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래도 요즘 NAS 장비 알아보고 있었는데.. 이렇게 정보를 얻게 되서 다행입니다.
다만 주 관심사는 아이폰과 쉽게 연동해서 쓸수 있는지를 더 알아보고 있었습니다.( 웹하드 기능이나 FTP 기능도 같이 보고 있지만 1순위는 아이폰 연동 )
QNAP 쪽 제품은 아예 아이폰 앱을 통해서 스트리밍을 할수 있어서, 굳이 AirVideo 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더라구요..
( UI 나 사용편의성은 AirVidoe 보다는 못한거 같은 느낌 입니다. )
가격대는 하드미포함 인데 30만원정도 하는군요 ( TS-210 Turbo NAS (하드미포함) )
예전에는 하드 용량은 터렛제품으로 해결했는데...아이폰이 생기니 스르리밍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네요..
혹시 저처럼 알아보고 계신분도 계실까봐 적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다만 주 관심사는 아이폰과 쉽게 연동해서 쓸수 있는지를 더 알아보고 있었습니다.( 웹하드 기능이나 FTP 기능도 같이 보고 있지만 1순위는 아이폰 연동 )
QNAP 쪽 제품은 아예 아이폰 앱을 통해서 스트리밍을 할수 있어서, 굳이 AirVideo 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더라구요..
( UI 나 사용편의성은 AirVidoe 보다는 못한거 같은 느낌 입니다. )
가격대는 하드미포함 인데 30만원정도 하는군요 ( TS-210 Turbo NAS (하드미포함) )
예전에는 하드 용량은 터렛제품으로 해결했는데...아이폰이 생기니 스르리밍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네요..
혹시 저처럼 알아보고 계신분도 계실까봐 적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도아 DEL
(2010/07/14 17:40)아이폰 사용자라면 QNAP도 나름 잇점이 있겠군요. 다만 케이스만 30만원이면 하드 디스크까지 구입하려면 비용은 꽤 많이 들겠군요.
주1의 1.500MBx2, 600MBx2, 320MB, 1.5TB, 1.0TBx2가 혹시
500GBx2, 600GBx2, 320GB, 1.5TB, 1.0TBx2 아닌가요.,
제가 틀린것일까요? 눈에 띄어서 한번 적어봤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500GBx2, 600GBx2, 320GB, 1.5TB, 1.0TBx2 아닌가요.,
제가 틀린것일까요? 눈에 띄어서 한번 적어봤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도아 DEL
(2010/07/14 17:40)GB가 맞습니다. 수정해 두었습니다.
마침 저도 얼마전에 DNS-323 제품을 구입했습니다. 일단 저렴한 가격에 성능도 어느정도 나온다는 사용기 때문에 결정했습니다. 지금은 torrent 장비와 외부 ftp 접속을 주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air video 서버도 관심이 있어서 설치에 성공하신 분의 글도 봤는데, 워낙 cpu와 ram 성능이 낮은 장비라 속도는 안난다고 하더군요...
리뷰에 사용하시는 장비는 어떻게 성능이 나올지 궁금하고 기대도 됩니다.
좋은글 잘 보고 갑니다...
그리고 air video 서버도 관심이 있어서 설치에 성공하신 분의 글도 봤는데, 워낙 cpu와 ram 성능이 낮은 장비라 속도는 안난다고 하더군요...
리뷰에 사용하시는 장비는 어떻게 성능이 나올지 궁금하고 기대도 됩니다.
좋은글 잘 보고 갑니다...
도아 DEL
(2010/07/14 22:55)이 장비도 비슷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반이 자바라 CPU가 어느 정도 되야 속도가 보장되니까요.
GbE를 제대로 지원하려면 CAT5 로는 부족해서 그 이상의 랜 선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Cat 5: Currently unrecognized by TIA/EIA. Defined up to 100 MHz, and was frequently used on 100 Mbit/s Ethernet networks. May be unsuitable for 1000BASE-T gigabit ethernet.
http://en.wikipedia.org/wiki/Category_5_cable"
아무튼, 여력이 되면 GbE로 바꾸고 랜선도 교체해서 한번 사용해 보고 싶네요 ㅠ.ㅠ
"Cat 5: Currently unrecognized by TIA/EIA. Defined up to 100 MHz, and was frequently used on 100 Mbit/s Ethernet networks. May be unsuitable for 1000BASE-T gigabit ethernet.
http://en.wikipedia.org/wiki/Category_5_cable"
아무튼, 여력이 되면 GbE로 바꾸고 랜선도 교체해서 한번 사용해 보고 싶네요 ㅠ.ㅠ
도아 DEL
(2010/07/14 22:54)사진에는 없지만 랜 카드를 구입하며 카테고리6 케이블도 함께 구입했습니다. 명색이 리뷰인데 그정도를 확인하지 않았을까요?
