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이 계륵인 저로써는 어휴... 일단 우리나라의 고스펙 제품에 익숙해지면 기능이 아쉬워지고
아이팟의 기능에 익숙해지면 스펙이 아쉬워지고...... 이건 뭐 -.-;;
아이팟의 기능에 익숙해지면 스펙이 아쉬워지고...... 이건 뭐 -.-;;
도아 DEL
(2009/10/06 07:46)저는 DMB나 카메라에는 연연해 하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만 빼면요.
저도 얼마전 해외포럼에서 보았던 정보로군요.. :) 이것들과 함께 가상메모리 지정까지 해주면 꽤나 가볍게 만족스러운 향상을 가져다 주더군요. ㅎㅎ
도아 DEL
(2009/10/06 07:47)예. 본문에 있지만 아이팟 터치 팬 포럼에서 가져온 글입니다. 가상 메모리에 대한 글은 따로 올릴 생각입니다.
사양이 과연 우리나라 일반 스마트폰 보다 낮을까요? 그부분도 의문입니다.
아이폰이 옴니아에 비해서 낮은건 CPU랑 램 정도죠..
옴니아에는 OpenGL 가속기도 없고요... 화면출력을 위한 2D 가속칩(정확히는 bitblit 컴스텀칩)도 없습니다.
과연 아이폰이 성능이 옴니아보다 낮을까요?
게다가 3GS에 와서는 현세대 스마트 폰들과 절대 뒤쳐지지 않는 CPU도 얻었는데.. 가끔 아이폰의 성능이 우리나라 스마트폰에 비해서 나쁘다는 헛소문이 도는거 보면 역시 우리언론이 많이도 유언비어를 퍼뜨렸나 봅니다.
굳이 아이폰과 대적할 만한 기기라면 JuneHD 정도나 테그라칩셋을 사용한 기기정도일 뿐이죠...
아이폰이 옴니아에 비해서 낮은건 CPU랑 램 정도죠..
옴니아에는 OpenGL 가속기도 없고요... 화면출력을 위한 2D 가속칩(정확히는 bitblit 컴스텀칩)도 없습니다.
과연 아이폰이 성능이 옴니아보다 낮을까요?
게다가 3GS에 와서는 현세대 스마트 폰들과 절대 뒤쳐지지 않는 CPU도 얻었는데.. 가끔 아이폰의 성능이 우리나라 스마트폰에 비해서 나쁘다는 헛소문이 도는거 보면 역시 우리언론이 많이도 유언비어를 퍼뜨렸나 봅니다.
굳이 아이폰과 대적할 만한 기기라면 JuneHD 정도나 테그라칩셋을 사용한 기기정도일 뿐이죠...
도아 DEL
(2009/10/06 07:44)휴대폰에서 사양이라고 하면 CPU 보다는 카메라나 DMB와 같은 것을 말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카메라의 성능 역시 옴니아가 낫고 DMB도 옴니아에 있는 기능이니 언론에서 퍼트린 유언비어가 아닙니다. 일반인이 알고 있는 상식 수준에서 비교한 것이니까요.
저도 말씀하신 출처에서 얼마전에 보고 제 아이폰 2G에 적용한 후에 가상메모리까지 같이 돌렸더니 확실히 전반적으로 가벼워진 느낌도 있고 특히 무거운 어플이나 무거운 웹페이지를 사파리로 볼때 간혹 죽는 현상이 많이 나아졌습니다. 저같은 경우 아이폰 관련 daemon은 못 지우고 나머지 지웠더니 보통 55~60메가 정도 남네요.
이것과 더불어 싸이디아 어플 중 "SafariQuitter" 이라는 어플도 추천합니다. 원래 사파리 종료시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는 계속 실행되고 있는데 이걸 사파리 종료와 함께 완전히 죽여주는 어플입니다. 역시 메모리 확보에 도움이 되는 것 같네요.
이것과 더불어 싸이디아 어플 중 "SafariQuitter" 이라는 어플도 추천합니다. 원래 사파리 종료시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는 계속 실행되고 있는데 이걸 사파리 종료와 함께 완전히 죽여주는 어플입니다. 역시 메모리 확보에 도움이 되는 것 같네요.
도아 DEL
(2009/10/06 19:08)SafariQuitter도 알고 있습니다. 저는 일부러 사파리는 배경에서 뜨도록 하기 때문에 저한테는 전혀 필요가 없는 어플이죠.
SW에 좀더 신경을 써야하는데 말입니다.
항상 좋은 정보와 생각을 하게 하시는 도아님께 감사드립니다.
항상 좋은 정보와 생각을 하게 하시는 도아님께 감사드립니다.
도아 DEL
(2009/10/06 19:08)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올려 주시는 아이팟 강좌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글들도
고맙게 읽고 있습니다.
항상 고맙습니다.
