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상플러스 RE DEL
(2009/08/19 17:12)
휴대폰 게임을 1시간 이상 하지 않는다.. 이건 좀 힘들거에요. 몰래 화장실에서 하는 경향도 있으니..ㅋㅋㅋㅋ
도아 DEL
(2009/08/20 09:44)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 통제하는 법을 배우도록 하는 것입니다.

구차니 RE DEL
(2009/08/19 17:40)
게임을 다운받아서 하지 않는다로 수정하심이 낫지 않을까요? 기본게임도 못하게 하는거 같아요 ^^;
개인적으로는 3~5만원 용돈주고 그 한도내에서
핸드폰 비를 직접 내도록 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도아 DEL
(2009/08/20 09:44)
게임은 다운 받지 못합니다. 무선인터넷은 잠궈두었으니까요.

종요 RE DEL
(2009/08/19 18:03)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도아 DEL
(2009/08/20 09:4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사실이라면 분실 휴대폰으로 통화가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되는군요. 그렇다면 오히려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군요. 정확히 어떤 통신사인지 알려 주실 수 있는지요?
DEL
(2009/08/20 16:44)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dummy RE DEL
(2009/08/19 18:29)
휴대폰 분실 보험은 제역활을 할지 모르겠네요. 가끔 아무짝에도 쓸모없다는 글을 종종 본거 같네요.
도아 DEL
(2009/08/20 09:47)
생각해 보면 쉽습니다. 3개월은 명의 변경도 안되고 무조건 사용해야 합니다. 그 뒤에는 해지하려고 하면 7만원의 위약금을 내야 합니다. 따라서 첫 3개월만 보장(만오백원)을 받으면 보험의 역할은 다 하는 것입니다. 출고가의 80%를 보장하기 때문에 이 이상이라면 해지를 하는 것이 더 싸기 때문입니다.

학주니 RE DEL
(2009/08/19 18:32)
후.. 1km내의 오차라.. -.-;
도아 DEL
(2009/08/20 09:47)
조금 넓죠.

희주 RE DEL
(2009/08/19 20:32)
LGT의 서비스 중에 "내 주위엔?"이라는 서비스가 있죠. 내가 있는 곳의 맛집이나 영화관 지도정보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인데 물론 중계기기반입니다. 그래서 A동네에 있더라도 B동네에 있다고 하는 결과가 나오기도 하더군요.
LGT단말기중엔 아마 GPS내장된 단말기가 없는걸로 압니다. 이번에 나온 햅틱AMOLED도 LGT용은 GPS가 빠졌다네요. 스마트폰은 잘 모르겠습니다.
이번에 오즈때문에 LGT로 번호이동을 했는데, 오즈 참 좋은거 같습니다.
도아 DEL
(2009/08/20 09:48)
LGT에서도 네이트 드라이브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서비스를 받으려고 하면 GPS가 있어야 할텐데요. 그리고 오즈는 정말 좋습니다.

미고자라드 RE DEL
(2009/08/19 22:22)
3대의 중계기를 이용해 삼각측량을 하는 방식으로 위치를 파악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도아 DEL
(2009/08/20 09:50)
중요한 것은 측정방식이 아니라 중계기 기반이라는 점이죠. 따라서 중계기가 넓으면 오차 범위가 넓어지고요. 참고로 제 전공이 통신입니다.

NOGA RE DEL
(2009/08/19 23:26)
얼마전에 큐브릭 사려다. 아몰레드 샀는데.
GPS 안되는 게 와서 교환받았서요.
왜 안되는지.... s/w로 돌아가는 네비게이션아닌지..
도아 DEL
(2009/08/20 09:50)
윽,,, 그럴 수도 있군요. 고장은 아니었나요?

토이 RE DEL
(2009/08/20 00:48)
@공상플러스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제가 우영이만 할 때는 핸드폰이 있어도 게임 거의 안 했습니다. 참고로 전 그 나이 때 게임을 무지 좋아했죠. 그런데 왜 안 했냐면 핸드폰 게임은 너무 수준 낮고 재미가 너무나 없었거든요. 요즘에 우리나라 핸드폰 게임이 한 시간 이상 할만한 게임이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우영이가 게임 안목이 좀 높다면(?) 크게 신경 안 쓰셔도 될 듯 하네요. 그리고 나중에 안 지키는 일이 있어도 처음에는 아이를 신뢰하는게 좋은거 같아요. 잘 할겁니다.
도아 DEL
(2009/08/20 09:51)
모든 게임을 다 좋아하기 때문에 취한 조치입니다. 백원짜리 구멍가게 게임부터 스타크래프트까지. 게임에 대한 안목이 있다면 그나마 편할텐데 말이죠.

