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정보네요. 이것 급땡기네요
추석 명절 잘 보내세요
추석 명절 잘 보내세요
도아 DEL
(2010/09/23 18:52)감사합니다. 탐진강님도 한가위 잘 보내세요.
kt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가 일일 데이터 용량 제한이 있는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군요... 저두 요금제를 바꿔야 겠습니다ㅋ 좋은 정보 감사합니닷!!
도아 DEL
(2010/09/23 18:53)일일 제한이 있으면 무제한이 아니죠. KT, SKT 모두 트래픽 컨트롤을 하는 것을 잘못 아신 것 같습니다.
"위성DMB"라고 하지만 이것도 어찌보면 좀 뻥스런 말 아닌가 싶은게...
이름에 "위성"이 들어있다해서 진짜로 폰으로 위성에서 오는 전파를 바로 수신하는게 아니랍디다.
위성에서 오는 전파는 워낙 미약하고 기상상태나 주변환경에 따라 불안정하고 불규칙하기때문에, 중계소에서 위성 전파를 접시안테나로 받아서 중계기로 다시 쏴주는 거라더군요. 즉, 방송내용물이 중계기까지 가는 '중간경로'가 유선이나 지상파면 "지상파DMB", '중간경로'가 위성(이나 유선)이면 "위성DMB"로 이름붙인다는 얘기가 되는 거죠.
뭐, 이 정도면 "위성DMB"라는 이름은 거의 "뻥"이요 수준이라고 해도 과장은 아니지 않을까요...
정말로 위성에서 쏴주는 전파를 폰으로 바로 잡을 수 있도록 만들 수는 있다더군요.
폰(안테나)의 크기와 모양, 밧데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과 거추장스럽거나 거창하지 않은 수신방법 개발 등 문제만 해결한다면 말이죠......
주워들은거라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대충 그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주인장께서는 전파 쪽을 전공하셨다는 얘기를 전에 엇핏 들었던 것 같은데...
어떤가요? 맞는 얘길까요?
이름에 "위성"이 들어있다해서 진짜로 폰으로 위성에서 오는 전파를 바로 수신하는게 아니랍디다.
위성에서 오는 전파는 워낙 미약하고 기상상태나 주변환경에 따라 불안정하고 불규칙하기때문에, 중계소에서 위성 전파를 접시안테나로 받아서 중계기로 다시 쏴주는 거라더군요. 즉, 방송내용물이 중계기까지 가는 '중간경로'가 유선이나 지상파면 "지상파DMB", '중간경로'가 위성(이나 유선)이면 "위성DMB"로 이름붙인다는 얘기가 되는 거죠.
뭐, 이 정도면 "위성DMB"라는 이름은 거의 "뻥"이요 수준이라고 해도 과장은 아니지 않을까요...
정말로 위성에서 쏴주는 전파를 폰으로 바로 잡을 수 있도록 만들 수는 있다더군요.
폰(안테나)의 크기와 모양, 밧데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과 거추장스럽거나 거창하지 않은 수신방법 개발 등 문제만 해결한다면 말이죠......
주워들은거라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대충 그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주인장께서는 전파 쪽을 전공하셨다는 얘기를 전에 엇핏 들었던 것 같은데...
어떤가요? 맞는 얘길까요?
막차 DEL
(2010/09/23 16:18)네.. 정확합니다. 다니시다보면 이동통신 중계기가 뭉테기로 설치된곳을 유심히 보시면 조그만 위성안테나에 tu라고 적힌걸 보신적이 있으실 겁니다. 거기서 위성신호를 받아서 뿌려주는것을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입니다.
도아 DEL
(2010/09/23 18:54)도시에서는 맞는 이야기인데 도심을 벗어나서는 위성신호를 바로 받아야 정상입니다. 그런데 안되는 DMB가 많은 것을 보면 그도 아닌 것 같고,,, 위성 DMB가 없어서 시험을 못해보고 있습니다. 시험만 되면 대박인데요...
너무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제 트위터에 이 포스트의 링크를 걸고 싶은데 괜찬을까요?
도아 DEL
(2010/09/24 10:52)링크는 허락 받지 않고 거셔도 됩니다.
지난 주에 슈퍼스타 K가 그렇게 보고 싶었는데 아이폰4만 들고 어떻게 봐야 하나 어떻게 봐야 하나 동동 구르고 있었는데....ㅠㅠㅠ 진작 이 글을 봤으면 볼 수 있었을 걸 그랬습니다.ㅠㅠ
도아 DEL
(2010/09/28 18:09)저도 비슷합니다. 이제 KBS1만 찾으면 다 찾은 건데 아직 못찾았습니다.
ilive2.0에 kbs1있네요~ kbs world도;;
도아 DEL
(2010/09/29 17:49)예. 최근에 생겼더군요.
실시간방송 목록중에 OBS 가 OSB 로 되어 있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도아 DEL
(2010/10/04 08:37)나중에 수정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그런데 주소중에 ... <-- 요렇게 되어있는것들은 너무 길어서 이렇게 표기되는건가요?
