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유니텍에서 서비스 받으러 갔다가 저런 사고를 당했습니다. 저도 도아님처럼 하나 하나 다 물어보고 갔는데도 불구하고 가서 딴소리 하고 거기서 확인받고 무료로 해준다는 확답받고-이것도 2번이나 현장확인-집에 오니까 전화로 돈내라고 하더군요. 어이가 없어서...서비스라는것을 전혀 모르는것 같아요. 호텔에서 서비스업을 배워야 합니다. 알아서 조금만 신경써주면 되는데 서로 협업이 안되나까 엔지니어랑 콜센터 직원이랑 따로 놀기 때문이죠.
그 이유는 대부분가 비정규직이라서 그런것 같습니다. 몇푼 안되는 돈받고 친절한 서비스는 불가능하고 이직률도 높다보니 숙련된 사원들이 없기 때문이죠. 많은 경험을 쌓다보면 서비스의 질도 개선되는건데 갓들어온 1년짜리 경력의 직원들한테 높은 질의 서비스를 받기 힘들죠. 그저 위에서 내려운 질낮은 메뉴얼을 보고 읉어댈뿐이죠. 생활이 달인같은 프로그램 보면 남들보다 거짓말 안하고 2배에서 열배의 능률로 일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오죠. 힘이 아니라 오랜경력에서 나오는 숙련도더군요. 정말 그 사람 하나만 있으면 3-4명분을 거뜬히 해냅니다. 그런데 그 프로그램에 나오는 사람들은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일당받는 그런일들이더군요. 1년미만의 경력자들은 없더군요. 그런데 콜센터나 기술직에서 그런 사람들은 아마 별로 없을겁니다. 저는 한때 서비스직에서 일해봐서 아는데, 어떻게 하면 고객만족을 줄 수 있는지...어느 정도 짬밥되야 융통성 있는 서비스를 해서 회사와 고객사이이 신뢰도를 쌓이게 할 수 있는지 숙지해야만 만족할만한 서비스가 나옵니다. 서비스가 중요하다면서 막상 거기에 대한 투자는 많이 인색한 편이죠. 그게 아마도 서비스직업이라는게 육체노동처럼 확실하게 노동의 가치를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이지도 모르겠어요. 생활의 달인에 나오는 직업도 대부분 육체노동자거든요. 전문직이나 서비스업 같은것은 직업은 나올 수 가 없는 이유도 그런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대부분가 비정규직이라서 그런것 같습니다. 몇푼 안되는 돈받고 친절한 서비스는 불가능하고 이직률도 높다보니 숙련된 사원들이 없기 때문이죠. 많은 경험을 쌓다보면 서비스의 질도 개선되는건데 갓들어온 1년짜리 경력의 직원들한테 높은 질의 서비스를 받기 힘들죠. 그저 위에서 내려운 질낮은 메뉴얼을 보고 읉어댈뿐이죠. 생활이 달인같은 프로그램 보면 남들보다 거짓말 안하고 2배에서 열배의 능률로 일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오죠. 힘이 아니라 오랜경력에서 나오는 숙련도더군요. 정말 그 사람 하나만 있으면 3-4명분을 거뜬히 해냅니다. 그런데 그 프로그램에 나오는 사람들은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일당받는 그런일들이더군요. 1년미만의 경력자들은 없더군요. 그런데 콜센터나 기술직에서 그런 사람들은 아마 별로 없을겁니다. 저는 한때 서비스직에서 일해봐서 아는데, 어떻게 하면 고객만족을 줄 수 있는지...어느 정도 짬밥되야 융통성 있는 서비스를 해서 회사와 고객사이이 신뢰도를 쌓이게 할 수 있는지 숙지해야만 만족할만한 서비스가 나옵니다. 서비스가 중요하다면서 막상 거기에 대한 투자는 많이 인색한 편이죠. 그게 아마도 서비스직업이라는게 육체노동처럼 확실하게 노동의 가치를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이지도 모르겠어요. 생활의 달인에 나오는 직업도 대부분 육체노동자거든요. 전문직이나 서비스업 같은것은 직업은 나올 수 가 없는 이유도 그런것 같습니다.
