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한 초등학생들은 학원다니는 것을 법적으로 금지시켰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중학생부터는 몰라도 초등학생때부터 학원생활 때문에 놀 시간이 없다면,
아이들이 아이들 답게 뛰어놀 시간이 학교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사라지는 것이니 말이죠... ㅠ_ㅠ
중학생부터는 몰라도 초등학생때부터 학원생활 때문에 놀 시간이 없다면,
아이들이 아이들 답게 뛰어놀 시간이 학교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사라지는 것이니 말이죠... ㅠ_ㅠ
도아 DEL
(2007/03/03 13:20)국회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제발 그렇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미술, 음악 등 소양 교육은 어떨지 모르겠군요.
저는 우영이 만할 때 해질 때까지 동네 골목에서 놀았습니다.
인게이지 DEL
(2007/03/03 14:10)법으로 금지 해봤자 음성화 될뿐입니다.
이전에 과외금지령을 생각해보시면 결과야 뻔하죠
이나라 아줌마들 교육열은 맹자어머니도 울고갈 정도입니다.
도아 DEL
(2007/03/04 09:11)그러니 과거의 일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겠죠.
최소한 초등학생이라도 학원좀 안보냈으면 좋겠습니다.
전.아직 미혼이긴 하지만..
동네에 보면..유치원이 대충 30만원하고.. 그 유치원에서 영어랑 수영장까지 있으면..
엄청 비싸지더라구요..또 안보내면 친구가 없고....
동네에 보면..유치원이 대충 30만원하고.. 그 유치원에서 영어랑 수영장까지 있으면..
엄청 비싸지더라구요..또 안보내면 친구가 없고....
도아 DEL
(2007/03/03 14:08)공교육이 힘을 잃고(그래도 초등학교는 공교육이 우선입니다)나니 사교육비 부담이 너무 큽니다. 따라서 한 두 군데만 보내도 애가 둘이면 나가는 돈이 만만치 않습니다.
몇해전 조카 초등학교 입학식에 간적이 있었는데, 제가 입학 or 진학 하였을때마다 느꼈던 묘한 느낌이 들더군요.
가끔 다시 초등학교 1학년이 된다면 하는 상상을 하곤 하는데, 과외활동이 많은 요즘같은 초등시절을 견딜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이 앞서더군요.
덕분에 정겨웠던 국딩시절을 다시금 떠올리는 하루가 되겠네요.
가끔 다시 초등학교 1학년이 된다면 하는 상상을 하곤 하는데, 과외활동이 많은 요즘같은 초등시절을 견딜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이 앞서더군요.
덕분에 정겨웠던 국딩시절을 다시금 떠올리는 하루가 되겠네요.
도아 DEL
(2007/03/04 09:13)예. 요즘 아이들은 학원에 치여서 삽니다. 물론 아이들이 마음 놓고 놀 수 있는 공간도 없지만 학원을 보내지 않으면 뒤처질 것을 우려한 부모 마음이 더 심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 교육을 생각하면 이민 가고 싶은 심정입니다.
저도 올해부터 초등학교에 같이 입학(?) 하게 되었네요.
아드님이 무럭무럭 건강하게 잘 컸으면 좋겠습니다^^
아드님이 무럭무럭 건강하게 잘 컸으면 좋겠습니다^^
도아 DEL
(2007/03/04 09:13)교사 임용을 받은신 것 같군요. 축하드립니다. 교사 임용도 쉬운일이 아닌데...
오늘 초등학교 입학식 하더군요..(전 부산..)
축하합니다.. :)
축하합니다.. :)
도아 DEL
(2007/03/04 09:15)그런가요? 보통 토요일에는 입학식을 잘 안하는 것 같던데요.
우영이는 준비물을 준비해가지 못해 "유치원생"이라는 얘기를 들었다고 하는데,,, 과연 선생님이 정말 그랬을지는 의문이더군요.
음, 제 딸이 이번에 초등학교 입학하고 아들은 유치원에 가니 저랑 상황은 같으시네요
은근한 부담이 느껴집니다만
뭐 잘 하겠죠
참고로 학원은 아이가 필요해서 다니는 거 보다는
부모님들의 마음이 편해지려 다니는 경우가 더 많더군요
누구도 다니니까, 아니면 시간을 맞추려고........
