다. 다른 사이트는 조금 길어서 그렇게 쓴 것입니다. 아무리 작은 동영상이라고 해도 변환하는데에는 시간이 걸리니까요.

미르~* RE DEL
(2007/03/08 18:45)
도아님... MS의 서비스인 SoapBox는 어떤가요~?

http://soapbox.msn.com/

100M 제한이 있긴 하지만, 다양한 동영상 포맷의 업로드를 지원하고,
버퍼링이 거의 없고, 화질또한 매우 좋다고 생각됩니다.
한번 테스트해볼만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
도아 DEL
(2007/03/09 09:59)
다음 TV 팟과 같은 서비스입니다. 올리는 속도는 빠른데 변환하는 속도가 너무 느리더군요. 100M짜리가 근 한시간 정도 걸리고 화질은 다음 TV 팟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버퍼링이 거의 없다는 것과 다음 TV 팟에 비해 큰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정도가 장점인 것 같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아울러 글도 수정해 두었습니다.

김주건 RE DEL
(2007/03/09 09:22)
엠군은 어떤가요. 다른 FLV기반의 서비스와 별 차이는 벖지만 용량이 무한대라.
얼마전 2시간 분량 327메가의 MOV파일을 올린 적이 있는데 잘 나오더라구요.
도아 DEL
(2007/03/09 09:58)
현재 확인 중입니다. 확인 후 글을 수정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외형적으로 보기에는 괜찮은 것 같더군요. 아예... 멀피라고 하는 것도 그렇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Mr.Dust RE DEL
(2007/03/09 09:55)
댓글 알리미에는 Virtualbox 에 관한 이야기가 있으셨는데, 수정하셨나보네요.
알아보니 공식지원은 아닌듯 한데, 직접 수정하신 건가요?

그나저나.. OS 교체라는 것이 쉬운 작업이 아닌데..
존경스럽습니다. 전 영 귀찮아서 -_-; winflp 도 안 깔아보고 있는데 ;;;
도아 DEL
(2007/03/09 09:57)
간신히 설치했는데,,, 역시 동작을 안해서 지웠습니다.
Mr.Dust DEL
(2007/03/09 11:14)
고생하십니다.
홈페이지를 보니 현재 개발중인 것 같더군요.
조금만 기다려면 나올 것 같기도 합니다.
요즘엔 64bit 가 대세니 ;;

종스비 RE DEL
(2007/03/09 12:35)
지나가다 들렀습니다.
저도 동영상 올릴만한 곳을 찾아보다 내린 결론은 자신이 직접 flv(플래쉬동영상)을 인코딩하여 올리는게
가장 좋다는 것입니다.
예전엔 디빅스테이지를 썼었는데, 그냥 플래쉬기반을 이용하는게 더 좋은것같습니다.
문제점이 있다면 동영상 인코딩을 해본 경험이 없는 사람한텐 꽤나 어렵다는 것이죠. 100mb제한도 있고..
인코딩시간도 무지 오래걸리는 편입니다.

트랙백을 걸었고, 그 포스트의 엮인 글들을 참조해 보세요.
도아 DEL
(2018/10/23 16:45)
직접 인코딩은 많이 해봤습니다. 위의 댓글에 있듯이 ...

> 문제점이 있다면 동영상 인코딩을 해본 경험이 없는 사람한텐 꽤나 어렵다는 것이죠. 100mb제한도 있고.. 인코딩시간도 무지 오래걸리는 편입니다.

동영상 인코딩이야 당연히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그리고 DivX Stage의 화질은 직접 인코딩한 FLV보다 좋습니다. 다만 여러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하는 문제점만 없다면요.

유마 RE DEL
(2007/03/09 15:00)
저도 제 블로그에 몇개의 동영상을 올리면서 이 고민을 했었더랬습니다.
처음엔 올리기 편한 다음 TV팟을 이용했다가 너무나 극심한 화질저하에.. 여기다 계속 올려야 되나 고민하게 되었죠.
(다음 TV 팟에 올리게 된 건 도아님의 말씀대로 티스토리에 올리다보니...)

그러다 알게된 곳이 문군인데, 화질 저하가 이루어지긴 해도 TV팟보다는 덜 하더군요.

몇가지 실험해보면서 느낀 건, 용량이 크다고 무조건 좋은 화질을 얻는다는 건 아니라는 거였어요.
특히, 웹에 업로드 하는 영상은 더욱 그렇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고용량이 아니더라도 웹에서 보일 수 있는 최상의 인코딩을 하면 업로드 후에도 고용량의 영상보다 더 깔끔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거였습니다. 그렇게 인코딩하기가 조금~ 힘들어서 그렇다뿐이죠.. OTL.
도아 DEL
(2007/03/09 15:24)
영상이 크면 화질이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영상이 크면 작게 볼때 화질 저하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의 설명은 그런 의미입니다.

원본의 사진의 해상도는 1600x1200 또는 2576x1716이고 이 것을 1280x720으로 인코딩해서 올린 뒤 막상 보기는 640x480 정도에서 보면 당연히 화질이 좋을 수 밖에 없습니다. 다음 동영상도 160x120 정도로 보면 화질은 괜찮습니다.