구차니 DEL
(2010/07/14 23:05)아.. 그렇다면 예상보다는 아직까지는 기가비트 속도가 제대로 안나온다고 생각을 해야 하려나요? 겨우 2배 정도 차이니까 말이죠.
도아 DEL
(2010/07/15 03:40)현재는 제조사측의 케이블을 의심하고 있습니다. 내일 제조사에 카테고리6을 지원하는 케이블인지 물어 보고 아니면 다시 케이블을 구매할 생각입니다.
저도 나스하나 구축하고싶지만 아직은 가격이 먼나라 이야기군요 ㅠ_ㅠ
뭐.. 계속 가격이 내려가고 있으니까 나중에 싸지면 하나 들여봐야겠네요 ㅎㅎ 좋은리뷰 잘보고갑니다~
뭐.. 계속 가격이 내려가고 있으니까 나중에 싸지면 하나 들여봐야겠네요 ㅎㅎ 좋은리뷰 잘보고갑니다~
도아 DEL
(2010/07/15 03:40)버팔로 가격이 아마 최저가가 아닐까 싶더군요. 좋은 것은 백만원이 넘으니까요.
Qnap219p를 가지고 있습니다. 속도나 편의성, 특히 소음면에서 만족스럽습니다.
나스를 집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입한다면 소음은 특히 고려해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의 모기업 nas구입후 소음문제로 하룻만에 처분해버렸습니다.
요즘 qnap에서 atom cpu 장착한 nas가 나오더군요. 가격은 후덜덜합니다만. 일반 pc처럼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외산으로는 qnap 이나 snology가 nas로 유명한 듯 합니다.
나스를 집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입한다면 소음은 특히 고려해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의 모기업 nas구입후 소음문제로 하룻만에 처분해버렸습니다.
요즘 qnap에서 atom cpu 장착한 nas가 나오더군요. 가격은 후덜덜합니다만. 일반 pc처럼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외산으로는 qnap 이나 snology가 nas로 유명한 듯 합니다.
도아 DEL
(2010/07/15 03:42)비싼 제품을 쓰고 계시는군요. 그리고 외산/국산 모두 따져도 기능은 QNAP나 Snology를 쳐줍니다. 다만 소음이 심하다는 나스는 제조 불량이 아닌가 싶군요. 하드 소음을 빼면 날 소음이 없는데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제 경우 NAS는 아니지만 집의 네트웍에 물린 장비들을 기가비트로 바꾸고 나서 체감 속도 차이가(인터넷 말고 랜상에서 공유 및 파일 전송) 생각보다 상당한 것을 느꼈었는데, 무용론을 주장하시는 분들도 계시네요.
도아 DEL
(2010/07/15 03:43)외부망만 생각하는 사람은 당연히 무용론을 주장합니다. 인터넷 회선이 100M인데 무슨 기가가 필요하냐고 하는 것은 당연하죠. 그러나 내부에서는 완전히 틀립니다. 기가망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니까요.
저는 그냥 남아도는 컴퓨터가 있어서[...] 그걸 가져다가 웹서버+NAS처럼 쓰고 있습니다.
Windows 7 + 2GB DDR + 3GHz 프레스캇 으로 돌리니까 쓸만 하네요. 다만 발열이 문제에요.
정말 괴상했던 건, 그 컴퓨터가 100Mbps LAN인데 쉽게 500Mbps까지 올라가 버립니다. 노트북/iptime은 1Gbps를 지원하니 상관 없는데, LAN이 그렇게 오버로드에 잘 버티는 장치였던걸까요..
Windows 7 + 2GB DDR + 3GHz 프레스캇 으로 돌리니까 쓸만 하네요. 다만 발열이 문제에요.
정말 괴상했던 건, 그 컴퓨터가 100Mbps LAN인데 쉽게 500Mbps까지 올라가 버립니다. 노트북/iptime은 1Gbps를 지원하니 상관 없는데, LAN이 그렇게 오버로드에 잘 버티는 장치였던걸까요..