쓸쓸한 하교길의 아이들 모습이 안타깝네요
은근한 부담이 느껴집니다만
뭐 잘 하겠죠
참고로 학원은 아이가 필요해서 다니는 거 보다는
부모님들의 마음이 편해지려 다니는 경우가 더 많더군요
누구도 다니니까, 아니면 시간을 맞추려고........
쓸쓸한 하교길의 아이들 모습이 안타깝네요
도아 DEL
(2007/03/04 09:16)예. 그래서 저는 아이가 다니고 싶다는 학원만 보냅니다. 요즘은 미술학원만 나가고 있습니다. 태권도는 하기 싫다고 해서...
사교육이 우선시 되는 이유가 공교육에서의 교육이 성긴 그물처럼 엉성하기 때문이라 생각이 듭니다.
질적으로 엉성한 게 아니라 예를 들면, 어떤 학목에서 어떤 부분을 가르치다가 자세한 설명이나 여러가지 예가 필요한 부분에서 "이 부분은 학원에서 더 자세하게 배울테니 이정도에서 넘어가지"는 식으로 마무리를 해버립니다.
졸업한지 오래 되어 요즘은 모르겠으나 제가 다닐 때도 그 정도였으니 지금은.. 더 심하지 않을까 싶어요.
질적으로 엉성한 게 아니라 예를 들면, 어떤 학목에서 어떤 부분을 가르치다가 자세한 설명이나 여러가지 예가 필요한 부분에서 "이 부분은 학원에서 더 자세하게 배울테니 이정도에서 넘어가지"는 식으로 마무리를 해버립니다.
졸업한지 오래 되어 요즘은 모르겠으나 제가 다닐 때도 그 정도였으니 지금은.. 더 심하지 않을까 싶어요.
도아 DEL
(2007/03/05 01:08)공교육이 무너진 것은 학부모의 문제라기 보다는 사회의 문제입니다. 학벌 지상주의가 아직도 나라를 점령하고 있으니 부모 마음에는 뒤처지지 않도록 학원을 보낼 수 밖에 없고, 이렇게 아이들이 선행 학습을 하다보니 하지 않은 아이는 뒤처지고, 선생님들도 가르칠 때 학원에서 배울 것이라는 얘기를 하게되는 것 같습니다.
저희 아이도 몇일전에 유치원생이 되었답니다. 내후년이면 초등학생이네요. 저는 결혼을 일찍한 편이라 아이 데리로 가면 삼촌인즐 아는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 이제 슬슬 둘째 생각하고 있는데, 양육비를 생각하면 부담되는게 사실입니다... 그래도 하나 더 낳아서 잘 키워보려구요^^
도아 DEL
(2007/03/05 01:09)예. 둘째를 낳아보면 둘째가 더 귀엽습니다. 둘째 특유의 애교때문에... 그러나 교육비 걱정은 어쩔 수 없더군요.
(2007/03/03 11:42)
동영상을 보니 우영이는 학교생활 문제 없이 잘 할것 같고요..
-------------------------------
아무튼 녀석들을 본 것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초등학교와 유치원엘 다닙니다. 학교에 다니면 나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하는데,,, 기쁨도 기쁨이지만 걱정도 앞섭니다.
-------------------------------
라고 하셨는데.. 얘기를 들어보면 사교육비가 문제인것 같더군요.
아는 형님이 초등학생 2명이 있는데 .. 사교육비만 한달에 50여만원이 넘는다고 합니다.
(사정상 좀 싼곳을 보내는데도 사교육비 지출이 이렇다네요)
아이들이 학교 끝난 후에 다들 학원으로 직행을 해서 안보낼 수도 없고 안보내면
아이들 사이에 또 말이 있다고 합니다. 누구는 어디어디 다니고 누구는 안다니고..등등...
저 어릴때만 해도 학원은 주산/태권도 학원이 전부이고 보통은 딱지치기 등을 했었는데...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