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Tips RE DEL
(2011/09/13 14:10)
예전보다 훨씬 가독성이 높아 보입니다. 저도 나름의 색상과 모양 조합을 찾고 있는데, 어렵네요.
도아 DEL
(2011/09/13 14:50)
가독성은 아무래도 지금 껏이 훨씬 낫습니다. 그런데 전체적인 디자인 일관성은 아무래도 예전 것이 더 나아 보이더군요. 다만 전문적인 디자이너가 아니면 찾기는 힘들더군요. 저도 바꿨다가 시간이 조금 지나면 또 마음에 들지 않더군요.

ssangga RE DEL
(2011/09/15 10:57)
제 개인적인 의견은 글꼴에서 끝부분 꼬임이 많은 (필기체 비슷하거나 클래식한 느낌을 주기 위해 궁서체 처럼 꼬임이 많은..)글꼴보다 고딕체나 견고딕처럼 획의 끝이 구부러짐이나 꼬임이 적고 평이한 글꼴들이 더 가독성이 좋은 것 같습니다. (한눈에 딱 단어의 의미가 두뇌로 전달됨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거기에 덧붙이자면..PC용 웹에서는 적당한 Width를 보장하기 때문에 장평(글꼴의폭)이 넓어도 상관없으나 모바일용웹에서는 장평이 좁아서 한 줄에 글이 많이 들어가는것이 스크롤을 적게 할 수 있어서 좋은 듯 합니다.
(일례로 아이폰의 iOS Beta 6 글꼴 때문에 사람들이 Beta7로 판올림을 안합니다)
도아 DEL
(2011/09/17 11:04)
일반적으로 가독성은 네모꼴 보다는 빨래줄이 가독성이 더 좋습니다. 이 부분은 연구결과이니 따로 이야기할 부분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다만 네모꼴이 더 가독성이 좋은 듯 보이는 것은 익숙함 때문입니다.

qp RE DEL
(2011/09/17 10:24)
순전히 제 취향인지는 몰라도 막대가 위 아래로 좀 과하게 두껍다는 느낌도 좀 듭니다.
비유를 하자면 브랜드 제품에 붙어있는 로고가 지나치게 커보이는 그런 느낌이네요.
눈에는 잘 띄지만 전체 외관은 좀 갉아먹는 그런거 말이죠.
도아 DEL
(2011/09/17 11:03)
저도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문제는 따로 패딩을 지정하지 않았는데도 두껍다는 점입니다. 물론 오늘 의견 주셔서 두꺼워진 원인을 제거했습니다.
qp DEL
(2011/09/18 18:00)
한결 보기 좋네요. 앞에는 글에 막대 밖에 없는 느낌었거든요. ㅎㅎ
도아 DEL
(2011/09/19 09:39)
감사합니다. 막대가 두꺼워 보기에 좀 그랬는데 문제는 두껍게 만드는 원인을 몰랐습니다. 덕분에 작정하고 찾기는 했지만요.

kellyshim RE DEL
(2011/09/27 10:04)
오! 이거 완전 좋아요~ 사이드 바나...버튼에 꽤 좋겠어요!
도아 DEL
(2011/09/27 10:17)
괜찮습니다. 지원하는 형태도 다양하고 CSS로만 되니 편하기도 하고요.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