도아 DEL
(2007/02/13 10:40)예. 비정규직 문제도 있겠지만 제가 보기에는 돌넷과의 합병이 더 큰 것 같습니다. 아울러 유니텍은 원래 악명이 자자합니다.
한때 저도 유니텍 보드를 썼었지만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충주는 말입니다....
업체가 너무 많아서 중앙보다 지역대리점에 전화하시는게 낳을겁니다.
약정기간 끝나면 갑자기 속도가 올라가죠..(나쁜인간들..)
하나로 들어온다니 갑자기 프리미엄급 속도가 나오질 않나
파워콤들어온다니 엔토피아급 속도가 나오질 않나...
아직도 lite 요금인데 속도는 50M....
업체가 너무 많아서 중앙보다 지역대리점에 전화하시는게 낳을겁니다.
약정기간 끝나면 갑자기 속도가 올라가죠..(나쁜인간들..)
하나로 들어온다니 갑자기 프리미엄급 속도가 나오질 않나
파워콤들어온다니 엔토피아급 속도가 나오질 않나...
아직도 lite 요금인데 속도는 50M....
도아 DEL
(2007/02/13 10:42)파워콤을 총 세개를 신청했는데 그 중 두개는 지역 대리점을 통해 가입했습니다. 사은품을 배송하지 않아 무려 한달을 싸웠습니다. 물론 대리점의 문제라기 보다는 영업자의 문제이기는 하지만요.
위에서 언급한 전화는 지역 대리점에서는 처리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아울러 온 기사는 지역 대리점에서 온 기사입니다. 충주 지역에서 안되니까 다른 지역에서 기사를 불러 온 것이 아닌가 싶더군요.
> 아직도 lite 요금인데 속도는 50M
이건 사실이더군요. 제일 고시 서적에서 ADSL Lite를 사용하는데 파워콤 공사가 끝날 무렵 VDSL로 바꿔 주더군요. 다만 그때는 안면이 있어서 해주는 것으로 알았습니다.
인게이지 DEL
(2007/02/13 15:16)아 정확히는 지역대리점이라기 보다 해당지역을 통괄하는 기지국이라고 해야되는 군요.
대표 상담전화나 고객센터 걸어봤자 빙빙 돌다가 계속 업무 착오 납니다.
KT 같은 경우 114 아닌 해당지사의 번호로 직접걸면 그 자리에서 조회해서 처리해주죠.
(이게 더 빨라요, 리셋만 하면 되는 경우도 많아요)
서울에서 신청할때는 설치하러온 기사가 자기지사번호가 있는 명함을 주고 가더군요.
114에 걸면 매일 이상한 착오만 일으켜서 서로 불편하다고 지사 직접걸어달라고...
도아 DEL
(2007/02/13 19:24)KT는 저도 경험이 많기 때문에 주로 전화국을 이용합니다. 아울러 글에서 알 수 있듯이 저 문제는 지역과는 얘기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어차피 본사에서 처리해서 지역으로 넘어와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역시 도아님이십니다. 하나로 직원과의 대화에서 딱 짤라버리기;;
하나로텔레콤 마지막 해지한다니까 방어모드 가동하는게 참;;
거기에다가
돌넷의 상담원전화보고 다시한번 쓰러짐;;
하나로텔레콤 마지막 해지한다니까 방어모드 가동하는게 참;;
거기에다가
돌넷의 상담원전화보고 다시한번 쓰러짐;;
도아 DEL
(2007/02/13 10:43)장난 전화를 많이 해본 것이 이럴때에는 도움이 되더군요. 상대의 심리를 금방 파악하기 때문에...
가정용 인터넷을 쓴지가 꽤 오래되어서 이런류 경험은 별로 없지만, 그냥 문득 생각나는 것은..
