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찌`zXie RE DEL
(2009/08/13 15:49)
서울에 저런 곳이 있다니, 결국엔 기업으로 발전했군요...

"주1)"에서 빵 터졌습니다. ㅎㅎ

밥맛이 기대됩니다~
도아 DEL
(2009/08/14 04:13)
예. 처음에는 **과연**하는 생각을 했는데 나중에 보니 벤처가 됐더군요.

빛이드는창 RE DEL
(2009/08/13 16:51)
밥맛에 대한 리뷰를 올려주세요~ㅎㅎ
어떨지 제가 다 궁금하다는 +_+
도아 DEL
(2009/08/14 04:14)
오늘 애 엄마 보고 밥을 짓도록 하거나 직접 놀러가서 해 먹어 볼 생각입니다.

Yoitsu RE DEL
(2009/08/13 20:55)
오... 이런 곳이 있었군요-0-

그리고 죄송한 말이지만... 하얀백미란 단어가 잘못 되었네요.
白이 하얗다는 의미인데 하얀을 더 붙여서... 하얀하얀쌀이 되었네요...
도아 DEL
(2009/08/14 04:15)
우리말에 같은 말이 반복되면 강조의 의미를 갖습니다. **백미**와 **하얀 백미** 중 어떤 것이 하얗다는 느낌을 많이 주는 지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이런 것까지 **잘못됐다**고 하면 언어가 가진 감수성 자체를 없애라는 것과 같은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상플러스 RE DEL
(2009/08/13 22:53)
제조사의 센슼ㅋㅋ
도아 DEL
(2009/08/14 04:15)
제가 한 이야기는 아니니까요.

Kael H. RE DEL
(2009/08/13 22:54)
확실히 농작물은 수확 직후부터 영양가가 떨어지지요.
특히 도정같이 훼손을 하게된다면 영양가가 가파르게 떨어지는데요...

확실히 즉석도정은 훼손으로 인한 영양손실을 막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

우리나라 쌀이 정말 품질이 좋다고 하는데, 쌀도 수출품의 하나로 우뚝 섰으면 좋겠어요.
도아 DEL
(2009/08/14 04:16)
예. 쌀의 품질은 최고입니다. 따라서 잘만 연대하면 우리 농업을 살릴 수 있는 길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외계인 마틴 RE DEL
(2009/08/13 23:12)
제가 쌀을 직접사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확실히 밥맛이 좋은 쌀이 있더군요.
그런데 아직까지 현미는 먹어 본 기억이 없고 집사람이 밥에 여러가지 곡물을 섞는 편입니다.
그리고 도심의 방아간이라니 참 흥미롭네요.
도아 DEL
(2009/08/14 04:17)
예. 밥맛이 좋은 쌀이 있습니다. 저는 현미만으로도 잘 먹는 편입니다. 그런데 처음 먹어보는 분들은 밥알이 따로 놀기 때문에 무척 괴로워 하시더군요.

여게바라 RE DEL
(2009/08/13 23:59)
아직 젊은지 쌀에대해서 관심을 거의 주지 안고 있었내요. 그저 배고픔을 채워주는것으로 밖에는..
조금더 나이가 먹으면 저도 쌀에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겠죠?ㅎ
도아 DEL
(2009/08/14 04:17)
맛있는 쌀을 드셔보면 아마 생각이 달라지실 것 같습니다.

zasfe RE DEL
(2009/08/14 08:59)
놀러가서 먹는 밥이라면... 다 맛있지 않을까요..?
앵간한 맛만 있다면요..
도아 DEL
(2009/08/14 18:54)
그래도 쌀에 따라 맛이 다릅니다. 물론 놀러가면 더 맛있지만요.

바람처럼~ RE DEL
(2009/08/14 09:20)
이왕이면 20킬로짜리를 보내주지 좀 아쉽네요 ^^
밥맛이 궁금합니다
도아 DEL
(2009/08/14 18:54)
휴가팩도 괜찮습니다. 적기는 하지만요.

청공비 RE DEL
(2009/08/14 11:57)
푸하하..오늘 블로거님들 덕에 여러번 쓰러지네요.
주석1 대박입니다.^ ^ 도아님! 센쓰쟁이~~

그런데 주석기능이 블로그에 있는 건가요? 아니면 html 코드로 하신건가요?
도아 DEL
(2009/08/14 18:55)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다만 풍선 도움말 형태는 제가 패치한 것입니다.

초하(初夏) RE DEL
(2009/08/20 01:46)
즉석도정의 승리였다고 생각합니다. 맛있었죠...
도아 DEL
(2009/08/20 10:05)
저는 맛있는 쌀을 많이 먹어서 그런지 그리 맛있지는 않더군요.

박미정 RE DEL
(2011/09/06 13:28)
즉석정미의 경우 백미로 도정할시 10kg기준일이 거의 1kg가 없어지긴 하잖아요 9kg의 가격에 일반쌀보다 비싼 가격은 좀 아쉽네요
도아 DEL
(2011/09/07 08:36)
도정 전 10Kg인지 도정 후 10Kg인지 알아 보지도 않고 무조건 9Kg라고 하기는 힘들죠.








Powered by Textcube