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티비의 화면 해상도는 720x480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일반 영상물 제작할 때 화면크기를 저렇게 설정하고 만들거든요.
다만 브라운관 티비의 경우 사방에 세이프프레임만큼 짤려나가는 게 있어서 실제 사이즈는 저기서 사방 2~30픽셀 정도 줄어들더군요.
보통 일반 영상물 제작할 때 화면크기를 저렇게 설정하고 만들거든요.
다만 브라운관 티비의 경우 사방에 세이프프레임만큼 짤려나가는 게 있어서 실제 사이즈는 저기서 사방 2~30픽셀 정도 줄어들더군요.
도아 DEL
(2011/10/05 15:58)부탁입니다만 찾아 보고 댓글 다세요.
>아날로그(NTSC) 텔레비전은640x480정도의 해상도를 갖습니다. 이걸 계산해 보면 .. 307x200 픽셀이지요 [아날로그 TV와 디지탈 TV의 비교](http://www.jtv.co.kr/tv/digital_tv03.html)
위 사이트에 나온 내용입니다. 저도 이렇게 알고 있고요.
인디^^ DEL
(2012/01/11 20:52)기존에 우리가 쓰던 아날로그TV는 정확히 말해 해상도란 개념이 아니라 주사선이란 개념으로 표시합니다.
우리와 미국계열국가들이 쓰던 NTSC방식은 수평주사선이 525선, 북한과 유럽계열 국가들이 쓰던 PAL방식은 625선입니다.
즉, 해상도로 바꿔 말한다면 NTSC방식은 대략 525x394, PAL방식은 625x469 정도 되는거죠.
(전주방송에서 얘기한 640x480은 어떤 계산으로 나온 해상도인지 모르겠습니다만... 307,200은 640x480의 해상도를 가정했을 때 그 총 픽셀 수 입니다.)
720x480은 표준디지털TV 규격으로, 흔히 말하는 SDTV의 해상도입니다. 위성방송을 위해 처음 만들어진 규격이죠.
도움주신 분 : 구글신
도아 DEL
(2012/01/12 09:49)>기존에 우리가 쓰던 아날로그TV는 정확히 말해 해상도란 개념이 아니라 주사선이란 개념으로 표시합니다
알고 있습니다. 원래 전자과이기 때문에 그 개념을 몰라 쓴 글이 아니니까요. 컴퓨터는 디지탈로 정보를 처리하고 CRT 모니터는 아날로그입니다. 그런데 이 CRT 모니터도 분명히 **주사선**을 사용하지만 **주사선**이라고 하지 않죠. **인디^^**님 이야기처럼 되려고 하면 CRT 모니터도 주사선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TV에서 **해상도**라는 표현은 'TV를 CRT 모니터로 대응'하며 나온 개념입니다. 또 실제 컴퓨터 출력을 TV로 보낼 수 있죠. 즉, '정확히 이야기하면 주사선이라는 표현'은 이런 연관관계를 모르기 때문에 나온 이야기가 됩니다.
>전주방송에서 얘기한 640x480은 어떤 계산으로 나온 해상도인지 모르겠습니다
원래 TV와 해상도의 1대 1 대응이 안됩니다. 그래서 개략적인 수치를 사용하죠. 원래 **625x469**가 개력적인 수치지만 컴퓨터에서 이런 해상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640x480으로 표현하죠. 제가
>일반 TV의 화질은 300x200 정도다.
라고 한 것도 같은 맥라이고요. 300x200 **정도**라고 표현한 것도 정확한 수치가 아니라 개략적인 수치이기 때문입니다(본문에는 320x200으로 되어 있어 수정했습니다.).
제목없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화면을 더블클릭(터치?) 하시면, 전체화면으로 보는 버튼이 나오거나 바로 전체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저도 처음에 몰라서, 제목없이 보고 싶었는데. 우연히 찾았습니다. :)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도아 DEL
(2011/10/07 16:56)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얼마 전 저도 발견했습니다. 다만 귀찮아서 내용 수정을 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무료(?)로 사용 할 수 있지만 설정에 충전내역과 구매내역이 있는걸로 봐선 유료화가 얼마 남지 않은 듯 하네요
진정한 무료 TV앱은 없는건지... ^^;
진정한 무료 TV앱은 없는건지... ^^;
도아 DEL
(2011/10/10 16:33)>다시보기 서비스가 실제 pooq의 수익모델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아직 이 기능은 애플사와의 과금 문제로 아직 동작하지 않는다.
라고 해 두었고요. 구매는 다시보기용입니다. 또 다시보기는 설사 어플이 아니라고 해도 PC도 유료고요.
(2011/10/04 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