도아 DEL
(2010/07/15 14:44)3GHz 프레스캇이고 메인보드 내장형이라면 기가비트 카드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저도 랜카드를 새로 샀는데 확인해 보니 내장 랜카드가 지원하더군요. 2006년에 산 보드인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동일한 모델이 있는데 해킹은 어떻게 하셨는지요?
저도 동일한 모델이 있는데 해킹은 어떻게 하셨는지요?
도아 DEL
(2010/07/15 14:45)말한마디로 되지 않습니다.
집에서 아내가 그래픽 작업하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가 부족하면 이 글을 참고해서 하나 장만해야겠어요.
도아 DEL
(2010/07/15 14:45)예.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도아님..^^
간만에 글을 남기네요.
NAS 구매를 생각하고 있기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NAS를 판매하는 지인이 있기에 나스의 구성이 최신컴과 비교해 좋은 편이 아닌데..
왜이리 비싼지 문의를 하니 내부 부품의 차이라고 합니다.
하지만..대부분 중국에서 제조하기에 몇만원차이라고 하네요.
NAS를 유통하는 회사가 대부분 영세업체이기에 제품의 이윤을 최대한 많이 남긴다고 합니다.
실제 단가는 최상위급 장비라 해도 얼마 안된다고 하네요.
주4의 경우 선더버드 1G는 제가 알기로는 2000년 9~10월 경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시 대단한 화제였지요..^^
팬티엄3 500 제품이 봄에 출시, 700, 800, 833 이 여름에 출시가 되었습니다.
당시 833 이 오버를 하면 1G 를 찍었기에 용산에서 무척 구하기 어려웠지요.
2000년 봄에 500을 시장에 풀리자 마자 구매를 했기에 2000년 이전 사양이다. 는 2000년 사양이다로 수정하는게 더 정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간만에 글을 남기네요.
NAS 구매를 생각하고 있기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NAS를 판매하는 지인이 있기에 나스의 구성이 최신컴과 비교해 좋은 편이 아닌데..
왜이리 비싼지 문의를 하니 내부 부품의 차이라고 합니다.
하지만..대부분 중국에서 제조하기에 몇만원차이라고 하네요.
NAS를 유통하는 회사가 대부분 영세업체이기에 제품의 이윤을 최대한 많이 남긴다고 합니다.
실제 단가는 최상위급 장비라 해도 얼마 안된다고 하네요.
주4의 경우 선더버드 1G는 제가 알기로는 2000년 9~10월 경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시 대단한 화제였지요..^^
팬티엄3 500 제품이 봄에 출시, 700, 800, 833 이 여름에 출시가 되었습니다.
당시 833 이 오버를 하면 1G 를 찍었기에 용산에서 무척 구하기 어려웠지요.
2000년 봄에 500을 시장에 풀리자 마자 구매를 했기에 2000년 이전 사양이다. 는 2000년 사양이다로 수정하는게 더 정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도아 DEL
(2010/07/16 23:02)본문의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는 부분이라 굳이 수정하지는 않을 생각입니다. 다만 이런 물건은 하드웨어 가격만 고려하면 안됩니다. 버팔로와 QNAP의 하드웨어 가격은 비슷할지 모르지만 제공하는 기능을 보면 QNAP이 확실히 앞섭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눈에 보이지 않는 소프트웨어가 있기 때문이죠. 또 이런 소프트웨어 역시 가격에 포함되어야 하니 부품 단가로 비교하는 일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글을 보니 제가 구입할 때 고려했던 부분이 많이 있군요. 사실 다른 부분도 중요했지만 저 같은 경우는 역시 가격이 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거의 혼자 사용하기 때문에 1bay에 가장 싼 녀석으로 고르긴 했는데, 이것도 병인지 상위 기종들이 눈에 들어오더군요. 그래서 다음에 들일 때는 이 글을 참고해서 가격말고 다른 기준으로 한번 골라 보렵니다. 좋은 글 고맙습니다.
도아 DEL
(2010/07/16 23:03)가격면에서는 버팔로가 확실히 잇점이 있습니다. 이 가격대에 2개의 베이, 2TB의 하드를 제공하는 제품은 많지 않거든요.