지금까지 보아온 인터넷 기사 중에 정말 조금이라도 뭘 아는 분은 딱 한 사람밖에 못 보았다라는 것입니다.
제 누님의 원룸에 문제가 생겨서 왔던 KT 직원인데, 아마도 정직원이 아니라 프리로 뛰는 듯 하더군요.
여튼.. 나머지는.. "저기요. 랜툴 좀 줘보세요. 제가 랜선 찝을께요." 라는 수준이었습니다. ;;
그래서 웬만해선 한가하고 한가할 때 불러서, 실껏 삽질하게 놔두고 뒷통수치죠. 몇 시간씩 사람 바뀌어가면 삽질하는 거 옆에서 과자먹고 TV 보면서 기다리다가, 고스트로 복구 하고선, 자 저장해야 되니까 다시 해주세요. 라든가 ㅡㅡa
(물론 제가 해도 됩니다. 하지만 웬만해선 안 나섭니다.)
지금까지 보아온 인터넷 기사 중에 정말 조금이라도 뭘 아는 분은 딱 한 사람밖에 못 보았다라는 것입니다.
제 누님의 원룸에 문제가 생겨서 왔던 KT 직원인데, 아마도 정직원이 아니라 프리로 뛰는 듯 하더군요.
여튼.. 나머지는.. "저기요. 랜툴 좀 줘보세요. 제가 랜선 찝을께요." 라는 수준이었습니다. ;;
그래서 웬만해선 한가하고 한가할 때 불러서, 실껏 삽질하게 놔두고 뒷통수치죠. 몇 시간씩 사람 바뀌어가면 삽질하는 거 옆에서 과자먹고 TV 보면서 기다리다가, 고스트로 복구 하고선, 자 저장해야 되니까 다시 해주세요. 라든가 ㅡㅡa
(물론 제가 해도 됩니다. 하지만 웬만해선 안 나섭니다.)
도아 DEL
(2007/02/13 15:01)예... 많습니다.
전용선을 신청했는데 설치하로 온분이 라우터를 못잡더군요. 하루 종일... 다음 날부터 사이트를 오픈해야 하기 때문에 제가 다 잡았습니다. 그리고 출장비 10만원을 주고... 이 양반이 회사로 전화합니다.
기사: 응. 잘 설치했서. 여기 사장님이 전문가 이시더라고 사장님이 다 잡았어.
도아: (그런데 출장비는 왜 받는데?)
이외도 많습니다. 오라클을 사면 오라클에서 설치기사를 보내줍니다. 3일간 리눅스에 오라클 설치를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
기사: (머리를 긁적이며) 내일 다른 분을 보내겠습니다.
도아: 아뇨, 그냥 가셔도 됩니다.
기사: 그러면.
도아: 제가 설치했습니다.
Dust님 때문에 필 받아서 http://offree.net/entry/내가-겪은-KT-직원들 도 작성했습니다.
하나로통신만 그런건지는 모르겠는데...
한번쯤 튕겨중 필요성이 있는 회사입니다.
(다른곳도 그런건지는 모르겠어요)
가~끔 생각날때 전화걸어서 "해지하려고 한다. 다른 통신사에서 지금 넘어오면 위약금도 물어주고 요금도 할인해준다더라"
고 말하고 해지하겠다고 하면
100이면 100 속도 높여주고 요금할인해주겠다고 나옵니다.
그런식으로 깍이고 깍여서 저희집 인터넷 기본요금이 15873원이네요. (현재는 이사와서 상품은 광랜이고 부가세 제외입니당)
하나로 전화도 마찬가지입니다.
광랜 들어오는 아파트같은 경우는 디지털 전화처럼 모뎀 연결해서 쓰는게 아니라 그냥 전화선 꽂는데 꽂아서 쓰니까
편리하긴 합니다. 요금도 싸니까 좋죠
전화도 가끔씩 튕겨주면 기본료 면제까지 됩니다 허허.....