Neo RE DEL
(2007/03/09 17:18)
이름이 안알려져 있긴 하지만 픽스카우(http://www.pixcow.com)는 어떨까요?

저는 동영상을 픽스카우에 올리는데 인코딩용 ActiveX를 설치해야 하지만 플래시 플레이어로
재생되기때문에 배포는 쉽고 화질손상도 별로 없는듯 하구요.
용량 제한도 없고 영상의 길이가 30분만 넘지 않는다면 기가 단위 영상을 업로드 할 수도 있습니다.
업로드 후에도 간단하게 테스트 해본결과 화질열화는 거의 없는듯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즉시 재생되는데도
버퍼링이 거의 업어서 맘에 들었습니다.
플래시 무비를 사용하는 다른 사이트들은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방식이라 초기에 어느 정도 로딩해야 재생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그런 문제가 없어서 좋습니다.
잘만든 영상일 경우에는 판매가 가능한 점도 괜찮아보이구요
도아 DEL
(2018/10/23 16:45)
> 이름이 안알려져 있긴 하지만 픽스카우(http://www.pixcow.com)는 어떨까요?

잠깐 방문해 봤습니다. 그러나 올라온 동영상의 화질은 그렇게 좋지는 않더군요.

> 저는 동영상을 픽스카우에 올리는데 인코딩용 ActiveX를 설치해야 하지만 플래시 플레이어로

이 부분은 사실 제가 테스트 해보지 못하는 가장 큰 벽입니다.

> 버퍼링이 거의 업어서 맘에 들었습니다.

버핑링은 있습니다. 처음 클릭하면 잠깐 동안 pixcow의 화면이 나오는데 이 시간에 버퍼링을 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직까지는 mgoon이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나비 RE DEL
(2007/03/10 01:26)
몰랐는데 조금만 눈을 돌리면 이런곳이 엄청 많더라구요. 앞으로 전망이 밝다 보니 막 생겨나는거 같기도하고..
전 예전부터 태그스토리 쓰다보니...딱히 올릴일도 별로 없고해서 거기 쓰게 되더라구요..ㅎ
도아 DEL
(2007/03/10 06:58)
많기는 한데 입 맛에 맞는 곳이 별로 없더군요. Mgoon을 추천했는데 문제는 저사양의 컴퓨터에서 동영상을 보면 무척 끊기더군요. 집에 있는 펜티엄 3 800으로는 Mgoon의 동영상을 재생하지 못합니다.

또리아빠 RE DEL
(2007/03/12 00:21)
SOAPBOX에 접속하니 이런게 뜨네요.
뭐야!! 중국에 사는 애들은 아직 오지 마라~ 이런 내용이죠?? 네??


很抱歉, SOAPBOX目前无法在您所在的地区使用
You are seeing this page because we have detected that you are trying to access Soapbox from a market where it is unavailable at this time.
도아 DEL
(2007/03/12 14:21)
조만간 서비스 되지 않을까 싶군요.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은 무시하지 못할테니까요.

nashimaryo RE DEL
(2007/04/15 11:03)
글 잘 보고 갑니다~ 많은 곳을 찾으시고 실험(?)을 하셨네요^^
저도 요즘 동영상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디빅 스테이지가 끌리긴 한데, 전용 플레이어를 설치해야 하는 엄청난 악조건이 써억 내키질 않네요~

도아님도 추천하셨지만 개인적으로도 엠군이 고화질 동영상 서비스에는 적합한 듯 싶어요~
티스토리에 동영상을 포스팅할 때 다음 tv팟은 화면 사이즈도 고정되어 있고, 화질 저하도 좀.. -_-;
100Mb로 제한되는 것도 딱히..

엠군을 사용해본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엠군을 이용해봐야겠네요~~^^
도아 DEL
(2007/04/16 09:48)
엠군이 좋기는 한데 엠군의 동영상을 저사양 PC에서 재생해보면 엄청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안진호 RE DEL
(2008/03/16 11:34)
도아님 정보 고맙구요/
엠군 추천하셨는데 재생상태가 최악이군요.
트래픽이 많아져서 그런지
아님 여기가 해외(미국)여서 그런지.
어쩧든 처음 엠군가입해서 업로드하고 좀 보려했더니
광고도 많구
재생 느린것은 좋은데 아주 나오지가 않으니 원...
유튜브는 바로 나오는데...
혹 제가 몰라서 그런건지
제가 틀렸으면 한수 부탁합니다.
도아 DEL
(2008/03/16 13:44)
엠군은 고화질 영상을 업로드하기 때문에 외국에서 사용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제가 소개할 때에는 속도도 빠르고 광고도 없었는데 요즘은 속도도 느려지고 광고까지 있어서 저도 다음 TV팟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꿈별 RE DEL
(2011/12/20 23:56)
비메오도 괜찮은데.. 속도빠르고 화질좋고... 다만 무료이용자는 일주일동안 올릴수있는 용량에 제한있지만요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