나스를 이용하여 APM기반의 서버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PC를 이용하여 APM기반의 서버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불안정할 것 같고, 나스는 사양은 좀 낮더라도 계속 켜 놓더라도 안정적일 것 같은데, 가능은 할찌? 혹시 가능하더라도 PC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하면 어떨런지? 호스팅은 트래픽은 그렇다 하더라도 하드용량만 커져도 가격이 상당 비싸지므로 나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꽤 괜찮을 듯 싶은데. 도아님 의견은 어떠신지요?
도아 DEL
(2010/07/16 23:04)가능은 하지만 사양이 저사양이라 트래픽이 몰리면 감당하기 힘듭니다. 그러나 조금 한적한 블로그 정도를 운영하는 것은 큰 무리는 없을 듯하더군요. 실제 버팔로 나스에도 APM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NAS를 고민하다가 저는 그냥 PC를 한대 꾸몄습니다.
VIA의 CPU일체형 보드에 XP를 깔아놓아서 쓰고 있는데 원격데스크탑을 통해서 관리할때 늘 보던 윈도우 화면으로 컨트롤을 할 수 있어서 따로 UI에 적응할 필요가 없어서 좋았습니다.
NAS의 미니멀함과 심플함, 저전력이 매력적이긴 한데 차후 확장성 측면에서 아쉬움이 많더라고요.
그런데 PC로 꾸미려니 전기요금의 압박이 상당합니다.
VIA의 CPU일체형 보드에 XP를 깔아놓아서 쓰고 있는데 원격데스크탑을 통해서 관리할때 늘 보던 윈도우 화면으로 컨트롤을 할 수 있어서 따로 UI에 적응할 필요가 없어서 좋았습니다.
NAS의 미니멀함과 심플함, 저전력이 매력적이긴 한데 차후 확장성 측면에서 아쉬움이 많더라고요.
그런데 PC로 꾸미려니 전기요금의 압박이 상당합니다.
도아 DEL
(2010/07/21 15:50)서로 일장일단이 있죠. 그러나 가정집에서 사용하기에는 역시 나스입니다. 한때 집 전기료가 16만원씩 나왔기 때문에 잘 알고 있습니다.
저도 동일한 버팔로 NAS를 얼마전 구입했습니다. 주 목적은 DLNA를 통해 동영상을 TV(LG-47LE5500)로 보기 위해서였습니다. 그전에는 PC에서 네로 미디어 홈 서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감상했는데, 아무래도 PC이다보니, 전기세등의 문제때문에 계속 켜두는 것도 그렇고, 동영상을 볼때마다 PC를 켜야 하는 불편함때문에 NAS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구입후 현재 가장 큰 문제는 DLNA를 통해 NAS에 저장된 동영상 재생시 자막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NAS(Twonky 서버가 설치된 제품)가 이런 문제가 있더군요. 구입전에 미리 확인하지 못해던 점인데, 제가 사용하려는 주 목적으로 볼 때 제품을 잘못 선택한 듯 합니다. ㅡㅡ;
그래서 조금 비싸더라도, DLNA에서 자막 기능이 제공되는 제품(적어도 제가 보유한 LGTV에서 지원가능)을 찾아보고 있는데, 확실하게 이 기능이 지원되는 제품을 찾기가 힘드네요. QNAP, Syslogy 제품 또한 미디어 서버 제품을 Twonky 서버를 쓰고 있어서 자막 지원이 안될 것 같고, 넷기어쪽의 ReadyNas 제품(삼성TV만 가능하다고 하네요)이나 WD의 MyBook World Edition 제품(아직 확인 안됨)이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데,..... 혹시 이것이 가능한 제품을 알고 계시면 알려주세요~
가격대비 버팔로 NAS가 좋은 것 맞습니다. 이만한 가격대에 이정도 기능/성능이 있는 제품은 현재로써는 보기 힘든 것 같습니다. 다만 제가 생각했던 기능이 누락되어 있는게 아쉽습니다.
특히 실망스러운 것은 버팔로측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이미 알고 있음에도, 사용자에게 공지하고 있지 않고, 앞으로도 이에 대한 개선 계획에 대해서도 없다고 하니 답답할 따름입니다.