전화걸어서 KT전화로 옮기면 선물준다고 하더라. 그래서 옮겨야겠다 그러면 1년 약정하면 1년간 기본료 면제해주겠다고나옵니다.
어차피 전화야 계속 쭉~ 써야하니 약정 정도는 문제가 안되죠.
그리고 이런것도 있습니다. 3년 약정하면 유무선 전화기까지 준답니다. 이게 행사기간인지는 모르겠는데
사무실 전화를 하나로 전화로 바꾸다가 말이 나오더군요. 1년 약정하면 일반 전화기 주고 3년 약정하면 유무선 전화기 주겠답니다.
사무실에 전화기가 넘쳐나서 -_-; 1년 약정하긴 했는데 요고 가정집에서 요긴하게 쓰일것 같습니다.
안튕기고 아무말안하고 그냥 쭉~ 쓰면 바보됩니다.
한번쯤 튕겨보세요. 하나로 고객센터는 전화요금도 안듭니다.
그냥 106 누르지 마시고 080-8282-106 으로 전화하세요.
그럼 무료입니다 ㅋㅋ
꼭 광고같네요 -_-;
한번쯤 튕겨중 필요성이 있는 회사입니다.
(다른곳도 그런건지는 모르겠어요)
가~끔 생각날때 전화걸어서 "해지하려고 한다. 다른 통신사에서 지금 넘어오면 위약금도 물어주고 요금도 할인해준다더라"
고 말하고 해지하겠다고 하면
100이면 100 속도 높여주고 요금할인해주겠다고 나옵니다.
그런식으로 깍이고 깍여서 저희집 인터넷 기본요금이 15873원이네요. (현재는 이사와서 상품은 광랜이고 부가세 제외입니당)
하나로 전화도 마찬가지입니다.
광랜 들어오는 아파트같은 경우는 디지털 전화처럼 모뎀 연결해서 쓰는게 아니라 그냥 전화선 꽂는데 꽂아서 쓰니까
편리하긴 합니다. 요금도 싸니까 좋죠
전화도 가끔씩 튕겨주면 기본료 면제까지 됩니다 허허.....
전화걸어서 KT전화로 옮기면 선물준다고 하더라. 그래서 옮겨야겠다 그러면 1년 약정하면 1년간 기본료 면제해주겠다고나옵니다.
어차피 전화야 계속 쭉~ 써야하니 약정 정도는 문제가 안되죠.
그리고 이런것도 있습니다. 3년 약정하면 유무선 전화기까지 준답니다. 이게 행사기간인지는 모르겠는데
사무실 전화를 하나로 전화로 바꾸다가 말이 나오더군요. 1년 약정하면 일반 전화기 주고 3년 약정하면 유무선 전화기 주겠답니다.
사무실에 전화기가 넘쳐나서 -_-; 1년 약정하긴 했는데 요고 가정집에서 요긴하게 쓰일것 같습니다.
안튕기고 아무말안하고 그냥 쭉~ 쓰면 바보됩니다.
한번쯤 튕겨보세요. 하나로 고객센터는 전화요금도 안듭니다.
그냥 106 누르지 마시고 080-8282-106 으로 전화하세요.
그럼 무료입니다 ㅋㅋ
꼭 광고같네요 -_-;
도아 DEL
(2007/02/19 13:15)제가 사용해본 경험으로는 하나로가 심합니다.KT는 협박해도 그냥 해지하라고 합니다. 어차피 KT는 고객 관리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하나로에서 이런 경향이 더 심해진 것은 돌넷을 합병한 뒤인 것으로 기억합니다. 돌넷 서비스가 워낙 개판이라 자구책으로 그런 것인지 모르겠지만.
(2007/02/12 20:38)
지금 케이블 Pro 를 사용하고 있는데, lite 요금을 내고 있지요. -_-a
사실 다른 곳 가고 싶어도 상위 서비스는 들어오지 않아요. OT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