(전에 1.1.4 버전때 가게부 때문에 문의 드린 적인 있는데 답장을 못드렸습니다.
이제야 답을 드리네요. 그때는 죄송했습니다. 비록 사용은 못했지만 고마웠습니다.)
올려 주시는 아이팟 강좌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글들도
고맙게 읽고 있습니다.
항상 고맙습니다.
(전에 1.1.4 버전때 가게부 때문에 문의 드린 적인 있는데 답장을 못드렸습니다.
이제야 답을 드리네요. 그때는 죄송했습니다. 비록 사용은 못했지만 고마웠습니다.)
도아 DEL
(2009/10/14 07:35)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최적화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최적화 하면서 알게된건데 powerlog 는 설정 -> 일반 -> 사용내용의 '완전히 충전된 후 지난시간'을 기록하는 기능도 합니다.
별 내용은 아니지만 저걸 지웠을 경우 그 부분이 표시되지 않더군요^^/
최적화 하면서 알게된건데 powerlog 는 설정 -> 일반 -> 사용내용의 '완전히 충전된 후 지난시간'을 기록하는 기능도 합니다.
별 내용은 아니지만 저걸 지웠을 경우 그 부분이 표시되지 않더군요^^/
도아 DEL
(2009/12/09 07:48)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해당 사항을 본문에 추가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자주 죽어서 해결방법을 찾고있었는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도아 DEL
(2009/12/17 09:26)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ipod touch 1G(firmware 3.1.2)에서 갑자기 어플 실행이 안됩니다 중간에 서비스 최적화관련 팁을 적용한후 리스프링 재부팅만 하면 어플 실행이 안됩니다. 단 iTunes에서 어플 동기화 후에는 다시 실행되구요. 이걸 늘 반복하고 있네요. 어떻게 해야하는 건가요.
logic4 DEL
(2009/12/23 18:11)죄송합니다. QnA에 올려야 했었는데 작성완료하고 나서 아래 글을 봤습니다. 삭제 부탁드립니다. 비밀번호를 넣지않아 그런지 삭제가 되질 않네요.
도아 DEL
(2009/12/25 15:50)최적화가 문제의 원인이라면 되돌리면 됩니다. 또 일단 아이폰을 잠근 뒤 다시 시도하면 아마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_@ 윈도우만 최적화가 있는줄 알았는데
아이폰도 최적화가 되는군요
덕분에 한결 가벼워진듯한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아이폰도 최적화가 되는군요
덕분에 한결 가벼워진듯한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아 DEL
(2010/02/19 16:17)아이폰에서는 별 효과가 없지만 터치 1세대에서는 괜찮더군요.
정말 유용한 정보였습니다.
덕분에 위룰할때 다운 되는 현상이라든지
재부팅 되는 것이 많이 줄었네요 ^^
고마워요
덕분에 위룰할때 다운 되는 현상이라든지
재부팅 되는 것이 많이 줄었네요 ^^
고마워요
도아 DEL
(2010/09/11 06:58)글이 휴지통에 있어서 복구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clien.net의 강좌 게시판으로 링크를 해도 되겠습니까?
너무도 좋은 글이라 출처를 밝히고 링크를 하겠습니다 ^^
너무도 좋은 글이라 출처를 밝히고 링크를 하겠습니다 ^^
도아 DEL
(2010/10/14 12:25)글을 퍼가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링크만 하는 것**이라면 따로 묻지 않고 링크하셔도 됩니다.
대단하세요~
도아님은 정말 아이폰의 고수! *_*
다음에도 또 놀러와서 좋은정보 얻어갈께요 ^^
도아님은 정말 아이폰의 고수! *_*
다음에도 또 놀러와서 좋은정보 얻어갈께요 ^^
도아 DEL
(2010/10/25 18:12)감사합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바보 DEL
(2011/02/24 17:27)언제나 초보자가 문제. 특히 글도 읽지 않는 초보자는 더 문제.
"1. 반드시 먼저 백업해야 하며 2. 자신의 책임하에 적용해야 한다."
본문에 이렇게 쓰여 있는데 그걸 무시한 님 스스로를 탓해야죠.
DEL
(2011/02/26 14:04)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11/02/26 15:04)위에 **바보**라는 닉네임은 저도 모르는 사람입니다. 저는 로그인 상태에서 글을 쓰기 때문에 따로 닉네임을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도아**로 찍힙니다. 그리고 바보라는 사람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다면 비밀글이 아니라 일반글로 쓰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쓴 글이 아니니
>그댓글 지우시기 바랍니다!
이런 요청은 저한테 하지 말기 바랍니다. 또 요청하고 싶다면 쓴 사람에게 직접 요청하기 바랍니다. 부탁입니다만 위와 같은 답변을 받고 싶지 않다면 최소한 알고 글을 쓰기 바랍니다.
DEL
(2011/02/26 22:58)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2009/10/05 1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