그러나 구입후 현재 가장 큰 문제는 DLNA를 통해 NAS에 저장된 동영상 재생시 자막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NAS(Twonky 서버가 설치된 제품)가 이런 문제가 있더군요. 구입전에 미리 확인하지 못해던 점인데, 제가 사용하려는 주 목적으로 볼 때 제품을 잘못 선택한 듯 합니다. ㅡㅡ;
그래서 조금 비싸더라도, DLNA에서 자막 기능이 제공되는 제품(적어도 제가 보유한 LGTV에서 지원가능)을 찾아보고 있는데, 확실하게 이 기능이 지원되는 제품을 찾기가 힘드네요. QNAP, Syslogy 제품 또한 미디어 서버 제품을 Twonky 서버를 쓰고 있어서 자막 지원이 안될 것 같고, 넷기어쪽의 ReadyNas 제품(삼성TV만 가능하다고 하네요)이나 WD의 MyBook World Edition 제품(아직 확인 안됨)이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데,..... 혹시 이것이 가능한 제품을 알고 계시면 알려주세요~
가격대비 버팔로 NAS가 좋은 것 맞습니다. 이만한 가격대에 이정도 기능/성능이 있는 제품은 현재로써는 보기 힘든 것 같습니다. 다만 제가 생각했던 기능이 누락되어 있는게 아쉽습니다.
특히 실망스러운 것은 버팔로측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이미 알고 있음에도, 사용자에게 공지하고 있지 않고, 앞으로도 이에 대한 개선 계획에 대해서도 없다고 하니 답답할 따름입니다.
도아 DEL
(2010/07/31 10:28)현재 국내에 들어와 있는 대부분의 나스가 Twonky 서버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국내에서 그런 제품을 구하기는 힘듭니다. 저는 버팔로 나스에 서버를 바꿔가 자막이 가능하도록 만들 생각입니다만 글을 올릴지는 모르겠습니다.
나스초보 DEL
(2010/08/02 10:07)댓글 감사드립니다. 저는 실력이 안돼서 그렇게 하는 건 거의 불가능할 것 같은데, 혹 성공하신다면 댓글로라도 알려주시면 가뭄에 단비를 맞는 기분이 들 것 같습니다.
꼭 성공하시기를... (그리고 나눠주세요 ㅎㅎ)
도아 DEL
(2010/08/05 07:26)댓글로 쓸 수 있는 것이라면 벌써 썼겠죠.
기가바이트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PCI대역폭보다 넓습니다.
기가바이트랜의 최적성능을 즐기시려면 메인보드 내장이나, pcie 4x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기가바이트랜의 최적성능을 즐기시려면 메인보드 내장이나, pcie 4x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도아 DEL
(2010/08/05 19:58)기본적으로 내장 랜으로 시험하고 다시 외장랜으로 시험한 결과입니다. PCI나 내장랜의 문제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나스 장비가 제성능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예전 OS정보 사이트를 운영하셧던 도아님이 맞으신가요?
도아 DEL
(2010/08/25 14:46)지금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종은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나스를 구입하려고 여기저기 많이 쏘다녔는데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할지 판단이 안서서 고수님께 고견을 듣고자합니다.
나스를 사용 하고자 하는 목적은
1, 하드(1TB) 4개를 장착, 2개는 읽고,쓰고,저장, 또 2개는 저장된 데이터 백업용(하드2개(2TB) 뻑나서 복구했는데 1년반이 넘었는데 아직도 정리를 못했슴)
2, 집에 설치해 놓고 어디에서나 인터넷 접속하여 필요한 자료 공유(노트북, 스마트폰) 노트북 외장하드를 가지고 다니는 불편 해소,
3, 국산(LG 등) 외산(넷기어 등) 안정적이고 복합기능을 소화 할 수 있는 제품 추천요, 가격보다는 기능과 성능 우선....................
부탁드림니다.
저도 나스를 구입하려고 여기저기 많이 쏘다녔는데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할지 판단이 안서서 고수님께 고견을 듣고자합니다.
나스를 사용 하고자 하는 목적은
1, 하드(1TB) 4개를 장착, 2개는 읽고,쓰고,저장, 또 2개는 저장된 데이터 백업용(하드2개(2TB) 뻑나서 복구했는데 1년반이 넘었는데 아직도 정리를 못했슴)
2, 집에 설치해 놓고 어디에서나 인터넷 접속하여 필요한 자료 공유(노트북, 스마트폰) 노트북 외장하드를 가지고 다니는 불편 해소,
3, 국산(LG 등) 외산(넷기어 등) 안정적이고 복합기능을 소화 할 수 있는 제품 추천요, 가격보다는 기능과 성능 우선....................
부탁드림니다.
(2010/07/14 16:27)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