글벌레 RE DEL
(2009/08/20 01:40)
안녕하세요 ? 정말 아이 날리는 아이 지키미 서비스 맞네요 ....반경 1km이면 그 넓이가 3.14제곱킬로미터 ? 뭐 그냥 어이 상실이군여 _ _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도아 DEL
(2009/08/20 09:52)
가급적 사용 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말 어이가 없더군요.

MiLK RE DEL
(2009/08/20 02:07)
좋은 글입니다. 뭐 휴대전화기의 위치추적 서비스.. 각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이라.. 그다지 믿을 게 못 된다고 생각해요 :)

그나저나 맞춤법이 틀린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메시지가 떳다 -> 메시지가 떴다

가 되어야 할 듯하네요 ^^;;
도아 DEL
(2009/08/20 09:52)
본문에도 있지만 GPS를 이용하는 것도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 중계기 기반이니 믿을 것은 못되죠.

날자고도 RE DEL
(2009/08/20 13:28)
아이에게는 하지말라는 말보다,
해야하는것, 할수있는것을 알려주는게 좋지 않을까요?

하지마라, 하지마라.. 이런것도 스트레스가 될수도..
도아 DEL
(2009/08/20 13:34)
좋기는 합니다만 그렇게 하다 **자살하는 아이**까지 나오는 국내 현실을 생각하면 하지말라고 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날자고도 DEL
(2009/08/21 00:17)
하지못하는것을 얘기해주는것보다,
할수있는것을 얘기해주는것이 좋을거 같아서요
해야할것을 이야기 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도아 DEL
(2009/08/21 08:21)
두 아이의 아빠이기 때문에 그 정도의 기본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하지말라는 것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하지말아야 할 것을 이야기 해주지 않아 실제 자살한 중학생이 있기 때문입니다.

RhymeH RE DEL
(2009/08/21 16:52)
정말로 좋은 아버지시군요^^

일단 저도 중학생이고, 저도 핸드폰을 가지고 있는 입장에서 저 다짐은 정말로 현명한 선택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학교에 핸드폰을 들고 다니면,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사용하지 말라고 해도 어떻게든 사용을 하거든요..(심지어는 책상에 핸드폰 액정만한 구멍을 뚫어놓고 문자를 보내는 정신나간 학생도 있습니다.)

학생이다보니 문자메시지를 많이 사용할 것 같은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요.. 저도 아버지 명의로 등록을 해놔서 문자메시지는 최대한 아끼려고 하는데, 정말로 중요할 때 말고는 딱히 메시지를 쓸 일이 없더군요.. 하기야 쓸데 없는 잡담할 시간도 없으니..

핸드폰이란 것은 통화와 문자를 하기 위해서 있지만.. 역시 보조적인 수단일 수 밖에 없습니다. 뭐 그래서 자기의지로 조절을 해야죠..
도아 DEL
(2009/08/23 13:43)
예. 학교에 가지고 다니는 것은 정말 문제가 많습니다. 수업중 끄지도 않고 문자 보내고...

inde^^ RE DEL
(2009/08/22 09:59)
위치확인을 GPS로 한다 하더라도 지붕있는 곳에서 안되는 건 마찬가지고, 학생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지붕 아래에서 지내니까... 결국, 위치확인 서비스가 쓸모있을 때는 대상자가 어딘가 지붕없는 곳에서 오랫동안 있거나 돌아다닐 때....군요.
어찌됐든 평소엔 쓸모없는 서비스 같네요.
도아 DEL
(2009/08/23 13:44)
요즘 GPS는 건물안에서도 됩니다. 지하가 아니라면요.
inde^^ DEL
(2009/08/23 15:25)
[quote]요즘 GPS는 건물안에서도 됩니다. 지하가 아니라면요.[/quote]몰랐던 사실이네요.

전 여태 GPS는
1. 세개 또는 네개의 인공위성을 이용해서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장치 혹은 서비스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2. 그리고 인공위성에서 오는 펄스파는 세기도 약할 뿐 아니라 파장이 너무 짧아서
3. 두꺼운 철이나 철근이 쓰인 콘크리트 지붕을 대부분 통과하지 못한다고 말이죠......
4. 덤으로, 위성DMB 역시 비슷한 이유로, '위성'이란 부분은 말속임......이라고 알고 있었네요.

제가 잘못 알고있었던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 알고싶습니다.
도아 DEL
(2009/08/23 15:40)
다 맞습니다. 그런데 전파가 아무리 약해도 장비의 성능이 좋아지면 수신이 가능합니다. 실제 제가 얼마전 사용하던 GPS는 제 사무실에서도 잘 동작했으니까요. 하나 분명히 할 부분은 파장이 짧은 파는 투과력이 좋습니다. 다만 철근 때문에 통과를 못하는 것입니다.








Powered by Text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