파일을 열어서 적혀있는그래도 적어봤는데 않되는군요 ..ㅠ _ㅠ
그리구 종종 주소를 선택하면 화면이 하얗게되어 먹통이되는데 왜이럴까요 ...
앱을 지웠다가 다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생기네요 ㅠ
그런데 주소중에 ... <-- 요렇게 되어있는것들은 너무 길어서 이렇게 표기되는건가요?
파일을 열어서 적혀있는그래도 적어봤는데 않되는군요 ..ㅠ _ㅠ
그리구 종종 주소를 선택하면 화면이 하얗게되어 먹통이되는데 왜이럴까요 ...
앱을 지웠다가 다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생기네요 ㅠ
주소창에.... 이거 빼고 다 해봤는데.. spotv하나 건졌네여...
나머진 반응이 없어요..ㅋㅋ
나머진 반응이 없어요..ㅋㅋ
도아 DEL
(2010/10/05 08:23)그래서 본문 시작 부분에 알림으로 이미 알린 내용입니다. mtving으로 시작하는 주소는 동작하지 않는다고요.
도아님의 글임을 밝히고 제 블로그에 링크를 걸었습니다. 그리고 맨 아래 url목록만을 사용했는데 가뜩이나 네이버 블로그라 네이버에 대한 도아님의 생각을 부분 읽어보았기에 혹시 괜찮을까 해서 여쭙습니다. 문제 되신다면 바로 삭제 조치 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아 DEL
(2010/10/06 09:28)실시간 주소는 가장 민감한 부분입니다. 그런데 그 민감한 부분만 쏙 빼가면 제가 더 곤란해 집니다. 제 블로그에 제가 올린 것에 대한 책임은 제가 질수밖에 없지만 이렇게 퍼가서 퍼진 것은 제 블로그에서 요청을 받고 주소를 지워도 퍼지기 때문입니다. 제가 퍼가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단순히 네이버가 싫어서가 아닙니다. 그런 펌으로 인해 원본을 수정해도 복사본은 고쳐지지 않는 문제때문입니다.
상당수 실시간 주소가 인터넷을 검색하면 찾을 수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중 상당수는 제가 직접 스니퍼링을 통해 찾은 것이고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해서 블로그에 공개한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가 될 경우 퍼간 글은 삭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부분은 일부라고 해도 퍼가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네이버로의 펌은 어떤 경우에도 허용하지 않습니다. 알림에도 있듯. 전부, 일부 모두 금합니다.
강실장 DEL
(2010/10/06 09:50)네 알겠습니다. 죄송합니다.^^; 바로 전부 삭제조치 하도록 하겠습니다. 링크만 살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아이라이브가 부활했다는 도아님 트윗보고 다시실행해봤는데 여전히 문닫은 상태입니다...
부활했다가 다시 닫은것인지 궁금하네요..
부활했다가 다시 닫은것인지 궁금하네요..
도아 DEL
(2010/10/06 09:28)잠깐 부활했다가 다시 닫았더군요. 개발자 트윗에도 잠깐 올라왔었는데 문제가 생긴 것인지 아예 닫았더군요.
잘 보고 링크 합니다.
도아 DEL
(2010/10/12 13:14)어디에 링크를 한다는 것인가요? 링크는 굳이 알려 주지 않으셔도 됩니다만.
도아님 덕분에 제 아이폰4를 풍성하게 가꿉니다 많이 배우네요 ^^ 고맙습니다 도아님~
도아 DEL
(2010/11/02 09:35)실시간 URL을 모두 공개했으면 좋을텐데 그걸 못하는 것이 조금 아쉽더군요. 아무래도 저작권 문제때문에...
MBC막혔습니다
도아 DEL
(2010/11/09 12:29)님이 아는 지식이 세상 지식의 전부가 아닙니다. 전 지금도 MBC를 시청하고 있으니까요.
덕분에 아이폰의 활용이 눈부십니다.
얼마전에 KBS2랑 YTN이 막혀버려서 눈물짓고 이는데
그래도 다른 채널들이 있어서 슬프지 않아요.ㅎㅎㅎ
괜찮다면 앞으로도 좋은 채널 부탁드려요.
얼마전에 KBS2랑 YTN이 막혀버려서 눈물짓고 이는데
그래도 다른 채널들이 있어서 슬프지 않아요.ㅎㅎㅎ
괜찮다면 앞으로도 좋은 채널 부탁드려요.
도아 DEL
(2010/11/15 18:38)소개하면 닫히기 때문에 앞으로 소개할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는 forTV 어플 등 동영상 시청 기능 어플이 많아서 좋더라구여 ㄸ든금없긴하지만
도아 DEL
(2012/12/25 10:10)동영상 시청 어플은 아이폰에도 많습니다. 없는 것은 DMB인데 이 것은 안드로이드, 아이폰의 문제가 아니라 국산과 외산의 문제죠. 외국에는 없은 만5천원짜리 DMB 모듈을 국산에 심고 30만원을 더 받으니 제조사로서는 이렇게 남는 장사가 없죠. 또 이런 DMB에 목숨 거는 국내 사용자도 많고요.
(2010/09/22 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