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Tips RE DEL
(2009/09/13 22:43)
오늘부로 아이팟 터치에 사전을 넣는 것까지 성공했습니다. 클리핑에 문제가 있었는지 압축한 파일 사이즈가 170MB정도 밖에 되지 않네요. 시간을 두고 클리핑을 천천히 다시 해보아야 하겠습니다.

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아 DEL
(2009/09/15 17:00)
클리핑한 데이타에 고어 지원을 위해 코드를 추가한 것인가요? 클리핑 어플에서는 이 부분을 처리해 주지 않습니다.
CaN Tips DEL
(2009/09/17 09:14)
원인을 방금 찾았습니다. 클리핑 소스를 열어보면 제대로 잘 되어 있는 것 캍은데 문제는 인코딩에 있었습니다. 제가 클리핑 소스를 종류가 다른 서버에서 돌렸는데, PC에서 만든 소스를 UNIX 서버에서 돌리니 문제가 생긴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받은 클리핑 데이터를 합치고 컴파일했더니 잘못된 인코딩 문자가 들어 있는 표제어는 빠져버리거나 사전에서 검색할 때 오류를 일으킵니다.
일단 Windows 서버에서만 받아보기로 했습니다. UNIX 서버로 돌리는 소스 중간에 "◈ 활용:"(이 글자는 영어로 바꾸어도 마찬가지더군요.)이라는 글자가 깨져서 들어옵니다. 다른 특수 기호들도 문제를 일으킵니다.
아무튼, 지금은 다시 받기 시작했고, 고어 관련 부분은 소스에 추가하지 않으신 것 같아 직접 추가할 예정입니다.
도아 DEL
(2009/09/17 09:34)
클리핑 어플을 UTF-8로 저장하고 해 보셨는지요. 지금 보면 ANSI로 저장되서 발생한 ㅜㅁㄴ제로 보입니다.
CaN Tips DEL
(2009/09/17 12:33)
UTF-8인데, EditPlus로 보면 하단 상태 표시줄에 PHP 파일은 PC UTF-8로 나오고, 유닉스 서버로 받은 TXT 파일은 UNIX UTF-8로 나옵니다. 미묘한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파일을 열 때 유닉스에서 받은 것은 인코딩 형식을 묻는 창이 나타나지만, Windows에서 받은 것은 바로 열립니다. 어떤 경우든 잘 열려야 할 것 같은데, 다른 이유가 있는지도 대충 보고는 있습니다.
도아 DEL
(2009/09/17 13:59)
CR때문에 발생하는 일입니다. 유닉스에서 받은 뒤 FTP로 전송할 때 TEXT 모드 전송하면 처리가 됩니다.
CaN Tips DEL
(2009/09/17 21:12)
그런 점까지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좀부탁드려요 RE DEL
(2009/10/25 02:15)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collega RE DEL
(2011/07/04 21:52)
뒤늦게 알고 만드는 법에 뛰어들었더니, 저작권 법 때문인지 제약이 너무 많아졌군요.
아무튼 감개무량하게도 k.zip 같은 압축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도아님의 설명, 참 감사합니다!!!

요즈음 Dictionary Universal과 iTunes가 버전 업되면서 설치 방법이 달라질 수 있었는지 몰라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도 설치할 수 있었습니다. 아무튼 다시 한법 더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설치는 iTunes에서 장비 (Devices) > 응용프로그램 > 하단의 파일 공유 응용프로그램 Dictionary > 추가(Add...)에서 압축 파일을 추가해준 다음,
아이팟의 딕셔너리 유니버설에서 Settings > Dictionaries > Install > 압축 파일 선택 > Close > Indexing main dictionary > Indexing fuzzy search... 하면서 설치할 수 있었습니다.
도아 DEL
(2011/07/06 12:15)
제가 이 글을 쓸때나 지금이나 비슷할텐데요. 그리고 설치하는 방법은 최근에는 로컬이 생겼더군요.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